|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4403 |
0 |
2014-05
5264403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9396 |
25 |
2015-12
1789396
1 백메가
|
107353 |
블루투쓰 가끔 끊기는듯한 소리 나는거에 관하여... (2) |
나파이강승훈 |
2014-10 |
4958 |
0 |
2014-10
4958
1 나파이강승훈
|
107352 |
Ups를 사용하면 미세전류를 잡을수 있나요 (18) |
잘하자 |
2019-05 |
3526 |
0 |
2019-05
3526
1 잘하자
|
107351 |
HP PC의 hdd 500g를 ssd 256으로 복구이미지 포함해서 복사하고 싶어요.. (5) |
빌라비아 |
2017-01 |
4999 |
0 |
2017-01
4999
1 빌라비아
|
107350 |
[질문] 윈7의 XP 가상화모드 (3) |
일반유저 |
2010-04 |
9724 |
0 |
2010-04
9724
1 일반유저
|
107349 |
쿠다 성능을 볼때 gtx580보다 gtx650이 훨씬 나은가요? (9) |
병맛폰 |
2014-11 |
16151 |
0 |
2014-11
16151
1 병맛폰
|
107348 |
freebsd 듀얼부팅 질문이요 (12) |
비엘이브 |
2019-05 |
3793 |
0 |
2019-05
3793
1 비엘이브
|
107347 |
UPS APC Smart 1000 배터리 교체중 경고음 (15) |
폴리76 |
2023-08 |
2215 |
0 |
2023-08
2215
1 폴리76
|
107346 |
ml110 g9그래픽카드문의 (6) |
이승익 |
2016-02 |
4684 |
0 |
2016-02
4684
1 이승익
|
107345 |
탁상선풍기 수리... (5) |
김건우 |
2019-05 |
4942 |
0 |
2019-05
4942
1 김건우
|
107344 |
라이젠 3600 vs E5 1660v2 (7) |
컴박 |
2020-08 |
4678 |
0 |
2020-08
4678
1 컴박
|
107343 |
콘덴서와 ONOFF타이밍 만으로 원하는 전압을 만들 수 있을까요 (6) |
Sikieiki |
2022-01 |
1640 |
0 |
2022-01
1640
1 Sikieiki
|
107342 |
pc 무한 재부팅..도와주세요~! (5) |
믿음루미 |
2014-11 |
4546 |
0 |
2014-11
4546
1 믿음루미
|
107341 |
asrock z170 fatal1ty itx 보드 i7-6400t(es)용 바이오스 가지고 계신분 부탁드립니… (3) |
캡틴아메리카노 |
2023-08 |
3257 |
0 |
2023-08
3257
1 캡틴아메리카노
|
107340 |
쓸만한 무료 DDNS 서버에는 무엇이 있나요??? (6) |
병맛폰 |
2013-06 |
17483 |
0 |
2013-06
17483
1 병맛폰
|
107339 |
다시 도움을 요청 드립니다,. (4) |
노아디 |
2016-02 |
3642 |
0 |
2016-02
3642
1 노아디
|
107338 |
레이드 카드와 메인보드 혼용 여부 (5) |
나무숲 |
2018-04 |
3839 |
0 |
2018-04
3839
1 나무숲
|
107337 |
알리 익스프레스 배송사기 디스풋 방법 (6) |
makesound |
2019-05 |
7489 |
0 |
2019-05
7489
1 makesound
|
107336 |
윈도우7 설치문제 (5) |
김군상암동 |
2010-06 |
6763 |
0 |
2010-06
6763
1 김군상암동
|
107335 |
windowtab_mon.exe가 무엇인가요.. (4) |
Won낙연 |
2013-06 |
5952 |
0 |
2013-06
5952
1 Won낙연
|
107334 |
진짜 속터져 죽겠어요. hp800 g1 속도문제 (1) |
케리건 |
2023-09 |
2116 |
0 |
2023-09
2116
1 케리건
|
한가지 접지 저항이 어느정도 나오는지도 확인해 보시면 도움이 되겠지요.
접지 공사를 가라로 하는 경우가 많아서요.
벽면의 전원 콘센트에 연결하려고 합니다.
이렇게 하면 이더넷 서지 프로텍터의 접지가 제대로 이루어질까요? 네 접지는 됩니다
AC 단상 RS 220[V] 위험 해서 안전상의 문제로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1가닥 을 뽑아서 UPS 쪽에 접지 모양의 스크류 같은게 있다면 거기와 연결하시면 됩니다
말씀해주신 바 대로,
이더넷 서지 프로텍터의 접지선을, UPS의 접지 스크류에 연결하더라도,
이더넷 서지 프로텍터의 접지가 이루어질까요?
UPS의 접지 스크류가, UPS -> 파워 케이블 -> 전원 콘센트의 접지선과도 연결이 되어 있는 원리 덕분일까요?..
부스바와 같은 개념으로 봐주세요
https://www.getic.com/product/ethernet-surge-protector-gen-2
아래 제품도 있습니다 저렴하고 Unifi제품이라 검증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전용 접지선을 구매하시고(녹색) 돼지코 하나 사서 접지에만 연결하시죠.
전기케이블 저 사진대로 구매해서 접지를 구현하려면 반대로 L,N선의 절연에도 신경써야하는 안전 문제가 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링크 드린 제품은 찾아보니 100M 전용 제품으로 봐야겠네요..
직구로 수입하는게 좋을 수도 있지만 어떨 때는 인증 안 받았다고 걸려서 고생하는 경우도 왕왕 있고 반품도 보통 안된다고 생각하기에
국내에 제품이 있나 찾아 봤는데 기가비트 지원 제품은 국내에서 찾기 힘들 듯합니다..
광케이블 인입 - 스위치(또는 모뎀) - 공유기 - PC 이와 유사한 구조일까요..?
일단 인입이 광케이블이라면 중간에 UTP케이블이 사용되었더라도 생략이 가능할 것으로 봅니다.
- UPS 접지
댁내.외부 전기 및 접지 시설이 온전한 상태라면 UPS 까지 낙뢰가 도달할 가능성은 아주 낮다고 추측됩니다.
그러나 UPS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고장으로 누전 등의 문제가 발생할 때 화재예방 및 접촉시 인체에 피해방지를 위해 접지가 필요할거라고 봅니다.
산업용은 접지단자함내 부스바에서 UPS에 따로 접지선 연결을 권고하는 것으로 기억하는데
가정용이라 할지라도 UPS를 사용할 정도로 민감한 환경이라면 같은 개념을 적용하시는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분전함 근처에 접지용 미니단자함을 만들고 동부스바를 설치해서 필요한 개소에 직배선을 해주는 형태로요
- 접지 배선의 유의사항이라면
각 접지개소에서 접지봉 간에 저항차가 발생할 경우 인접 접지선에 유도된 전력에 의한 피해가 발생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오래된 기억을 정리한 것이라 안전시설일 만큼 꼼꼼히 팩트체크 후 적용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집안에 들어오는 선이 FTTH인 경우 서지프로텍터를 사용하지 않으셔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