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56842 |
25 |
2015-12
1656842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4) |
정은준1 |
2014-05 |
5121507 |
0 |
2014-05
5121507
1 정은준1
|
87024 |
dell poweredge r410 모델에 cpu 교체해 사용해도 문제 없을까요? (3) |
laputa |
2017-07 |
3653 |
1 |
2017-07
3653
1 laputa
|
87023 |
책 제목을 알려주세요. 원숭이 어쩌고 저쩌고 였던 것 같은데. |
무아 |
2016-03 |
3653 |
0 |
2016-03
3653
1 무아
|
87022 |
제가 한 일련의 행동들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3) |
Olorin |
2018-07 |
3653 |
0 |
2018-07
3653
1 Olorin
|
87021 |
TX100 Xpenology 설치 후 속도 및 질문 (4) |
이해찬 |
2014-03 |
3653 |
0 |
2014-03
3653
1 이해찬
|
87020 |
해외에서 정기적으로 소액을 입금받는 경우 한국 은행에서 거절할 수 있나요? (7) |
무아 |
2017-04 |
3653 |
0 |
2017-04
3653
1 무아
|
87019 |
연간인원 계산법 (2) |
이윤주 |
2017-07 |
3653 |
1 |
2017-07
3653
1 이윤주
|
87018 |
7인치 태블릿을 목에다 걸고 다니고 싶습니다. 어떤 악세사리가 좋을까요? (3) |
병맛폰 |
2014-03 |
3653 |
0 |
2014-03
3653
1 병맛폰
|
87017 |
win98se는 업데이트 풀로 적용된 iso같은거 없을까요? (1) |
김건우 |
2015-02 |
3653 |
0 |
2015-02
3653
1 김건우
|
87016 |
Diskless boot server 클러스터 추가에 관하여 질문 있습니다. (9) |
랑구스 |
2017-05 |
3654 |
0 |
2017-05
3654
1 랑구스
|
87015 |
win10 에서 프린터 설치시 반응이 없습니다. (8) |
정은준1 |
2020-05 |
3654 |
0 |
2020-05
3654
1 정은준1
|
87014 |
z620에 vega64 크로스파이어 가능할까요? (14) |
낭만케이 |
2019-04 |
3654 |
0 |
2019-04
3654
1 낭만케이
|
87013 |
DELL H200 RAID 카드를 IT 모드로 변경하려는데 PC에 EFI SHELL 모드가 없네요... (5) |
라천민 |
2021-01 |
3654 |
0 |
2021-01
3654
1 라천민
|
87012 |
메이보드 정체가 궁금합니다 아시는분 도움요청 (11) |
comduck |
2020-04 |
3654 |
0 |
2020-04
3654
1 comduck
|
87011 |
Davi e-zone 220wt (22" lcd tv) 화면이 안나와요. (4) |
자연인 |
2017-08 |
3654 |
0 |
2017-08
3654
1 자연인
|
87010 |
TX100 사용중 질문입니다. (3) |
멋쟁이 |
2015-03 |
3654 |
0 |
2015-03
3654
1 멋쟁이
|
87009 |
로봇이 제 이메일로 세계 온갖 사이트를 가입하는 것 같습니다. (1) |
회로쟁이 |
2017-12 |
3654 |
0 |
2017-12
3654
1 회로쟁이
|
87008 |
지금 윈10 스토어 다운로드 되시나요? (6) |
수필처럼 |
2017-05 |
3654 |
0 |
2017-05
3654
1 수필처럼
|
87007 |
LED 질문입니다. (2) |
미담 |
2014-03 |
3654 |
0 |
2014-03
3654
1 미담
|
87006 |
또또질문입니다. 흐흐흐 (2) |
황진우 |
2014-01 |
3654 |
0 |
2014-01
3654
1 황진우
|
87005 |
혹시 여기에 구인글 올려도 되는지요 물론 IT관련입니다. (2) |
쌍cpu |
2015-06 |
3654 |
0 |
2015-06
3654
1 쌍cpu
|
될때도 있었으나 대부분 잘 안되었습니다.
델 7820/7920 워크스테이션에서 에뮬렉스 10기가 랜 카드에는 호환성 문제가 있는 것이 분명합니다.
아마 윈도우 업데이트하고 그런거같습니다
지금 문제 있는 시스템에도 잘되다가 발생한것이라 특정한 조건의 경우에 발생하는것으로 추정하고있긴합니다.
카드들이 광모듈 제품밖에 없고 보통 해외에서만 보이는 카드이지만 호환성 문제가 아마 재일 적을 듯합니다..
칩셋으로 볼때 ConnectX-3 이상의 칩셋이면 윈도우즈 10이 지원 됩니다.. (드라이버 지원 문제는 모델 정하신 다음 구입 전에 꼼곰히 챙겨야 합니다..)
모델은 각 칩셋 버젼과 속도별로 상당히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Mellanox MCX311A-XCAT 같은 경우 1포트이지만 카드 크기가 작고 열도 적게 나며 가격이 괜찮은 편입니다..
카드 위치를 다른 슬롯으로 이동해보고.
바이오스 초기화 해 보시고.
바이오스에서 쓰지 않는 장치 disable 해 보세요.
예를들어 OCE11102가 IRQ 11번을 사용하고 있다면..
IRQ 5번이나 7번 10번으로 한번씩 이동 해 보세요.
같은 번호에 다른 장치가 많이 않들어가도록 위치 해 보세요..
PNP 지원으로 자동으로 IRQ 자원을 자동으로 해 주기로 했지만.
메인보드 바이오스와 카드 펌웨어가 서로 잘 낫다고 합으로 못봅니다.
않쓰는 장치들은 Disable 하시고.. IRQ 정리를 해 보세요.
이야기해주신것처럼 시리얼포트 온보드랜등 최대한 끌수 있는것들은 꺼보았으나 문제가 동일합니다.
옅게 알고 있는 지식으로는 모던컴퓨팅에서는 IRQ를 ACPI로 공유해서 사용하는지라 여러기기를 사용할수있는것으로 알고 있고 심지어 음수로도 할당되는것으로도 알고 있습니다. 또한 문제가있다면 블루스크린대신 장치관리자에 경고표시만되는걸로 알고 있구요.
일단 BIOS는 사용하지 않고 있고 UEFI를 사용하고 있는 환경이고 말해주신것처럼 수동으로 선택해서 확인해보고 싶지만 제가 찾지를 못하는것인지 아무리 찾아보아도 관련설정메뉴가 보이지는 않습니다. 혹시 T7920에서 IRQ를 수동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알고계시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래서 하드를 추가한후 이리 되었다?라고 하면 이건 커널쪽 이슈로 봐야 할거 같은데 의심가는거 두가지를 보고 있습니다.
가상메모리 페이징파일 설정이 모든 드라이브 기본값을로 되어 있을건데 이거 무조건 C드라이 운영체제 깔린 드라이브만 설정하게 해야됩니다. 페이징파일에 커널영역도 드라이브에 들어가는데 이게 디스크 액세스타임 좀 늦는다면 페이징폴트로 블루스크린 발생할수 있습니다.
둘째는 백신입니다. 윈도우라면 다른 백신 다 삭제하기 바랍니다. 기본 디펜더로 써보고 블루스크린 유무를 파악해보세요.
가상메모리 다 끄고 SSD만 사용하게 설정해놓았을터인데 한번 체크해보겠습니다 이야기해주신것처럼 잘되다가 안되는경험을 겪게될때가 파티션이 추가되는등의 과정들이 있어서 이야기해주신부분에 약간의 추정이 되는기분이 듭니다.
모두 온보드인지?? 레이드 카드 같은 것 사용했는지??
MiniTool Partition Wizard 같은 프로그램으로 디스크들을 보면 윈도우즈에서 보이는 파티션 말고 숨어 있는 파티션들이 나옵니다..
데이터 망실하지 않게 주의하면서 필요 없는 파티션과 데이터들은 정리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디스크 6개 달고 시스템 불안이라고 말씀하셔서 파워쪽 문제 있는 것 아닌가 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물론 GPU를 여러개 달거나 전기를 무지 먹는 GPU를 사용하면 디스크를 여러개 설치하는데 문제가 있을 수도 있지만 델 워크스테이션이면
여러가지 상황에 대비하여 테스트 및 검증을 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에 어딘가 불량 아닌가 라는 생각도 해봅니다..
스톡이아닌 3080을 사용중이며 파티션쪽은 정리할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데이터가 많이필요해서요..)
일전에 디스크6개+에뮬렉스카드+3080으로 무거운게임을 주마다 몇시간씩 돌린상황이라서 이야기주신 파워문제는 일단 배제하고 있습니다.
별개로 이야기주신것처럼 윈도우에서는 인식되지 않는 ext4 파티션이 몇개있습니다 (리눅스도 개발환경에있어서)
다른 회사 제품으로 테스트 해 보고 문제 있는 지
확인이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해당 오류 메시지는 드라이버의 IRQL이 Dispatch Level 이상일 때 해당 드라이버의 커널 메모리 영역에서 Pageable 또는 Invalid memory address에 접근하려 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커널 모드 영역에서의 잘못된 메모리 참조는 즉시 시스템을 크래시 시키며, 제대로 된 원인 확인을 위해서는 메모리를 덤프한 뒤 windbg로 분석을 해 봐야 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원인은 드라이버 버그이나, 다른 커널 모드 드라이버와의 충돌로 인해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례로, 테크넷에 올라온 한 사례의 경우 ocnd65.sys가 EMC 응용 프로그램 설치 후 재부팅을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크래시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건 타사 드라이버와의 충돌 케이스입니다.
https://social.technet.microsoft.com/Forums/en-US/a90a983d-eaa5-4bb7-90b4-e486945f4a91/server-2016-blue-screen?forum=winservergen
trace 없이 이 문제를 디버깅 하려면, 먼저 안전모드로 부팅 후 해당 문제가 재현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emlex 드라이버와 상호작용 할 가능성이 있는 타사 드라이버를 하나씩 비활성화 해가며 문제가 사라지는 케이스를 찾는 것이 최선입니다.
+ Emulex 11002는 공식적으로 Windows Server 2012 까지 지원됩니다.
최신이라고 생각하신게 최신이 아닐 수 도 있고, 반드시 최신이 가장 잘 작동하란 보장 없습니다
주환님의 답변대로 드라이버버그내지 하드웨어 조합이 그냥 잘 안맞는듯 싶습니다.
답변주신분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