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41118 |
0 |
2014-05
5141118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5769 |
25 |
2015-12
1675769
1 백메가
|
71987 |
스트리밍 + 웹서버 컴퓨터 사양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7) |
지나가는행인 |
2015-04 |
4475 |
0 |
2015-04
4475
1 지나가는행인
|
71986 |
듀얼 시스템에서 PCI-E레인을 극적으로 확장할 수 없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8) |
송주환 |
2016-03 |
4475 |
0 |
2016-03
4475
1 송주환
|
71985 |
HP Microserver Gen8 메모리 질문드립니다. (6) |
DoWoo |
2016-03 |
4475 |
0 |
2016-03
4475
1 DoWoo
|
71984 |
저번에 g9 물건구매후 해외20% 캐쉬백 신청하는거 궁금한점이.. (6) |
구명서 |
2015-11 |
4475 |
0 |
2015-11
4475
1 구명서
|
71983 |
이베이 cpu 판매광고에 Matched Pair (6) |
알파고 |
2017-02 |
4475 |
1 |
2017-02
4475
1 알파고
|
71982 |
[생활] 사무실 철수로 짐을 옮겨야 됩니다. (9) |
굴다리교 |
2015-01 |
4475 |
0 |
2015-01
4475
1 굴다리교
|
71981 |
Dell T620 에 일반 VGA 설치가 가능한가요? (3) |
정은준1 |
2015-09 |
4475 |
0 |
2015-09
4475
1 정은준1
|
71980 |
HD동영상 WMV9 인코딩 시간 때문에 질문입니다. (6) |
이주희 |
2006-09 |
4475 |
20 |
2006-09
4475
1 이주희
|
71979 |
e5-2620v4 듀얼로 서버하나 고려중입니다. |
alexkan |
2016-12 |
4475 |
0 |
2016-12
4475
1 alexkan
|
71978 |
호환성 문의드립니다. (3) |
최용석 |
2005-12 |
4475 |
7 |
2005-12
4475
1 최용석
|
71977 |
파쇄석 12mm 구하기가 원래 좀 어려운가요? (4) |
미도리 |
2020-03 |
4475 |
0 |
2020-03
4475
1 미도리
|
71976 |
Samsung의 갤럭시노트를 북한에서 사용할 수 있나요? (6) |
아름다운노을 |
2015-10 |
4476 |
0 |
2015-10
4476
1 아름다운노을
|
71975 |
아답텍 29160 디스크 검사 (1) |
이윤성 |
2006-08 |
4476 |
14 |
2006-08
4476
1 이윤성
|
71974 |
노트북과 플젝의 동기화? (6) |
김준유 |
2016-10 |
4476 |
0 |
2016-10
4476
1 김준유
|
71973 |
하나로adsl (2) |
윤호용 |
2006-11 |
4476 |
33 |
2006-11
4476
1 윤호용
|
71972 |
grub 옵션 및 & 부팅 로그 관련 질문드립니다. (Debian 9.3 stretch사용) |
조형 |
2017-12 |
4476 |
0 |
2017-12
4476
1 조형
|
71971 |
시놀러지 나스 DSM6.0 비디오스테이션 다운로드 관련 질문드립니다. |
SkyBase |
2016-05 |
4476 |
0 |
2016-05
4476
1 SkyBase
|
71970 |
램오버 실성능 차이가 느껴질까요 ? (Vmware, 풀코어로드.) (6) |
아리시마 |
2018-08 |
4476 |
0 |
2018-08
4476
1 아리시마
|
71969 |
인텔 dx79sr 문의 (4) |
푸하히 |
2016-01 |
4476 |
0 |
2016-01
4476
1 푸하히
|
71968 |
[해결] 외장형 PCI 카드 질문입니다 (1) |
일국 |
2018-02 |
4476 |
0 |
2018-02
4476
1 일국
|
요즘차는 전자식 엑셀레이터로 바뀐지 좀 되었어요~~ ^^
예전차량은 스로틀바디를 물리적으로 제어했었습니다.
전기차들 대중화 되면서 화석연료 차량들도 알게모르게 변화가 큽니다.
브레이크 패달 위쪽으로 보면 액츄에이터가 있고 그 부분이랑 엔진 룸으로 가는 사이에 너트가 있습니다. 그 너트 유격을 조정하면 됩니다.
브래이크 패드도 점검해 보세요.
살짝 밟아도 튀어나갈거 같은 센서 때문에 골목길은 일부러 에코모드로 운행합니다. 듀얼클러치라 출발은 굼뜨다가 갑자기 픽 나가거 때문에 항상 조마조마 합니다. 반대로 고속도로에서는 치고 나가는게 내차만 제일 빠른 기분입니다. 기름 과소비 모드로 바꾸면 가속이 너무 빨리 붙더라구요.
고속에서는 느끼지 않습니다
제조사에서 브레이크 초기답력만 너무 올려서 세팅해서 그런거 같기도 하고요.
정작 고속에서 브레이크 성능은 낮으면서 초반 답력만 잔뜩 올려서 성능이 좋은거 처럼 속일려는 것처럼 느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