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블록체인 관련 국내 커뮤니티 아시는 분 계실까요?

회원   
   조회 1731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블록체인 공부를 조금씩 하고 있는데요. 

투자 정보 말고 기술 원리가 궁금해서요.


Transaction Process

Transactions follow a specific process, depending on the blockchain they are taking place on. For example, on Bitcoin's blockchain, if you initiate a transaction using your cryptocurrency wallet—the application that provides an interface for the blockchain—it starts a sequence of events.


In Bitcoin, your transaction is sent to a memory pool, where it is stored and queued until a miner or validator picks it up. Once it is entered into a block and the block fills up with transactions, it is closed and encrypted using an encryption algorithm. Then, the mining begins.


출처 ㅣ https://www.investopedia.com/terms/b/blockchain.asp

위 문단에서, 노란 하이라이트 한, 부분이 조금 이해가 안 갑니다.

실제 거래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묘사한 글인데요.

비트코인 지갑에서 거래를 시작하면, 메모리 풀로 정보가 가고 그곳에서 채굴자 혹은 검증자가 그것을 승인(picks it up)하면 거래가 진행이 된다...이 얘기 같은데...

다음 문장에서는


그렇게 진행된 거래들로 블록이 가득 차면 암호화 되고 닫힌다. 여기까진 오케이입니다. 그런데 마지막 문장은

채굴이 시작된다(mining begins)라며 끝나는데;;; 지금까지는 사용자와 사용자간 거래의 맥락을 설명하는듯 하다가

채굴이란 단어가 나오는게 이상해서요. 채굴은 코인 사용자 단에서 이뤄지는 일이라기 보단 개발자 입장에서 이뤄지는 거 아닌가요?


블록체인 관련 국내 정보 카페? 포럼? 아시는 분 계시면 좌표 부탁드립니다. ~ ( _ _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구차니 2023-04
채굴하고 검증 받아 내꺼가 되면 지갑에 넣고
채굴을 재개한다가 맞는 해석 아닐까요?
2CPU수원장 2023-04
Developer , User  어느쪽이신가요?

Developer 는 각 체인 별로 Community Developer Zone 가시면 되구요..
User 시면, User Community 가 있습니다.

그 외 블록체인은 토큰포스트(신문) , 코박,코인판,머니넷 (커뮤니티)  등등이 있습니다.
채굴커뮤니티도 활성화가 많이 되어 있구요.. 찾아보세요.
     
회원 2023-04
정보 감사합니다
그냥 유튜브를 찾아보시는게...
가보면...정말 많을 텐데요...
김상혁2 2023-04
"진행된 거래들로 블록이 가득 차면 암호화 되고 닫힌다" < 이 부분이 채굴입니다
물론 깊게 살펴보면 좀 더 복잡한 메커니즘을 갖고있지만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사용자들이 전송한 각각의 거래요청들이 1개의 블록에 수용할 수 있는 용량만큼 채워지면
채굴을 하는 각각의 노드들에서 해당 거래요청들을 검증하고 현재까지 블록체인에 채워진 블록 맨뒤에 무결성으로 기록됩니다
이때 해당 검증작업에 참여했던 채굴자들이 그 보상을 받는것이구요
     
회원 2023-04
아하... 이게 그러니까... 거래와 채굴이 동시에 진행 중인 시스템이겠네요 ? 만일 모든 채굴자가 작업을 중단한 상태에서 거래가 발생하면 어떻게 되죠 ?
          
김상혁2 2023-04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2종류로 간략하게 나눌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의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피어의 역할로써 각각의 피어들과 통신하며 거래정보를 다른 피어들에게 뿌려주거나 받은 데이터를 자신이 갖고있는 블록데이터와 비교하여 해당 기록이 맞는지 체크하여 결과값을 다시 피어들에게 알려주기도합니다
이것은 설치형 블록체인지갑이라면 해당역할을 수행합니다
두번째는 위에 언급하신 채굴(검증작업)을 하는 노드로 참여하는 방법입니다
블록체인의 종류에 따라서 네트워크의 구조특성이나 구동되는 원리는 조금씩 다 다릅니다
비트코인으로 예를 들자면, 채굴하는 노드가 단 한개도 없다라고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거래를 요청하는 주문장들이 피어들간의 네트워크에 떠다니기만하고 기록은 안됩니다.
실제로 그 전송건이 사실인지 아닌지 판별해서 기록할 수 있는 검증작업을 할 작업자가 없다는것이지요
채굴을 기반으로한 코인의 경우에는 그렇지만 방식이 다른 블록체인은 또 다릅니다
               
회원 2023-04
아하... 그렇군요. 거칠게 일반화를 해보면
토렌트 와 비슷한걸까요?
예전에, 인기 없는 자료 같은 경우는 피어가 한 두명이어서 속도가 아주 낮게 나왔던 걸 떠올리면 될까요?


QnA
제목Page 345/5725
2015-12   1766130   백메가
2014-05   5240653   정은준1
2023-04   2765   Caroline
2023-04   2155   새내기
2023-04   3482   미담
2023-04   3062   김준유
2023-04   1174   김준유
2023-04   1788   길가던뉴비
2023-04   1622   pumkin
2023-04   2502   서정욱
2023-04   1698   악마라네
2023-04   1567   김준유
2023-04   2403   두리안
2023-04   5806   akfalles
2023-04   3469   grzlr
2023-04   3231   팔코
2023-04   1815   짱님
2023-04   1844   신은왜
2023-04   4363   민경열
2023-04   2314   정은준1
2023-04   4310   미수맨
2023-04   2205   이천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