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4882 |
0 |
2014-05
5244882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0251 |
25 |
2015-12
1770251
1 백메가
|
107634 |
우분투 데스크탑 버전으로 서버구축이 가능한가요? (6) |
이매망량2 |
2023-04 |
4019 |
0 |
2023-04
4019
1 이매망량2
|
107633 |
TTF 폰트 사용시 출렁임 문제 |
삐돌이슬픔이 |
2023-04 |
1900 |
0 |
2023-04
1900
1 삐돌이슬픔이
|
107632 |
Gpu 메모리 변경가능할까요 (9) |
오후 |
2023-04 |
2296 |
0 |
2023-04
2296
1 오후
|
107631 |
방렬판을 PCB에 고정하는 금속 막대 + 스프링 으로 구성된 부품 이름이 뭔가요? (4) |
죠슈아 |
2023-04 |
2319 |
0 |
2023-04
2319
1 죠슈아
|
107630 |
서버 열쇠를 잃어버렸을 경우 열려면.. (4) |
2CPU최주희 |
2023-04 |
2108 |
0 |
2023-04
2108
1 2CPU최주희
|
107629 |
ssd 로우레벨 포멧하면 속도가 잘나오는 이유가 뭔지요 (3) |
2CPU최주희 |
2023-04 |
2448 |
0 |
2023-04
2448
1 2CPU최주희
|
107628 |
3080 타스/파스 보시고 병목있는지 알려주세요.. (4) |
drama |
2023-04 |
2134 |
0 |
2023-04
2134
1 drama
|
107627 |
색 별로 원근감이 있어 보입니다. (4) |
당근 |
2023-04 |
2230 |
0 |
2023-04
2230
1 당근
|
107626 |
볼트 강도를 말하면 이렇게 이해 하면 되는 건가요? (2) |
신은왜 |
2023-04 |
3127 |
0 |
2023-04
3127
1 신은왜
|
107625 |
ecs h110t-si01 보드 바이오스를 못찾겠어요 (13) |
cbr600f6 |
2023-04 |
4156 |
0 |
2023-04
4156
1 cbr600f6
|
107624 |
알리에서 PCE-AXE3000 이걸 샀습니다 작동은 되는데 결선의 용도가 궁금해서요 (7) |
막울었어요 |
2023-04 |
4165 |
0 |
2023-04
4165
1 막울었어요
|
107623 |
사이드 Taskbar의 아이콘을 2줄로 배치하기. (2) |
제온프로 |
2023-04 |
2335 |
0 |
2023-04
2335
1 제온프로
|
107622 |
컴퓨터의 수명은 언제까지로 보시나요? (15) |
LevinF |
2023-04 |
9371 |
0 |
2023-04
9371
1 LevinF
|
107621 |
프렉탈 케이스 사용중이신 회원님들께 질문이 있습니다. (14) |
질문 |
2023-04 |
2796 |
0 |
2023-04
2796
1 질문
|
107620 |
Storagetek sl150 점검 문의 |
시골노인 |
2023-04 |
2162 |
0 |
2023-04
2162
1 시골노인
|
107619 |
일반 PC 자재 문의 (11) |
차넷컴퓨터 |
2023-04 |
2365 |
0 |
2023-04
2365
1 차넷컴퓨터
|
107618 |
Z840 SSD 교체 문의 - 하이닉스 P31 NVMe 2TB 로 교체 가능한가요? (7) |
파썬 |
2023-04 |
2492 |
0 |
2023-04
2492
1 파썬
|
107617 |
서버에서 사용하는 슬롯은 변환가능한가요?? (10) |
행복하세 |
2023-04 |
2282 |
0 |
2023-04
2282
1 행복하세
|
107616 |
이 카드의 용도가 무엇인지요? (9) |
미담 |
2023-04 |
3313 |
1 |
2023-04
3313
1 미담
|
107615 |
지난번 사진만으로 부품 찾는 걸 부탁드려 큰 도움을 받았습니다. 미처 확인못한 부… (6) |
tuffguy7 |
2023-04 |
2143 |
0 |
2023-04
2143
1 tuffguy7
|
SSD는 메모리 셀에 전기를 통해 데이터를 기록하고 삭제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셀은 일종의 발열체가 되며, 셀의 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SSD는 데이터를 읽고 쓰기 위해 컨트롤러 칩을 사용합니다. 이 컨트롤러 칩은 많은 전력을 소모하며, 따라서 열을 발생시킵니다.
SSD의 발열은 주로 이러한 이유로 인해 발생합니다. 발열은 일반적으로 SSD의 수명을 단축시키는데, 이는 전기적인 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손상 및 성능 저하와 같은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SD를 사용할 때는 온도가 상승하지 않도록 적절한 냉각 시스템을 사용하고, 발열이 심한 작업을 수행할 때는 SSD의 수명을 고려하여 작업 시간을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이상 chat gpt가 -----------------------------------------
아마 온도 상승에 의한 전기적인 성질 변화에 전자 사이가 멀어지는 현상으로 인한 데이타 소실 아닐까 싶습니다.
어느정도의 까지 열은 문제없지만. 적정온도가 높아지면 발열로인한 내구성이 문제가되죠
CPU에 방열팬과 방열판이 있는 이유인거고 특정 온도가되면 셧다운을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고스펙 GPU에는 팬이 3개나 달린거고 방열판도 크게달린거죠.
뜨거워서 좋을건 없다고봅니다.
특히 컨트롤러에 발열이 집중되는데 U.2나 PCIE카드방식은 외부 케이스가 방열판역활을 하지만 M.2의 경우 칩이 노출되어 있다 보니 온도가 집중적으로 높아집니다.
쓰로틀링으로 동작범위내로 온도 제어가 가능하면 다행이지만 온도상승이 순간적으로 급격해져 넘게 되면 이상동작으로 다운되기도 해서 문제입니다.
초기제품제외하고 PCIE gen3시절은 그나마 방열판 없이 사용가능했지만 Gen4이상으로 가면 방열판없이는 사실상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모니터링 소프트 켜두고, 소프트나 겜만 1개 설치해도 방열판 없으면 80도 쉽게 보는게 현실입니다
보통 벤치 돌려봐야 기본 설정이면 1~20기가쯤 쓰거나 읽는데 다지만, 요즘 소프트 덩치 너무 커서 손 쉽게 저거보다 대용량을 쓰게 됩니다 (겜 하나에 150~200기가 쉽게 찍는 시대입니다)
특히 NVMe/AIC/U.2(3)는 냉각 수단 강구 안 하면 그래픽이랑 맞먹는 80도대 간단히 찍습니다
플래시메모리 자체의 저장방식이 플로팅게이트에 전하량에 따라서 비트를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미세공정화가 될수록/ 그리고 1개공간에 전하량을 나눠 여러비트를 저장하는 멀티레벨화가 될수록 공간이 좁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수명과 성능이 줄어드는데 여기에 고온의 온도까지 추가되면 더욱 줄어든다고 보시면됩니다.
이쯤되면 반도체 특성보다는 전하 충방전에 물리적인 그리고 2단계(디지털)가 아닌 여러 단계로 구분되어 디지털보다는 아날로그 물건에 가까워집니다.
SSD의 경우 데이터가 날아가려고 하면 컨트롤러가 알아서 재기록을 해주기는 해서 밥만 주면 실제로 몇개월만에 데이터가 날아가지는 않기는 하는데, 재기록을 해야 하는만큼 쓰기 횟수가 늘어나는 것이니 아무래도 수명에 안 좋긴 안 좋습죠. 그런 이유에서라도 온도가 과하게 안 올라가도록 관리해주는 것이 좋기는 합니다.
쓰기횟수 까이는 것이 걱정이 아니라면 좀 온도 기준을 높게 잡아도 되기는 합니다. 그런데 재기록 빈도가 온도에 거의 지수 형태로 비례하기 때문에 온도가 조금 올라도 재기록 횟수가 왕창 올라가기 때문에 + 컨슈머용 저가 SSD는 애초에 기록 횟수를 엔터프라이즈용보다 적게 잡고 만들기 때문에 그래도 가능하다면 온도를 좀 고려해주면 좋다고는 생각합니다.
온도때문에 속도가 반에반토막 나길래...
작은 쿨러로 식혀주면서 겨우 복사했습니다.
그래서 NVME 방열판, 더 나아가서 방열판에 쿨러까지 달린 악세사리가 나오는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