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 발열

미담   
   조회 3535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질문을 보면 발열에 대한 이슈들이 내구성과 연관이 있다는 글들이 보이는데

SSD가 쓰면 닳는다는 원리는 저번에 어느 고수님의 자세한 답변으로 이해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하드디스크도 아니고 SSD가 왜 발열에 따른 수명이 문제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발열에 따른 속도 저하는 이해가 가지만 어디가 타는 것도 아니고 더군다나 낸드 보다 컨트롤러 문제일건데 컨트롤러는 닳지도 않을 것이고 그냥 칩인데 왜 발열에 따른 수명이 문제가 될까요? 일정 온도 이상이면 속도 저하가 나타나면서 온도가 어느정도 제어가 될건데요. 혹시 내장 콘덴스 문제가 영향을 받는다면 이해가 갈 것 같은데 콘덴스도 대부분 100도 이상 견디는 부품을 사용 할 것 같은데요.(질문에 온도는 발열로 인해 탄다거나 하는 정도를 말하는게 아니라 70-80도 정도의 수준을 말하는 것입니다. 방열판 없이 사용해도 SSD가 저정도 이상 온도 올라가기란 쉽지 않더군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푸치코 2023-04
SSD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과 달리 기계 부품이 거의 없기 때문에 전력 소모량이 적습니다. 그러나 SSD의 발열은 여전히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는 SSD에서 발생하는 전기적인 활동으로 인한 열 발생과, SSD의 조작 방식에서 기인합니다.

SSD는 메모리 셀에 전기를 통해 데이터를 기록하고 삭제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셀은 일종의 발열체가 되며, 셀의 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SSD는 데이터를 읽고 쓰기 위해 컨트롤러 칩을 사용합니다. 이 컨트롤러 칩은 많은 전력을 소모하며, 따라서 열을 발생시킵니다.

SSD의 발열은 주로 이러한 이유로 인해 발생합니다. 발열은 일반적으로 SSD의 수명을 단축시키는데, 이는 전기적인 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손상 및 성능 저하와 같은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SD를 사용할 때는 온도가 상승하지 않도록 적절한 냉각 시스템을 사용하고, 발열이 심한 작업을 수행할 때는 SSD의 수명을 고려하여 작업 시간을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이상 chat gpt가 -----------------------------------------
아마 온도 상승에 의한 전기적인 성질 변화에 전자 사이가 멀어지는 현상으로 인한 데이타 소실 아닐까 싶습니다.
the촌놈 2023-04
열충격이라는 현상이 있답니다. 심하면 부품이 망가지기도 하지만 장기적인 열충격은 전기/기계적인 연결에 문제를 만들죠.
짱짱맨 2023-04
우선 반도체는 설계 온도가 있습니다.
어느정도의 까지 열은 문제없지만. 적정온도가 높아지면 발열로인한 내구성이 문제가되죠
CPU에 방열팬과 방열판이 있는 이유인거고 특정 온도가되면 셧다운을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고스펙 GPU에는 팬이 3개나 달린거고 방열판도 크게달린거죠.
뜨거워서 좋을건 없다고봅니다.
nanosec 2023-04
NVME SSD정도 되면 HDD 이상의 전력소모를 하기도 합니다.
특히 컨트롤러에 발열이 집중되는데 U.2나 PCIE카드방식은 외부 케이스가 방열판역활을 하지만 M.2의 경우 칩이 노출되어 있다 보니 온도가 집중적으로 높아집니다.
쓰로틀링으로 동작범위내로 온도 제어가 가능하면 다행이지만 온도상승이 순간적으로 급격해져 넘게 되면 이상동작으로 다운되기도 해서 문제입니다.
초기제품제외하고 PCIE gen3시절은 그나마 방열판 없이 사용가능했지만 Gen4이상으로 가면 방열판없이는 사실상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짱짱맨 2023-04
NVME 전력을 많이먹는군요..
     
미담 2023-04
제가 궁금한 것은 쓰로틀링이 걸리거나 다운이 될 정도로 해서 사용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고 그 전단계 고온에서 SSD가 수명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이해가 가질 않는다는 요지입니다. 다운이 되거나 쓰로틀링이 걸리는 현상이 생기면 당연히 어떤 대책을 세울테니요. 제 경험상 일부러 벤치를 하지 않는한 그정도로 과부하가 걸려 다운되는 경험이 실 작업에서는 잘 없었거던요. 렌더링을 하면 모르지만....
          
dateno1 2023-04
아뇨

모니터링 소프트 켜두고, 소프트나 겜만 1개 설치해도 방열판 없으면 80도 쉽게 보는게 현실입니다

보통 벤치 돌려봐야 기본 설정이면 1~20기가쯤 쓰거나 읽는데 다지만, 요즘 소프트 덩치 너무 커서 손 쉽게 저거보다 대용량을 쓰게 됩니다 (겜 하나에 150~200기가 쉽게 찍는 시대입니다)
dateno1 2023-04
부품자체도 죽고, 냉납으로 떨어질 수 도 있습니다

특히 NVMe/AIC/U.2(3)는 냉각 수단 강구 안 하면 그래픽이랑 맞먹는 80도대 간단히 찍습니다
whoami1 2023-04
전기가 흐르면 electromigration에 의해 내부 회로가 조금씩 망가지는데, 온도가 높을수록 더 빠르게 진행된다....고 들은적 있습니다. 얼마나 정확한 내용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nanosec 2023-04
추가적으로 IC자체의 발열/온도외에 고려해야할점은

플래시메모리 자체의 저장방식이 플로팅게이트에 전하량에 따라서 비트를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미세공정화가 될수록/ 그리고 1개공간에 전하량을 나눠 여러비트를 저장하는 멀티레벨화가 될수록 공간이 좁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수명과 성능이 줄어드는데 여기에 고온의 온도까지 추가되면 더욱 줄어든다고 보시면됩니다.

이쯤되면 반도체 특성보다는 전하 충방전에 물리적인 그리고 2단계(디지털)가 아닌 여러 단계로 구분되어 디지털보다는 아날로그 물건에 가까워집니다.
     
piloteer 2023-04
조금 보충하자면, Arrhenius equation이란 것으로 retention이 얼마나 유지되는지를 대략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데 데이터가 30도에서 1년 버틴다면 40도에서는 3개월 버티고 뭐 그렇습니다.

SSD의 경우 데이터가 날아가려고 하면 컨트롤러가 알아서 재기록을 해주기는 해서 밥만 주면 실제로 몇개월만에 데이터가 날아가지는 않기는 하는데, 재기록을 해야 하는만큼 쓰기 횟수가 늘어나는 것이니 아무래도 수명에 안 좋긴 안 좋습죠. 그런 이유에서라도 온도가 과하게 안 올라가도록 관리해주는 것이 좋기는 합니다.
          
미담 2023-04
콘덴스도 온도에 비례해 수명이 짧아지던데 놀랍군요.
          
미담 2023-05
가령 온도에 의해 내구성 저하가 되는 것 보다 고온으로 인해 유실되는 자료를 컨트롤러가 재기록 해주며 생기는 쓰기횟수에 따른 수명이 저하 되는게 더 만많다는 의미이지요? 그러면 일반인은 조금 비약해 말하면 쓰로틀링이 안걸리는 범위 내에서 쓰기 내구성이 좋은 SSD를 사용하면 온도에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는 의미 일 수 도 있는건지요?
               
piloteer 2023-05
그건 딱 잘라 말할 수 없습니다. 냉납같은 게 날 정도의 고온이면 다른 고장이 더 먼저 올 수 있고, 그 정도는 아니나 애매하게 온도가 높다면 쓰기횟수 증가가 더 문제고 그렇겠지요.

쓰기횟수 까이는 것이 걱정이 아니라면 좀 온도 기준을 높게 잡아도 되기는 합니다. 그런데 재기록 빈도가 온도에 거의 지수 형태로 비례하기 때문에 온도가 조금 올라도 재기록 횟수가 왕창 올라가기 때문에 + 컨슈머용 저가 SSD는 애초에 기록 횟수를 엔터프라이즈용보다 적게 잡고 만들기 때문에 그래도 가능하다면 온도를 좀 고려해주면 좋다고는 생각합니다.
안철현 2023-04
대용량 파일 복사하다가
온도때문에 속도가 반에반토막 나길래...
작은 쿨러로 식혀주면서 겨우 복사했습니다.

그래서 NVME 방열판, 더 나아가서 방열판에 쿨러까지 달린 악세사리가 나오는거죠..
미담 2023-04
역시 이번에도 도움 많이 받았습니다. 답변 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QnA
제목Page 344/5725
2014-05   5244882   정은준1
2015-12   1770251   백메가
2023-04   4019   이매망량2
2023-04   1900   삐돌이슬픔이
2023-04   2296   오후
2023-04   2319   죠슈아
2023-04   2108   2CPU최주희
2023-04   2448   2CPU최주희
2023-04   2134   drama
2023-04   2230   당근
2023-04   3127   신은왜
2023-04   4156   cbr600f6
2023-04   4165   막울었어요
2023-04   2335   제온프로
2023-04   9371   LevinF
2023-04   2796   질문
2023-04   2162   시골노인
2023-04   2365   차넷컴퓨터
2023-04   2492   파썬
2023-04   2282   행복하세
2023-04   3313   미담
2023-04   2143   tuffguy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