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부품으로 데스크탑 만들기_ 팬속도 조절 문의

   조회 4645   추천 0    

(슈마H11SSL-I +  EPYC7551P+    M.2 SSD+     내장그래픽+     커세어HX1000)로 맹그는 중입니다.


지난번 전원문제는 해결되었습니다.

정말 허무했습니다.  메뉴얼상 핀맵을 보고 당연히 그럴꺼라 생각했습니다. 핀맵을 거꾸로 그려놨더라구요(제가 거꾸로 본거라고 해야하나요?)....에휴....

거꾸로도 테스트 했는데 그때는 왜 안켜졌던건지는 bio에서 뭔가 꼬였던것 일꺼라 생각됩니다.

일단 bio만지고 핀맵을 거꾸로 보니 정상적으로 전원이 on/off 됩니다.  죄송하고 감사합니다.





- 이번에는 팬속도 조절이 문제입니다. CPU팬이 윈도우 로그온 마치자 마자  부웅~~부웅 빨리돌았다 느리게 돌았다를 반복하네요.

구글링, Q&A 검색,유튜브 검색을 통해서 

IPMITOOL에서 팬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라는 정보를 얻은상태입니다만 좀 막연하네요...


1. 지뢰찾기(단순 인터넷, 문서작업,영화감상)정도 할꺼라서 데스크탑 사용할때도 CPU팬 말고는 설치하지 않고 잘 사용해왔습니다.

이번에도 CPU팬 만 설치를 한 상태입니다. 미친듯이 돌았다 조용히 돌았다 (윈도우 로그온이 완료된 순간부터)를 반복해서 사용할 수가 없는 상태 입니다. 검색을 해보니 팬을 모두 설치하지 않으면 시스템이 불완전하다고 인식하고 이런증상을 보일수 있다고 하는데 팬을 메인보드 팬 커넥터에 모두 연결해서 설치해야 할까요? 



2. IPMI 화면을  다른PC로 연결해서 확인까지는 했습니다만 상태만 확인가능하고 팬속도 조절까지는 안되더군요.

IPMITOOL사용하려면 조절이 가능하다고 해서 사용하려니....사용법이 생소하네요....CMD창 같은데서 뭔가 명령어를 여러줄 쳐 넣던데...

그냥 기존운영체제 윈도우에서 설치하고 CMD창에서 명령어 넣으면 되는건가요? 아니면 다른PC에 설치하고 접속같은거 하고 명령어 넣는 건가요?

초딩수준으로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제온프로 2023-05
CPU 온도가 올라가면.. 팬이 온도를 끌어 내립니다.
코어가 많고.. cpu TDP 가 높아 열이 또 나고 온도를 끌어 내리고  반복하고 있네요..

팬 속도를 Auto로 놓지 말고. 일정속도로 돌도록 하세요.
그러면 신경이 덜 쓰입니다.

CPU의 TDP 가 어느정도 인가요?
이에 그 이상의 TDP 냉각팬으로 때려 주면 CPU가 그런일을 하지 않죠..

CPU TDP = 200W 그럼
냉각팬 TDP = 250W 로 때리세요.
CPU등의 온도를 측정해주는 S/W인 HWMonitor 등의 어플로 온도를 체크해 보세요. 실제로 CPU온도가 올라 조절하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보드에 Fan 커넥터가 많을텐데, 벤더웍스 보드가 아닌 슈마라서 다 연결안해서 도는 현상은 아닐 것 같습니다.

ipmitool 로 팬속 조정하는 방법은 찾아보니 아래 방법들이 있는것 같은데요.

1.
리눅스에서 ipmitool 로 슈마보드 팬속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게시글이 있네요.
https://forums.servethehome.com/index.php?threads/supermicro-x9-x10-x11-fan-speed-control.10059/page-8


2.
챗 GPT에게 물어보니 아래 결과를 내놓습니다. (참고용. 되는지 안되는지는...)

Q: ipmitool 로 슈마보드에서 CPU 팬속을 50% 로 고정하는 방법은?
A:
IPMItool을 사용하여 슈퍼마이크로보드의 CPU 팬속도를 50%로 고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먼저 IPMItool을 설치합니다. IPMItool은 Linux, Windows 및 macOS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명령을 사용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 Ubuntu / Debian: sudo apt-get install ipmitool
  - CentOS / RHEL: sudo yum install ipmitool
  - macOS (Homebrew): brew install ipmitool

2. IPMItool을 사용하여 슈퍼마이크로보드에 로그인합니다. 예를 들어, IP 주소가 192.168.0.100이고 사용자 이름이 "admin"이며 비밀번호가 "password"인 경우 다음 명령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ipmitool -H 192.168.0.100 -U admin -P password lan print

3. CPU 팬속도를 고정하려면, IPMItool을 사용하여 팬 제어 모드를 "Manual"로 설정해야 합니다. 다음 명령을 사용하여 팬 제어 모드를 "Manual"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ipmitool -H 192.168.0.100 -U admin -P password raw 0x30 0x30 0x01 0x00


4. 이제 CPU 팬속도를 50%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음 명령을 사용하여 CPU 팬속도를 50%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ipmitool -H 192.168.0.100 -U admin -P password raw 0x30 0x70 0x66 0x01 0x00 0x32

이제 CPU 팬속도가 50%로 고정됩니다. 만약 팬 제어 모드를 다시 자동으로 설정하려면, 다음 명령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ipmitool -H 192.168.0.100 -U admin -P password raw 0x30 0x30 0x01 0x01
박문형 2023-05
일반적으로 펜 단자에 펜을 다 꼽을 필요는 없습니다..

쿨러가 어떤 것인지 모르겠지만 재대로 설치가 되어 있지 않거나(써멀 구리스가 재대로 안 발려있거나) 스팩 미달인 쿨러라면  저런 문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우선 CPU 온도를 모니터링 해보세요..


IPMITOOL 이 윈도우즈 CMD 창에서 돌아가는 것이면 CMD창을 관리자 권한으로 열고 프로그램을 돌려보면 됩니다..
죠슈아 2023-05
https://www.aliexpress.com/i/3256804080061366.html?gatewayAdapt=4itemAdapt
위 링크에서

Specification: Item Type: CPU Cooler
Model: SNK-P0064AP4
Applicable Motherboard: For Supermicro H11 single/dualmotherboard
Socket Type: Socket SP3
Applicable CPU: AMD EPYC 7000 Series CPU Heat Sink
Sound (dBA): 38dBA
Speed (rpm): 4000rpm
Size: Approx. 119 x 92.5 x 126mm / 4.7 x 3.6 x 5in
Application Scope: 4U server/workstation platform
Fan Connector: 4Pin
Thermal Design Power (TDP): 180W
Rated Voltage: 12V

Fan이 4000rpm 인데 ..  IPMI에서 속도를 낮추거나 조절하는 것이 올바른 접근 방법인지 의구심이 듭니다.
사용하는 위치가 서버랙 공간에서 Fan 속도 소음에 상관없는 곳이 아니면 수냉으로 해야 하지 않을까요?
시도니 2023-05
ipmitool 명령어를 잘 모르시겠으면 IPMI가 웹페이지로 되어 있습니다. dhcp 가 기본일테니(이건 바이오스에서 확인가능) 유선랜 포트에 케이블 연결하고 들어가서 ipmi  관리툴로 들어가서 확인해 보세요.
sbg2005 2023-05
팬 종류가 무엇인가요.

40mm 팬 같은거면 거슬리는 소음이 나는게 정상 입니다.

40mm 팬에서 거슬리는 소음이 안 난다는 것은 팬이던 센서던 뭔가 문제가 있어 제대로 냉각을 못 하고 있는 좋지 못한 상황입니다.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팬 하나가 40~50w 먹고 2만RPM이 넘게 회전할 수도 있는게 40mm 서버팬 입니다.

100데시벨 까지도 측정이 되고요.

아무리 느리게 돌고 있어도 이미 2~3천RPM은 넘으니 당연히 소음이 납니다.
서버용 팬은 원래 RPM수가 높습니다. 일반 팬으로 설치하시는게 좋지 않을까요?
흑기사 2023-05
40mm 팬은 귀를 찌르는 듯한 고주파음이 있죠.
작아도 정말 괴롭습니다.
암굴왕 2023-05
슈마 서버 보드 특성으로 BMC가 팬이 너무 저속이라고 판단해서 자동으로 최고 속도로 올리는 것입니다.
저속 팬을 붙이면 낮은 RPM 보고를 팬 스톨로 인식하고 원복 하려고 해당 과정을 계속 반복하게 됩니다
개인적으로 서버보드를 데스크탑 용도로 사용하는건 추천하지 않습니다
서버용 표준 규격 보드 중에서는 애즈락 랙 정도만 데스크탑 사용 목적의 편의 기능이 들어가 있습니다.
     
snsv 2023-05
저는 아수스 z11pa u12 보드를 데스크탑 용도로 사용하는데 웹에서 팬 커브를 조정할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녹투아 120mm 팬이 cpu fan에 물려있는데 이게 600rpm으로 돌아가니 fan speed 경고가 쌓이는걸 팬속을 살짝 올려주는걸로 해결했습니다
          
암굴왕 2023-05
아수스 보드 편의 기능이 더 좋네요 :)
다음번에 파트 구할때는 아수스 보드도 한번 찾아 봐야…
     
아~~~구글링 하니 암굴왕님 답변과 비슷한 답변을 본거 같습니다... 방법이 없을까요?
          
암굴왕 2023-05
위에분들 설명대로 ipmitool 사용하여 fan treshould 값을 원하시는 RPM에 맞추면 될겁니다
               
바빠서 손놓고 있다가 다시 도전해보려고 합니다. 모르고 덥석 사버린 부품이 아깝기도 하고요
epyc 서버보드드에 스레드리리퍼용 데스크탑 cpu 쿨러를 달았더니 붕붕거림을 반복했던 증상에 대한 솔루션을 문의 했었는데요.
말씀하신 ipmitool에서 명령어 처리 방법을 처음부터 배우려하니 막연하네요  그리고 재기동시 그과정을 반복해야 하며, 아니면 배치파일을 만들어야 한다고까지 알아냈습니다. 그치만 제가 그걸 시도하기엔 너무 많은 시행착오가 예상되고 지식이 부족해서요

그래서 생각해낸 방법이 보드에서 제어하는 팬을 사용하지 않고 아예  팬컨트롤러를 구매해서  수동으로  소음을 잡아볼까 합니다. 가능할까요?
서버용도는 일반 가정용 데스크탑 수준의  부하 입니다. 게임도 안하고요. 케이스역시 일반 데스크탑 케이스 입니다.
김우진 2023-05
저는 기가바이트 MZ32 에픽 보드를 웍스로 쓰려고 구입했는데, 말씀하신 증세가 저한테도 일어날까봐 무서워서 3U 케이스용 다이나트론 A35 쿨러를 구입했습니다.
70 미리 팬이다 보니 소음 수준은 풀로드에서도 그럭저럭 견딜만한 수준입니다. RPM 널뛰기 증세도 없구요. 참고 하셔요.


QnA
제목Page 344/5729
2014-05   5262510   정은준1
2015-12   1787405   백메가
2013-01   12819   윤건
2015-12   4278   철이님
2014-08   5190   대한민국
2014-08   3863   아름다운노을
2016-12   6806   노가리강추
2020-06   3298   신은왜
2023-05   2680   죠슈아
2020-06   2629   검은콩
2023-05   1644   농부76
2013-02   5859   Curix김경수
2015-12   4570   햇님반변강쇠
2021-10   2632   모자란트
2016-01   5596   오준호5
2019-03   3167   회로쟁이
2020-06   5576   2CPUI김세훈
2016-01   6006   신은왜
2019-04   3047   tntnt
2023-06   1830   장동건2014
2019-04   7685   깜박깜박가
2013-03   5915   6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