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5795 |
0 |
2014-05
5265795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0761 |
25 |
2015-12
1790761
1 백메가
|
107724 |
win8 에서 예약 파티션 350M (8) |
이지포토 |
2013-01 |
7758 |
0 |
2013-01
7758
1 이지포토
|
107723 |
델 iDrac 질문 (3) |
윤건 |
2013-01 |
12821 |
0 |
2013-01
12821
1 윤건
|
107722 |
쿨러 방향 문의 드립니다. (7) |
철이님 |
2015-12 |
4280 |
0 |
2015-12
4280
1 철이님
|
107721 |
CENTOS 6.5에서 XE설치하고 동영상을 링크를 걸려고 하는데요.. (2) |
대한민국 |
2014-08 |
5191 |
0 |
2014-08
5191
1 대한민국
|
107720 |
이온정수기 사용하시나요? (1) |
아름다운노을 |
2014-08 |
3865 |
0 |
2014-08
3865
1 아름다운노을
|
107719 |
HP 프로라이언트 하드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22) |
노가리강추 |
2016-12 |
6809 |
0 |
2016-12
6809
1 노가리강추
|
107718 |
z820 보드 분해 하는 도구가 별 렌찌 가지고 안되는 군요. (14) |
신은왜 |
2020-06 |
3308 |
0 |
2020-06
3308
1 신은왜
|
107717 |
LGA2066 pinout 자료를 찾고 있습니다. 질문 2번째 (2) |
죠슈아 |
2023-05 |
2690 |
0 |
2023-05
2690
1 죠슈아
|
107716 |
쇼트난 하드 교환받고 왔는데 as기간이 이러면 어떻게되는거죠? (5) |
검은콩 |
2020-06 |
2637 |
0 |
2020-06
2637
1 검은콩
|
107715 |
LC-LC OM3 케이블 단자 작업은 어디에 의뢰 가능할까요? (9) |
농부76 |
2023-05 |
1649 |
0 |
2023-05
1649
1 농부76
|
107714 |
SATA 확장 카드 질문 드려요 ^^ (6) |
Curix김경수 |
2013-02 |
5863 |
0 |
2013-02
5863
1 Curix김경수
|
107713 |
혹시 갤럭시 노트5 쓰시는 회원님들꼐 여쭤봅니다 |
햇님반변강쇠 |
2015-12 |
4574 |
0 |
2015-12
4574
1 햇님반변강쇠
|
107712 |
모니터 화면 꺼지는 문제 (8) |
김말고 |
2021-10 |
2645 |
0 |
2021-10
2645
1 김말고
|
107711 |
raid 5 상태인데 failed 1개,Predictive Failure 1개 로 인한 리빌드시 궁금한 점이… (4) |
오준호5 |
2016-01 |
5599 |
0 |
2016-01
5599
1 오준호5
|
107710 |
가상머신으로 맥용 os를 설치해보려는데... (7) |
회로쟁이 |
2019-03 |
3171 |
0 |
2019-03
3171
1 회로쟁이
|
107709 |
Node js 에서 파이썬을 실행시키고 변수를 전달하는 방법 질문입니다. (8) |
2CPUI김세훈 |
2020-06 |
5582 |
0 |
2020-06
5582
1 2CPUI김세훈
|
107708 |
775 타입 Q6600과 Q8300은 무엇이 더 좋을까요? (5) |
신은왜 |
2016-01 |
6010 |
0 |
2016-01
6010
1 신은왜
|
107707 |
(정말 급함) I7 6950X 박스없음 이베이발 씨퓨 RMA 가능합니까? (10) |
tntnt |
2019-04 |
3047 |
0 |
2019-04
3047
1 tntnt
|
107706 |
MegaRAID Storage Manager 로그인 문제입니다. (6) |
장동건2014 |
2023-06 |
1834 |
0 |
2023-06
1834
1 장동건2014
|
107705 |
아파트 실내용 HIV 전선 규격문의 (18) |
깜박깜박가 |
2019-04 |
7691 |
0 |
2019-04
7691
1 깜박깜박가
|
그 때까지 전기비 안 올라간다는 보장도 없습니다..
저희는 이미 가정전기 사용량이 300kw 를 훨씬 넘게 쓰고 있는 상태인데 여기다가 전기로 전열을 하면 돈 10만원으로 안 끝날거다라고 이야기 해줬죠.
만약, 회사라면 누진이라는 것이 없으니까 생각해 볼만 하겠네요.
근데?? 전기세도 올린다고 하지 않았나요?
같은 비용이라면 바닥이 따뜻한 게 훨 낫습니다.
온돌이 괜히 좋은 게 아니라는…
심야 축열 전기가 이미 그런데 일반 전기료는 더할겁니다
2. 전기 난방은 바닥 난방(즉 전기장판/전기요)이 아닌 이상에는 극히 비효율적입니다. 가장 안 좋은 방식이 공기를 덥히는 방식(온풍기)입니다. 가스보다 더 답이 없는게 이 방식입니다.
3. 난방 면적이 커질수록 전기요금도 팍팍 오릅니다. 즉 난방 면적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 점에서 전기장판이나 전기요가 가장 효율적입니다.
정리하면 정말 전기요금과 가스요금 모두를 잡고자 하면 최대한 외풍이 불지 않도록 하여 실내에서 옷을 두껍게 입고 발에 뭘 신으면 감기는 안 걸릴 정도는 되게 만들고, 그 다음 최대한 이불 속에 들어가는게 싸게 먹히는 일입니다. 물론 이 방식이 삶의 질 개선에 도움이 되느냐는... 뭐 판단에 맡깁니다.
10년째 입니다
겨울에 전기세가좀 많이 나오죠
12월 1월 2월이 많이 나옵니다
온수가 없어 이게 문제죠
전기세가 20만원 30만원 정도 나오것네요
전 최고 24만원 냈습니다
1월이 많이나옴
전기온수기로 온수는 해결했습니다.
도시가스가 안들어오느 곳이다 보니 가스비용과 비교는 못해봤습니다.
여기에 다른 용도로 쓰는 전기까지 더하면 1MWh는 가뿐히 넘어갈꺼 같은데요.
우리나라 가정용이 보통 월 200~300kWh 정도 쓰고 500kWh 넘어가면 많이썼다고 놀라는데 이거 감당 가능할까요?
전기요금은 전력량만 알면 계산 됩니다.
전기 많이 쓸거면 계약전력 높이고 쓰는게 돈 아끼는겁니다.
여름, 겨울이면 전기요금이 2만엔 전후로도 나옵니다.. ㅠㅜ 일본도 요즘 광열비 올라서 난리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