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링크와 썬더 볼트의 차이

   조회 3768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도킹 스테이션을 알어 보던 중. 

디스플레이 링크와 썬더볼트 방식이 있는데. 그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혹시 장단점을 알 수 있으면 감사하겠습니다.

컴 초보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dateno1 2023-05
프로토콜만 애기하면 차이 없습니다

TB=DP 1.2입니다
     
maronet 2023-05
디스플레이링크와 디스플레이포트는 아예 다른거에요 ^^
          
dateno1 2023-05
아 지금 보니 링크라 되어있네요

TB는 DP를 그대로 이용하고 있고, Link쪽은 USB/Network쪽으로 인코딩해서 다시 전송하게 되어있습니다
               
무쏘뿔처럼 2023-05
아 그러면 링크는 약간의 딜레이가 발생 가능성도 있네요?
                    
maronet 2023-05
오피스용으로는 느낌 없지만, 게이밍 처럼 민감한 용도라면 느껴질 수 있습니다.
전에 쓸 때 기억으로는 60Hz이상 설정도 안되구요.
송진홍 2023-05
둘 다 전송 규격인데..
장치가 썬더볼트라는 전송 규격(프로토콜)을 사용하느냐
아니면 USB 전송 규격(프로토콜)을 사용하느냐의 차이 입니다.
썬더볼트가 성능이 월등(속도)하지만 가격이 비싸고
디스플레이 링크(USB)는 썬더볼트에 비해 성능은 다소 떨어지지만
가격이 저렴하다는 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썬더볼트는 전용 칩셋을 사용해서 시스템의 부하가 적고
USB는 CPU에서 처리하므로 시스템의 부하가 많다 정도로 요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래 링크를 보시면 대충은 감을 잡으실 수 있을 수 있을 겁니다..^^
https://judekim.tistory.com/110
https://pipelinemaker.tistory.com/52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mac/8666021
모니터가 썬더볼트 모니터이면 이건 썬더볼트 포트 및 이 포트와 연결된 썬더볼트 도킹을 사용해야 합니다.

다른 썬더볼트 기기들 사용하시면 썬더볼트 도킹이 좋겠네요.

디스플레이 링크를 이용하면 usb 대역폭이 좁아 고화질로 가면 화면 출력에 제한이 좀 생길 수 있다고 하더라고요.
maronet 2023-05
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디스플레이 링크는 USB 3.0만 지원해도 외부모니터(아마 3.0은 WQHD까지) 구현 가능한게 가장 큰 차이가 아닐까 싶습니다.
온보드 칩셋이 썬더볼트(USB-C) 포트 통한 모니터 연결 지원안해도 구현 가능한거죠.
막울었어요 2023-05
맥북프로 2015 액정 망가진넘 사용중인데
왼쪽에 있는 DP 포트에 반대편은 HDMI 연결해서 사용중인데
썬더볼트의 용도를 저 링크 3개를 보고 알았네요
저는 사용하면서도 여기에 연결해서 사용하라는 회원님의 글 보고 그냥 따라한건데
저런 기술이 포함되어 있었네요
설명들이 좀 애매하게 되어있는데
원래 DisplayLink는 DisplayLink사에서(지금은 시냅틱스에 인수됨) 만든 칩을 이용해서 화면신호를 출력하는 방식입니다.
DisplayLink 가상 디스플레이를 만들고, 이 화면을 녹화한 데이터를 cpu를 통해서 연산해서 압축해서 보내면 usb등으로 연결된 DisplayLink 칩이 해당 데이터를 그래픽 신호로 바꿔서 출력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썬더볼트는 PCI Express(PCIe) 및 DisplayPort(DP)를 한 개의 직렬 신호로 결합하는 방식이구요.
위와 같은 이유로 썬더볼트를 통한 그래픽 출력은 크게 2가지로 나뉩니다
하나는 PCIe 를 통한 외장 그래픽 구현으로 그래픽 칩이 직접 탑재되어 해당 그래픽 칩에서 화면을 출력하는 방식 (보통 egpu 라고 지칭함)
하나는 DP를 이용하여 호스트에 내장된 그래픽을 통해서 모니터 출력 신호만 전송하는 방식

그래서 크게 3종류로 보셔야 합니다.

1. DisplayLink 를 사용한 방식
장점 : USB만 꼽으면 화면이 나온다. 하드웨어 호환성을 거의 타지 않는다.
단점 : 가격이 생각보다 많이 비싸다. CPU점유율이 높다. 경우에 따라 화면 출력이 끊길수 있다(성능이 구리다).
3D출력 같은 경우 문제가 생길 수 있음(소프트웨어가 가상디스플레이가 특정opengl api 등이 지원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거나 하는 경우 등)

2. 썬더볼트 EGPU 를 사용한 방식
장점 : 성능이 매우 좋다.
단점 : 하드웨어 호환성을 몹시 탄다. (독 연결/해제시 블루스크린이 뜰수도 있고, 인식 문제로 재부팅이 필요할 수도 있음) 가격이 아주 많이 비싸다. egpu에 꽂힌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설치로 인한 소프트웨어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3. 썬더볼트 DP를 사용한 방식
장점 : 엄청 싸다.
단점 : DP버전이 호스트 출력 DP버전을 따라간다. (경우에 따라 4k 60hz 지원이 안될수도 있음)


그래서 썬더볼트가 지원되는경우 3번 DP방식으로 독을 많이 만듭니다. 싸니까요.
원래 DisplayLink 칩을 써서 독을 만드는게 대세였는데 썬더볼트DP 를 사용하는게 싸게 먹혀서 1번방식으로 독이나 USB화면출력장치를 만드는 회사가 거의 다 사라졌었습니다. 지금도 DisplayLink 칩을 써서 4k출력하려고 하면 기기를 구하기도 힘들고 비쌉니다..
     
송진홍 2023-05
댓글을 통해 더 정확히 배워갑니다. 정보 감사합니다.^.^=b
     
무쏘뿔처럼 2023-05
헉 감사 합니다.
어제 썬더볼트용 둑을 사서 홈에는 연결 했는데 일단 선정리가 깔끔해져서 좋았고 같은 회사 제품이라 그런지 호환성과 KVM역활도 잘되서
한개더 구입 하려고 보니 디스플레이 링크라는 것을 알게 되서 ^^
린드버그 2023-05
디스플레이 링크..는 말하자면 USB에 연결된 외장 그래픽 카드..라고 보시면 됩니다. USB 2.0정도로도 FHD 화면 출력은 무난히 가능하긴 한데, 게임같은 건 좀 무리가 있겠죠..
저희 회사에서도 일부 자리에 디스플레이 링크 사용한 독을 배치해 뒀는데.. 시대가 바뀌어서 이젠 거의 아무도 사용을 안하네요. ㅎ
     
김민철GC 2023-05
아하하... 제가 사용하고 있습니다. DP ALT 지원하는 Usb-포트가 없어서 이걸로 서드 모니터 연결만 해서 씁니다..ㅠ


QnA
제목Page 1298/5703
2014-05   5118984   정은준1
2015-12   1654394   백메가
2018-01   3592   Wnahd
2016-10   3592   미수맨
2016-09   3593   바부팅이
2016-04   3593   sensekuh
2017-05   3593   늘파란
2014-03   3593   박진우v1
2017-04   3593   motu
2017-08   3593   찌니뚜니아범
2017-03   3593   lovin09
2017-12   3593   하셀호프
2017-09   3593   PCMaster
2019-11   3593   블루영상
2016-08   3593   불무골
2015-07   3593   siteop
2014-07   3593   Astarot
2019-07   3593   pumkin
2017-05   3593   3D서포터즈
2018-03   3593   jore
2017-04   3593   나파이강승훈
2023-06   3593   허밍버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