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A 데이터 케이블 연장 머리아프네요 ㅠ.ㅠ

   조회 2383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먼저 답변 주신 분들 정말 감사드립니다 ^_^

SSD/HDD 모듈인데 장비에 넣어놓을 위치가 마땅치 않아서 빼다보니 2미터 이상 거리가 나오네요,

그런데 문제는 메인보드로 바로 SATA 케이블이 연결되면 문제가 없지만 Mega Raid 8707e 카드에 연결해서 SAS TO SATA로

연결해야해서... male to Female 연결 케이블이 필요한데 50cm 이상은 나온게 없네요.

아래분이 추천해주신 F/F 2m 케이블은 이미 주문해놨고... 중국사이트 뒤지다 보니 m/m 50m 케이블도 있어서 주문했습니다.


어제.. 혹시나 해서 male to female 2개를 연결해서 보니 역시나 데이터가 다 깨지네요 ㅠ.ㅠ

그래서 생각해보니.. male to female은 연결시 크로스가 되서 안되는 것 같은데...

male to male 케이블은 연장이기 때문에 직렬이겠죠? 

com port 케이블 이후 병렬 크로스 케이블 구분은 처음이네요.

sata 케이블도 병렬 크로스 구분이 되는걸까요?

어차피 Raid 카드가 sata1 1.5g 속도지원이기 때문에... 전송속도에 구애받지는 않는데.. 안정성이 문제네요

coms에서도 f/f sata data 2m 판매해서 구매했는데... 파워전력과 1.5gb속도이상지원안된다는것 말고는 공지가 없네요.

male to male과 구리와이어 2m 케이블도 해외주문이라 얼릉 오기민 눈빠지게 기다리고 있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epowergate 2023-05
머리 아프지 마세요
SATA 2M 못합니다.
뭘 해도 못합니다.

SATA3 표준이 만들어 질때 최대 CABLE Length를 1M로 정해두었습니다.  정확 하게는 "39.37 inches"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메탈포스 2023-05
SATA3 의 기준일까요? SATA1도 마찬가지인건가요 ^^;;?
          
epowergate 2023-05
동일하게 1M 입니다.
1M 이상되는 케이블도 있고 사용해 봤는데 되더라 하는 사용자가 있기도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1M는 전송된 자료의 정합성 및 완결성을 보장하는 길이 입니다.
더 긴 케이블이 있을 수 있고 작동하는것 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다만 데이터 에러가 발생할 수 있음만 알고 계시면 됩니다.
               
메탈포스 2023-05
답변감사드려요.
1m 이상은 무리라고 하시니 ㅠ.ㅠ
그러면 sata data male/male 0.5m 케이블로 data cable 1m연장해도 무리가 있을까요?
사스에서 sata에서 0.5m M/F 케이블은 연결 문제없었는데.. M/F 케이블은 0.5M이상은 나와있는게 없어서
F/F 1M 연장할려면... M/M 연장선이 필요해서요
                    
epowergate 2023-05
SAS하고 SATA는 완전히 다른 제품이고 다른 기술입니다.
비슷하게 생겼다고 그냥 혼용해서 사용하는게 아닙니다.
SAS3는 표준상에 12M까지 가능하고 active cable은 100미터 던가 까지 가능합니다.

뭐 연장을 하던 뭘 하던 안되는 건 안되는 겁니다
DAP박인호 2023-05
e-SATA 케이블과 컨버터 이용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e-SATA 규격 케이블이 최대 2M
박문형 2023-05
어떻게 생긴 레이드 카드인가요??

검색해봐도 검색이 잘 안되네요..
     
메탈포스 2023-05
위에 잘못적었네요 MegaRAID SAS 8708EM2  모델명이 이거네요 ^^;;
사타케이블은 시리얼 통신이기 때문에 크로스나 이런 건 없고요
이게 코액시얼 케이블의 한종류인데 동상 차상 신호의 두선을 그라운드된 하나의 차폐 구조속에 넣는 방식입니다
기본적으로 이 정도 대역을 가지는 내부선들은 규약 길이가 벗어나 길어지면 데이타의 신뢰성은 없다고 보셔야....
자체 에러정정인 패리트비트도 어느정도 수준이하에서 떨어져야 보정이 되는거지 모든 데이타 비트가 케이블내의 전송 과정에서
임계이하로 약해지거나 다 깨지면 의미가 없죠

2 미터나 50 미터 케이블은 사타 하드를 연결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물리적 구조의 장점만을 이용하기 위한 거라 보시면 됩니다
가령 50 미터 막선 대신 50 미터 사타 케이블 쓰면 특정 목적에서 즉 대역폭이 그리 높지 않은 곳에서 동상 차상용 신호 통신용 케이블로
는 막선을 쓰는거보다는 노이즈 차폐력이 훨 뛰어나기 때문이죠 커팅칼이 필요하지만 정밀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없는 칼대신
있는 도끼를 쓰는 일종의 차용이라 봐야죠
AKA지니 2023-05
8707e라는기 외부 포트가 어케 생겨 먹은건지 모르겟지만
8088이나 8644일꺼라 보고
8088 to sata 나 8644 to sata 를 구해보세여
왜 힘들게 안되는 sata티케이블을 연장 하시려나 모르겟네요
외부포트용 sas케이블은 차폐가 잘되잇어서 sata케이블보다 한계 길이가 훨 더 깁니다
3m짜리 같은거도 흔한편 입니다
규격에 따라 최대 15m짜리까지 잇습니다

dell 이나 래노버나 ibm이나 emc 시스코 같은 벤더 껄 구매하시면 걱정이 없겟지만 sas to sata같은 변태 구성은 벤더서 취급안해서 애초에 그런 케이블이 없고 몰렉스 제조품이면 믿을만하지만 워낙 짭이 많고 이름 없는건 차폐가 정상적으로 되어있다는걸 확인 할길이 없으니... 어느정도 모험은 하셔야 하긴 합니다

https://a.aliexpress.com/_oBvDxhZ

https://a.aliexpress.com/_oo39ms7

알리서 검색 첫번째 링크이니 참고만 하세요
     
메탈포스 2023-05
답글 감사합니다 ^^ sas 36pin이라 1m 이상 케이블이 없네요,
AKA지니 2023-05
댓글쓰고 중간에 댓이랑 이전 게시물을 보니
8708em 라는걸 알게됨... 내부포트삐 없네요?
내부포트는 내부에 연결 하라고 만든거라 외부포트용 케이블이랑 다릅니다... sas도 내부용 케이블은 1m넘어가는건 없을껄요
 외부포트 잇는 카드로 바꿔보심이 어떨지
장터에 저렴이들 곧잘 올라옵니다
이전에도 게시글 올리신거보니 굳이 그렇게 구성을 해야 하는 상황인거 같아 보이시는데....
설령 안되도 교육비로는 그리 비싼 가격은 아닐껍니다
만약 우에처럼해서도 안되면
sas 포트 지원하는 인클로저를 사용하셔야겠지요
1차로 외부포트 hba랑 케이블 사용해서 sata연결해보고
안되면 sas 인클로저 추가구매하고 정상적으로 외부포트끼리 연결

sast 케이블 연장은 잊어버리십시오 당장 어케 붙는다 하더라도 그게 지속적으로 이상없이 정상동작하리라는 보장이 없습니다
애초에 그렇게 사용하라고 만든 규격이 아니라서...
     
메탈포스 2023-05
답변 감사합니다..
개인 컴이 아니고 대기업 가동중인 장비라 맘대로 할 수 있는게 아니라서요 ㅠ.ㅠ
제 컴 같으면 이미.. Raid 카드부터 바꿔버렸을듯요.
          
AKA지니 2023-05
그럼 더더욱
그게 그렇게 되는기 아닙니다
라고 하시고

운영중인 장비로 테스트할 여건이 안되면
8088붙은 hba랑 8088 to sata케이블 하나 사서
다른 pc에서 테스트 해보시지요
되면 시연해주시고 이랴도 싫은면 치우셍 시전...
어차피 그상황에서 스티브잡스 할애비가 와도 해결 몬합니다

테스트 가 실패하면 돈 날리는거긴한데
그리 큰돈 들어가는거 아니라...
그정도 테스트 비용(?)이 아깝거나 성공 메리트가 없다면 아예 손 안데는기 맞습니다

장터에 8088붙은 hba 한 2만원 정도면 구할껍니다
케이블은  그리 긴건 알리 같은데서 사셔야할꺼고
오늘자 기준 장터에
9217 4i4e 2만
9205 4i4e 1만
매물 있네요

둘다 hba로 펌 입혀서 쓰면 패스스루 됩니다
만약 성공하고 hba를 바꾼다면
카드 붙힐 장비가 일반 pc면 저 카드들 요구 lpm이 200 이라 히트싱크에 40mm 20T 쿨러 메달아 주셔야 할껍니다 lpm 200이 cfm으로 약 7 정도 됩니다
20T까진 슬롯 2개 먹고 넘어가면 3개 먹습니다

아참 이 와중에 8708em을 it가 아니라 ir상태로 물려 쓴 상황이라면.... 데이터 부터 백업 받아야할껍니다 성능이나 그 외 불가피한 상황 아니면 레이드는 장기적인 유지보수면에서 뭣같은거라...
애초 패스스루로 쓰거면 hba에 it펌만 입히면 되고... 확인이 힘들면 걸 일반 pc sata에 물려서 불륨이 인식 되는지만 보면 됩니다 그럼 그게 레이드가 아닌거...
간장게장 2023-05
SAS8708EM2 SAS raid controller는 3G SAS 카드인데, 사용하는 SAS1078 chip의 문제로 2TB 이상의 SATA 디스크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SAS 1이라서 그런 것이 아니라 SAS1078 칩의 문제입니다.

이 콘트롤러는 sff-8087 포트 2개가 있어서 8개 까지의 디스크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주문하여 오고 있다는 케이블이 잘 되면 좋고, 잘 안된다면 다른 것이 필요합니다.

https://www.2cpu.co.kr/sell/527706
이 게시물은 제가 15 bay DAS를 팔기 위해 올려 놓은 게시물입니다.

이 게시물에서 옵션 7을 보세요. sff-8087 to sff-8088 converter입니다. SAS 내장과 외장을 전환해 주는 젠더입니다. 이런 것 2개가 있어야 합니다.
이런 컨버터는 알리익스프레스나 eBay 등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옵션 7에 보이는 것은 포트 2개 짜리인데, 포트 하나 짜리도 있습니다.

SAS8708EM2와 converter 간을 짧은 'sff-8087 to sff-8087 cable'로 연결하면 sff-8088 외장 포트가 생깁니다.

두개의 converter 사이는 'sff-8088 to sff-8088 케이블'로 연결합니다. 제가 올린 위 게시물의 옵션 1은 5m 짜리 케이블입니다. eBay에는 Dell EMC에서 나온 10m 케이블도 올라와 있습니다. 케이블 값은 그리 비싸지 않은데, 케이블이 두꺼워 돌돌 말아 상자에 넣어도 한국까지의 운송비가 꽤 나옵니다. 2-3m 짜리가 가격도 싸지만 운송비가 적게 나올 겁니다. 알리익스프레스 같은 곳에서도 구할 수 있을 듯 합니다.

마지막으로 다른 한쪽의 컨버터에 있는 sff-8087 내부 포트와 사용하려는 장비의 SATA 포트를 'sff-8087 to SATA breakout cable'로 연결합니다. 이곳 장터에서 쉽게 구할 수 있을 겁니다.

연결 순서를 요약하면

SAS8708EM2 레이드 카드 - 'sff-8087 to sff-8087 cable' - SAS 내외장 컨버터 - 'sff-8088 to sff-8088 cable' - SAS 내외장 컨버터 - 'sff-8087 to SATA breakout cacle' - 사용하려는 장비 SATA 포트

꽤 번거로와 보이지만 SAS8708EM2를 사용해야 한다면 이게 정식의 방법입니다. SAS8708EM2 대신 LSI의 sff-8088 포트 달린 외장 raid 카드를 사용한다면(hba 카드는 안된다고 보고) 컨버터 하나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QnA
제목Page 335/5725
2014-05   5245124   정은준1
2015-12   1770566   백메가
2023-05   1730   victor1
2023-05   1822   미담
2023-05   1632   구차니
2023-05   2002   NinaDobrev
2023-05   1700   Super호스팅
2023-05   1875   김루노
2023-05   1953   NiteFlite9
2023-05   4478   whatmatrix
2023-05   2887   naan
2023-05   2165   이매망량2
2023-05   2149   일론머스크
2023-05   3559   이매망량2
2023-05   2218   블루영상
2023-05   2119   강민준1
2023-05   2976   서울강북미…
2023-05   1167   sbg2005
2023-05   1932   아인시스
2023-05   2379   워니님
2023-05   3473   레볼루션
2023-05   2350   tantan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