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배님들, 초보적인 질문하나합니다. 메인보드 a/s관련.

   조회 4036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문득 든생각인데, 서버 벤더를 고가에 구매하면 A/S나 기술지원이 되니까 사는건데,
만일 그 이하 중고로구매하거나 각개조립하여 서버를 구축하면 A/S문제가 크지않습니까.


그럼 A/S기간이 확보가되는 일반 PC를 구매하는건 어떤지요?
예를들면 CPU는 AMD 7950X3D
메인보드는 msi meg x670e 에이스  3년보증
파워는 EVGA 850GQ 10년짜리

이런제품을 구성하다가, 서버로사용하다 메인보드나 파워부에서 뻑나면,  A/S를 받을수있으니
이런쪽구성도 고가의 새 벤더구매하는게아니라면 고려해볼만하진않나.. 라는생각이드는데, 고수님들 의견은 어떠신지요?

물론 서비스가 끊겼을때 타격이있거나 하는 곳이라면, 무조건안되겠지만
서비스가 끊겼을때 동일한PC로 미리 구비해뒀거나, 아님 서비스일시중지띄워놓고 하루이틀 있어도되는곳이라면

가능하다는 생각이들어서요...^^

너무초보같은질문인가싶긴한데, 서버공부를하다보니 물을데가 여기밖에없어서,
너그러이 양해부탁드립니다.

서명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강호 2023-05
완제품PC AS와 조립PC AS가 같진 않겠죠?
박문형 2023-05
보통 서버 구축해서 쓰다가 디스크만 떼서 일반 PC에 붙이면 디스크에 있는 프로그램은 거의 동작하지 않습니다..

리눅스 지원 같은 경우 서버는 몇몇 상용리눅스와 그에 준하는 리눅스들에 대하여 호환성을 보장하며 기술지원도 해주지만

PC는 리눅스에 대한 기술지원이 공식적으로는 없다고 봐야 합니다..

그리고 윈도우즈도 PC용만 기술지원이 된다고 봐야죠..


그리고 벤더서버나 조립서버 무상 AS가 어떤 것인지도 알아야 합니다..

벤더서버는 계약에 따라 틀리고 거기에 따라 가격도 틀리지만 최소한의 무상 AS는 AS워런티 남은 부품만 교환해줍니다..

벤더서버의 엔지니어가 나오지 않고 퀵서비스로 부품만 왔다갔다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조립 서버도 마찬가지입니다..

문제 있는 벤더서버 바리바리 싸서 구매한 곳에 고쳐 달라고 해도 구매한 곳에서는 AS나 기술지원은 벤더 AS센터에서 하는 것이다 라고 하고 끝나 버립니다..

조립서버는 구매한 곳에 이야기 하면 구매한 곳에서 처리해주거나 구매한 곳에서 구매한 최종 윗단 AS센터 가라고 하던지 합니다..

PC같이 부품 단위로 AS센터를 헤맬 수도 있습니다..

벤더서버든 조립서버든 새것이면 구매 전에 견적서나 계약서등을 잘 확인하고 모르면 구매 확정전에 확실히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중고 제품은 그런 AS나 기술지원이 없다라고 봐야 하고 모든 것을 구매한 사람이 알아서 풀어야 합니다..


그리고 하드웨어 고장이지만 보통 수리가 되면 하드웨어만 수리가 되지 소프트웨어는 수리하지 못합니다..

(하드웨어도 상황에 따라 수리가 재대로 안될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라이센스와 데이터의 보호는 사용자(엔드 유져)가 알아서 잘해야 합니다..
     
역시 단순한 문제가아니였군요. 감사합니다!
사용중 일주일에 한번 꼴로 블루스크린이 뜹니다.
일반 PC로 조립하신 경우, 램 에러일지, 보드 문제일지, CPU문제일지, 파워 문제일지, 지원되지 않는 OS를 사용해서 나타난 소프트웨어 문제일지 알수가 없습니다.
하나씩 하나씩 부품을 다 교환해보셔서 결국 해결하시면 다행이지만, 누군가는 서비스 장애에 대한 사과문을 일주일에 한번씩 써야합니다. 동일 PC를 하나 더 구비해 두셨다면 그나마 덜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만... 비용이 2배가 되서 서버랑 비교했을때 가격적 우위가 어느정도 될지 잘 모르겠습니다.
     
아 그렇군요. 저는 메인보드가 맛이가면 바로 문제파악이되겠다싶었는데 그런문제가아니다보니 손이 많이가겠군요..^^;
죠슈아 2023-05
서버 벤더 구매는 A/S나 기술지원이 되는것 뿐 아니라
시스템 신뢰성 때문 입니다.
전자뿐이라면 보증기간이 끝난 것은 벤더 서버로서 가치가 없을까요?

그리고 듣보잡 수준의 msi meg x670e. 를 벤더 서버와 비교 하시면 않됩니다.
보증기간이 끝난 중고 벤더 서버는 신뢰성 안정성 때문에 판매되고 구매됩니다
이베이에서 MSI 보드로 조립한 서버를 판매하면 누가 살가요?
파는 것을 보셨나요??

비교할 것을 비교 하셔야지요  MSI 화이트박스를  벤더들 HP/DELL/Supermicro/Intel 등등 서버 기종과 비교 ㅎㅎㅎㅎㅎ
     
그 안전성이라는것이 역시 크게적용하는군요.
네이버 글들을 훅 읽다가,  서버쪽 관련종사자분인데  일반PC로 서버관련내용을 말씀하시는걸 봤던기억이났는데
역시 무리인가봅니다..^^;;
박문형 2023-05
+100

국가 공공기관 , 대기업 같은 곳에서 벤더 서버를 사용하는 이유도 시스템 신뢰성과 책임 그런 것들 때문입니다..

그리고 옛날보다 벤더서버는 많이 저렴해지고 조립서버는 많이 사라져 가고 있습니다..
     
공공기관이나 대기업에서 책임자로있다면 당연히 비용상관없이 문제가생겼을때 바로 처리가될수있는 고사양,고가의 벤더를 구매하는게
당연히 서버관리자 직원이라면 맞는것같은데...  ..^^;;;
파렌하잇 2023-05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개인이나 소호에서의 서버이고 서비스장애의 문제에서 책임소재가 자유롭다면 일반 PC도 비용적인 부분에서 메리트가 있다고 봅니다 하지만 서비스 장애에서 자유로울수 없다면 규모와 상관없이 벤더서버가 좋습니다

서버를 운영하다보면 파트AS는 정말 아무것도 아닌경우가 많습니다 벤더서버의경우 AS기간내에서 부속공급이 가능하고 조립 서버나 PC의 경우 파트 제조사의 서비스망을 통해 AS를 받는게 가능하니까요 그리고 어지간해서는 무상기간내에 고장나는경우는 드문것 같습니다 하지만 안정성이나 호환성에서는 어마어마한 차이가 나지요

365일 24시간 내내 동작해야하는 서버의 특성상 눈에 보이지않는 부분의 차이(컴포넌트의 급이 다릅니다 컨덴서의 내압,온도 차이부터 하다못해 소켓의 금도금 두께까지요...)로 안정성은 극과 극을 달리게 되지요 그리고 벤더사에서 수없이 테스트해서 검증된 구성에서 오는 호환성도 시스템 구성에서 장애요소를 극단적으로 줄일수 있는 부분입니다
     
그렇군요.
저도 사실 개인사업을한지 4,5년되는데 4,5년동안 컴퓨터를 하루에 16시간이상 꾸준히 켜놓는것같습니다. 
바쁠때는 한달내내 한번도 끈적이없는수준이라. 물론, 서버와 비교를 하겠냐만은..    근본적으로 얼추 좀 가능할듯싶어서 머리를 굴려봤더니
역시 보이지않는 디테일에서 안전성문제를 많이 짚어주셨네요.
많은공부되었습니다.
파렌하잇 2023-05
조립이나 일반 PC와 벤더의 가격차는 보통 굉장히 불합리한부분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고 봅니다 하지만 어찌보면 합리적인 금액일수도 있지요 벤더사의 지원과 안정성, 호환성을 돈주고 구입하는것이니까요

규모에 따라 다르겠지만 인건비로 환산해본다면 어떨까요? 두세사람의 엔지니어를 써야할 시스템을 벤더사를 통해 지원받는 서비스와 신뢰성이 올라감으로 인한 유지보수 소요 감소로 한명이 돌릴수있는 상황이 온다면 초기비용의 차이로 장기간 소요되는 추가비용을 줄일수 있을겁니다 조금 극단적일지는 모르겠지만 시스템의 불안정으로 서비스 장애가 발생하고 이로인한 비용소모까지 고려한다면 보험치고는 엄청난 이익이 있을수도 있지요
파렌하잇 2023-05
별것 아닌것 같은 10년 넘어가는 벤더서버도 동시대의 일반
중고 PC보다 몇배의 가격에 거래되는경우가 많습니다

성능차이만 놓고 보자면 동시대의 일반 PC가 오히려 더 좋은경우도 많은데 왜 비싸게 거래가 될까요? 안정성 때문입니다

서버라는건 단순히 성능만이 전부가 아닙니다 위에도 적었지만 사소한 컴포넌트 하나까지도 철저하게 내구성과 안정성에 중점을 두고 만들고 테스트했기에 생기는 신뢰도와 벤더사에서 제공하는 솔루션들이 그 가치를 증명하는것이죠
     
컴포넌트하나까지도 신뢰가있다.
많은 도움이되었습니다..!
이선호 2023-05
왜 컨슈머용 MB 1위인 ASUS가 서버시장에서 찬밥중에 찬밥인지 생각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asus가 동급 보드 중 가장 저가형 부품을 사용해도 소비자가 사주지만 서버 시장에서는 반대 상황이어도 구매하지 않지요.
제온프로 2023-05
CPU 성능이 좋으니 한번 시도를 해 보세요.
레이드 컨트롤러만 달 수 있다면.
또한 하드 2.5베이 인클로져만 달 수 있다면..
또한 6채널 메모리만 지원 해 준다면.
또한 메인보드 바이오스롬이 상당히 커서 여러 카드들을 받아 줄 수 있다면.
이런 문제들이 해결이 되면 좋은 솔루션입니다..

사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한 것이 Epyc 이긴 합니다.

찾아 보니 CPU가 19만원도 아니고. 95만원 달라고 하는데
이게 맞는 건지요?
제온프로 2023-05
서버 설계비용 을 꼭 생각해주세요

삼성도 몇천억 투자해도 만들수 없는게
지금의 HP Dell 의 서버 설계 수준입니다
감히 supermicro,Asus, Gigabyte,Asrockrack
야들이 범접할수가 없어요

서버도 저렴한 것이 있어요
R630, R730은 가장 공들이고 잘만든 주력서버 입니다

R430
R530
R330
R230

가격도 저렴하고 기능도 그져그런 서버 라인업입니다
흑기사 2023-05
1. 서버 완제품 구입한다면 제품을 산거 그대로 사용하다 문제 생기면 제조사에서 서버를 테스트해서 어느 부품 문제인지 확인하고 수리 교환까지 다 처리해 줍니다. 사용자는 서버 보내고 유상이면 비용 주는거 말고는 할거 없습니다.

2. 서버 부품 각개로 사서 조립구매한다면 각 부품 제조사는 조립한 서버를 테스트해주지 않습니다. 서버 조립한 사용자가 어느 부품이 문제인지 하나하나 테스트하는 것은 물론이고 부품 제조사에 니네부품이 문제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입증까지 해야 부품 제조사가 수리나 교체를 해줍니다.

둘의 차이가 이해 안된다면 직접 겪어보시는게.


QnA
제목Page 336/5729
2015-12   1789086   백메가
2014-05   5264149   정은준1
2011-07   7365   이종송1
2013-12   5149   Dreamer
2016-06   5298   클로이베넷
2019-10   6036   이희주
2011-07   7915   허원
2015-04   4549   감각놀이
2021-02   7820   유호준
2015-04   3895   김제연
2018-09   3836   컴박
2021-02   3477   까치산개꿀탱
2017-06   5246   Noname1
2019-11   3403   이문영
2014-01   7030   허대웅
2021-02   6656   신은왜
2011-08   6054   김준유
2015-05   4824   심우철
2024-05   1560   미담
2014-01   4775   Nicoffeine
2014-01   4509   윈도우10
2016-07   4720   차넷컴퓨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