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개이상의 스토리지를 하나로 묶어 용량 뻥튀기해 파는건 사기일까요? 합법일까요?

   조회 2223   추천 0    

예를들면 20tb 외장 ssd라길래 뜯어보니

4tb 5개를 raid로 묶어놓고 20tb라고 한거면

이건 사기라고 보시나요?

서버 만들고픈 뉴비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3-05
견적서나 스팩에 명시되어 있냐 아니냐에 따라 다르지만 불법이라고 보기 힘듭니다..

동작은 20TB 가 되기 때문이죠..

구매자는 구매전에 기기의 특성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sbg2005 2023-05
22

견적서나 설명에 따라 다르죠.

고가용성, 속도향상을 위해 일부러 레이드 구성을 하고, 그걸 명시해놨다면야.

상품 설명에 분명 디스크 몇개 장착인지 나와있을겁니다.
술이 2023-05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구나.
아파트 32평이라고 들어갔는데 실평수 25평이면 죄다 사기고 불법이 될까요?
김준연 2023-05
전혀 아닙니다. 20TB 1개가 들어간다고 하고서 저렇게 하면 안 되지만, 그냥 20TB라고 총 용량을 제목 등에 기재한 뒤 설명 가운데 4TB * 5로 기재되어 있으면 매우 정상적으로 표기된 것입니다. 보통 DAS나 NAS 등의 저장장치는 저장장치 하나만 달랑 그 용량으로 들어간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 않아서 보통 제목에는 총 용량을 기재하고, 상세 설명에서 저장장치의 실제 구성을 기재합니다. 물론 정말 아무것도 몰라서 DAS/NAS를 사서는 안 되는 사람이라면 좀 이야기는 다를 수 있지만, 이러면 저걸 사서는 안 되기에 아예 논외 사항입니다.
박문형 2023-05
다른 예로 보통 구매하는 하드디스크 1TB 제품을  구매하였는데 윈도우즈에서 사용할려고 설치하고

포맷하니까 900MB로 디스크 관리자에 표시되고 에러나 불량이 없습니다..

이것도 사기인가요???
     
황재광 2023-05
이건 부적절한 예시라고 생각하는것이 과거 하드제조사가 해당건으로 집단소송 두둘겨맞고 배상한 적이 있습니다.
물론, 그때는 해당 문제를 "운영체제에 따라서 용량이 다를 수도 있다"라는 식으로 애매하게 표기를 했었었고
배상을 두둘겨 맞은 그 이후에는 1GB = 1,000,000,000bytes 같은 명확한 표기를 해서 최소한 법률적으로 문제는 없어졌지만요

다시 생각해보니 오히려 아주 적절한 예시군요
표기에 따라서 소송당해서 두둘겨 맞냐 안맞냐의 제대로된 예시니까요
일단 저장매체의 특성상, ssd 같은경우 칩을 하나달면 8gb 두개달면 16gb 이런식으로 되기때문에, 언급한 스펙상의 성능이 나와주면
2개든 5개든 문제는 없다고 봅니다.
물리적인 문제로 보기엔 저장매체가 만들어지는 방법이 점점 확장되는 방식이기에 그렇습니다.
pcb 판에 128gb 칩 하나 박혀서 128gb ssd가 있고, 64gb 칩 두개 박혀서 128gb인게 있잖아요? 만들어놓고 스펙이 정상이면 정상인거죠.

하나로 포장 해놨는데 뜯었다고 그게 여러개가 된다는게 아니라, 여러개가 하나의 케이스에 묶여서 1개가 되고, 그게 파는사람이 언급한 스펙대로 나온게 된다면 문제가 없는겁니다.
wd elements duo 외장 드라이브도 8gb로 표시 및 판매 하지만 내부적으로 4tb*2 장착되어있습니다
pc에 붙이면 8tb로 잡히고,,, 사기도 뭐도 아니고 전혀 문제 없습니다.
FreeBSD 2023-05
메모리 64기가짜리 시스템을 판매할 경우에요
8기가 8개일수도 있고 심지어는 4기가 16개 일수도 있습니다.
16기가 4개일수도 있구요. 제품 스펙에 표기만 되어 있으면 문제가 전혀 없습니다.
문현식 2023-05
예를 들자면
예전 1테라 HDD 보면... 플래터가 2장짜리도 있고 3장, 4장 짜리도 있었습니다. 모두 동일한 1테라 용량이죠.!!
디스크를 여러개 묶어서 구성된 용량을 사기라고 보는건 좀 무리인거 같습니다.


QnA
제목Page 333/5727
2014-05   5253783   정은준1
2015-12   1778722   백메가
2023-12   2947   yummy
2022-05   2020   일론머스크
2015-02   5067   김은호
2018-06   4188   ghost
2017-04   3317   정은준1
2022-05   1382   L2스위치
2011-03   5890   소주한병
2016-04   5154   김희영
2019-08   2963   김건우
2013-10   6842   미수맨
2018-07   4458   김건우
2020-11   6185   붉은허스키
2022-05   1510   slowcity
2011-03   8986   NeXT
2015-03   6163   이형동
2015-03   4390   김건우
2011-03   7381   구학선
2015-03   5122   오성기
2013-10   5677   송승화
2020-12   10759   NU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