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7420 |
0 |
2014-05
5267420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2422 |
25 |
2015-12
1792422
1 백메가
|
108040 |
Hyper-V vCPU에 관하여 문의 드립니다. (4) |
권덕환 |
2013-05 |
15999 |
0 |
2013-05
15999
1 권덕환
|
108039 |
EMC DS4100B 4GB SAN firmware 파일 문의 |
이상율1 |
2018-03 |
3679 |
0 |
2018-03
3679
1 이상율1
|
108038 |
메모리 양면, 단면 장착시 속도저하 문제 질문 드립니다. (7) |
인디고 |
2013-05 |
15187 |
0 |
2013-05
15187
1 인디고
|
108037 |
z420 에러? 질문입니다. |
wdm42 |
2017-01 |
4445 |
0 |
2017-01
4445
1 wdm42
|
108036 |
충전기에 있는 전자 소자의 명칭을 알고 싶습니다. (5) |
오준호5 |
2016-02 |
4208 |
0 |
2016-02
4208
1 오준호5
|
108035 |
우유 질문입니다 (11) |
술이 |
2020-07 |
2325 |
0 |
2020-07
2325
1 술이
|
108034 |
개조제온 도와주세요... e5472 p5q deluxe. (1) |
feed |
2014-11 |
5775 |
0 |
2014-11
5775
1 feed
|
108033 |
owncloud 초기화는 어떻게 하나요 |
LINKINPARK |
2017-01 |
4613 |
0 |
2017-01
4613
1 LINKINPARK
|
108032 |
이걸 이용하면 광으로 CATV를 송/수신 할 수 있을까요? (1) |
김정규B |
2022-01 |
2526 |
0 |
2022-01
2526
1 김정규B
|
108031 |
단순 파일서버 용로 + 토렌트 n36l은 현역으로 사용가능할까요? (26) |
Sikieiki |
2018-03 |
4991 |
0 |
2018-03
4991
1 Sikieiki
|
108030 |
ATEC 같은데서 제조하는 망 분리 PC 내부구조가 어떤 형태인가요? (3) |
봉래 |
2019-05 |
5024 |
0 |
2019-05
5024
1 봉래
|
108029 |
pc 스트레스 테스트 툴 (6) |
winner712 |
2020-08 |
5202 |
0 |
2020-08
5202
1 winner712
|
108028 |
Raid5운영중 Hot Spare 추가 가능한가요? (8) |
김충환 |
2013-06 |
10383 |
0 |
2013-06
10383
1 김충환
|
108027 |
장터에서 판매 구매 외에 교환 글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3) |
과거지사 |
2010-05 |
7392 |
0 |
2010-05
7392
1 과거지사
|
108026 |
vcenter 제가 이해하고 있는게 맞나요? (10) |
행복하세 |
2019-05 |
3088 |
0 |
2019-05
3088
1 행복하세
|
108025 |
2012서버와 xpenology의 웹서버는 어떤 차이인가요? (8) |
SkyBase |
2013-06 |
7362 |
0 |
2013-06
7362
1 SkyBase
|
108024 |
Adaptec 7805 vs 8805 먼차이가 있나요? (6기가, 12기가 지원차이 외에는...) (5) |
폴라리스 |
2014-11 |
6277 |
0 |
2014-11
6277
1 폴라리스
|
108023 |
XW8600 (1) |
제타 |
2016-02 |
3613 |
0 |
2016-02
3613
1 제타
|
108022 |
시놀로지 RS1221RP+ 파워팬 교체 가능할까요? (11) |
용석 |
2023-08 |
2126 |
0 |
2023-08
2126
1 용석
|
108021 |
사무용 복사기 문의드립니다. (3) |
김호성 |
2010-06 |
9849 |
0 |
2010-06
9849
1 김호성
|
원통형은 웬만한 파우치타입과는 다르게
양극쪽에 가스압 벤트가 있어서 그상태로 죽거나 아예 터지면 몰라도 부푸는건 못본 듯 합니디
심선은 제가 밧데리 전압을 보기 위해 중간을 끊고 배선을 까서 잿기때문에 확실히 봤습니다.
생각보다 배선이 두께가 좀 있었습니다.
저런 저가 중국산 스피커도 생각보다 많이 발전됬기때문에 전원만 잘 챙긴다면 좋은소리가 나옵니다.
뭘 모르니까 최대한 주의하려고 합니다.
가끔씩 배터리 폭발사고 기사 나오고 하는것 보면 이렇게 배터리 제품을 분해해서 뭘 한다는게 좀 떨리기도 하구요.
그리고 이 스피커도 셀만 용량맞게 좋은것 넣어주면 앵커나 트라이빗처럼 가성비 좋은 블투 스피커 될것 같다는 생각은 듭니다.
대신 가격도 그것과 비슷하게 될것 같네요.[밧데리 값이 기기전체의 50% 정도 될것 같은데요.]
아마도 전에 사용 안하고 오래 두었다가 자연방전이 되고 그 것이 충전지가 동작 못할 때까지 간 듯합니다..
그 것 아니면 두개의 셀중 하나가 고장난 것이겠죠..
사용하지 않더라도 가끔씩 충전해주면 (한달에 한번 정도 풀충전 이나 사용후에 충천) 오래 사용 가능하실 듯합니다..
한달 후에 완전 방전되었습니다.
처음부터 밧데리 불량이었습니다.
사족으로 전압이 전원 들어가서 7.2V로 가는게 아니라 5V로 강압해서 사용하게 하는 방식일겁니다. 8.4~6V 이내의 전압값을 값는 배터리팩 이용해서 5V 강압하여 이용하는 방식은 블루투스 스피커중 약간의 고출력모델들에는 흔한 방식입니다.
배선굵기관해서는 플레이 타임이 정말 15시간 이라지만 최대와트로 막 써서 7시간만 쓴다고 치더라도 3300/7=0.471, 즉 시간당 471mah정도만 소모되기 때문에 전선의 굵기는 제가 보내드린걸로 충분합니다. 더구나 연장할때 쓴 그 전선은 실리콘전선 22awg 짜리라서 시간당 8A까지 버티는 전선입니다. 전선관련해선 지금상태로도 아무런 문제가 없을겁니다.
정말 원래 배터리가 3300mah가 맞느냐를 확인 하시려면 어차피 그 배터리는 고장이라 생각되니 수축튜브 벗겨서 사진 한번 올려주시면 스펙을 찾아보겠습니다. 다만 아무것도 안 쓰여있다면 못찾을겁니다. 만약 뜯으신다면 각 셀의 전압도 측정해서 그 값도 올려주시구요. 보호회로가 있다면 보호회로 고장일 수도 있으니 전압 나오는지 확인 할 수 있는 기회가 될수도 있겠네요.
덕분에 너무 쉽게 해결되었습니다.
5v로 고출력을 낼 수 있다는게 흥미롭네요.
제가 아는 상식으로는 전압=출력이라 출력을 높이려면 전압이 높아야하고 그래서 저출력 기기는 3.7v로 동작하고 출력이 좀 더 높은 기기는 직렬로 전압을 높여 사용하는줄 알았습니다.[7.4v]
만일 그게아니라면 BTL이나 저도 잘모르는 디지탈 증폭을 이용한 고출력을 내는 방식일까요?
배선 굵기는 추가한 배선이 아닌 배터리에서 나온 선을 봤을때 원래것보다 좀 가늘어보였습니다.
그래서 정말 3300을 사용한 것이 아닌가 싶어서요.
2200을 사용해도 안전에만 문제없으면 상관없습니다.
음악 듣는 시간도 오래들어야 4시간 넘을 일도 없고...
배터리 분해는 겁도나고 추후에 이것도 업체를 이용해서 리필 해볼 생각이라 일단 보관해 두는것으로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최근들어 저출력 디지털기기 상당수는 3V 내지는 3.3V를 베이스로 동작하기때문에 1셀 내지는 병렬조합으로 런타임을 뽑아낼수 있지만 어느정도 출력이 필요한기기들은 단순히 병렬 조합만으로는 런타임과 출력을 양분하기 어렵습니다 1셀을 스텝업회로를거쳐 5V로 돌린다면 승압과정에서 손실이 커지니까요 그래서 2셀이상 직렬로 연결후 스텝다운하여 구동하는 형태의 회로를 많이 사용합니다 전류량을 줄여서 얻는 효율의 장점이 있어 런타임과 출력 모두 밸런스를 잡아내기가 좋죠 전압과 전류의 상관 관계로 예를 들어보자면 전기차 배터리의 고전압화를 예로 볼수 있겠습니다 저압으로 용량만 늘린다면 출력이 나오지않아 구동성능의 하락이 발생하고 기본전압이 낮은만큼 충전시간이 길어지게되니 이를 해결하기위해 고전압시스템으로 넘어가기 시작하거든요 전압이 올라가면서 전류량을 줄일수있게되니 전선과같은 도체의 부피를 줄일수있게되는점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