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1116 |
25 |
2015-12
1791116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6190 |
0 |
2014-05
5266190
1 정은준1
|
108032 |
Hyper-V vCPU에 관하여 문의 드립니다. (4) |
권덕환 |
2013-05 |
15998 |
0 |
2013-05
15998
1 권덕환
|
108031 |
EMC DS4100B 4GB SAN firmware 파일 문의 |
이상율1 |
2018-03 |
3678 |
0 |
2018-03
3678
1 이상율1
|
108030 |
메모리 양면, 단면 장착시 속도저하 문제 질문 드립니다. (7) |
인디고 |
2013-05 |
15185 |
0 |
2013-05
15185
1 인디고
|
108029 |
z420 에러? 질문입니다. |
wdm42 |
2017-01 |
4444 |
0 |
2017-01
4444
1 wdm42
|
108028 |
충전기에 있는 전자 소자의 명칭을 알고 싶습니다. (5) |
오준호5 |
2016-02 |
4207 |
0 |
2016-02
4207
1 오준호5
|
108027 |
우유 질문입니다 (11) |
술이 |
2020-07 |
2325 |
0 |
2020-07
2325
1 술이
|
108026 |
개조제온 도와주세요... e5472 p5q deluxe. (1) |
feed |
2014-11 |
5772 |
0 |
2014-11
5772
1 feed
|
108025 |
owncloud 초기화는 어떻게 하나요 |
LINKINPARK |
2017-01 |
4612 |
0 |
2017-01
4612
1 LINKINPARK
|
108024 |
이걸 이용하면 광으로 CATV를 송/수신 할 수 있을까요? (1) |
김정규B |
2022-01 |
2525 |
0 |
2022-01
2525
1 김정규B
|
108023 |
단순 파일서버 용로 + 토렌트 n36l은 현역으로 사용가능할까요? (26) |
Sikieiki |
2018-03 |
4990 |
0 |
2018-03
4990
1 Sikieiki
|
108022 |
ATEC 같은데서 제조하는 망 분리 PC 내부구조가 어떤 형태인가요? (3) |
봉래 |
2019-05 |
5019 |
0 |
2019-05
5019
1 봉래
|
108021 |
pc 스트레스 테스트 툴 (6) |
winner712 |
2020-08 |
5198 |
0 |
2020-08
5198
1 winner712
|
108020 |
Raid5운영중 Hot Spare 추가 가능한가요? (8) |
김충환 |
2013-06 |
10383 |
0 |
2013-06
10383
1 김충환
|
108019 |
장터에서 판매 구매 외에 교환 글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3) |
과거지사 |
2010-05 |
7390 |
0 |
2010-05
7390
1 과거지사
|
108018 |
vcenter 제가 이해하고 있는게 맞나요? (10) |
행복하세 |
2019-05 |
3088 |
0 |
2019-05
3088
1 행복하세
|
108017 |
2012서버와 xpenology의 웹서버는 어떤 차이인가요? (8) |
SkyBase |
2013-06 |
7361 |
0 |
2013-06
7361
1 SkyBase
|
108016 |
Adaptec 7805 vs 8805 먼차이가 있나요? (6기가, 12기가 지원차이 외에는...) (5) |
폴라리스 |
2014-11 |
6276 |
0 |
2014-11
6276
1 폴라리스
|
108015 |
XW8600 (1) |
제타 |
2016-02 |
3612 |
0 |
2016-02
3612
1 제타
|
108014 |
시놀로지 RS1221RP+ 파워팬 교체 가능할까요? (11) |
용석 |
2023-08 |
2119 |
0 |
2023-08
2119
1 용석
|
108013 |
사무용 복사기 문의드립니다. (3) |
김호성 |
2010-06 |
9847 |
0 |
2010-06
9847
1 김호성
|
제가 막아 보겠습니다.
시스템 설계와 Spec 을 적당한 것으로 잡아 줄테니
1. NAS 의 사용 용도
2. NAS 의 사용자 수
3. 예산 정도
4. 헤놀로지에 대한 이해
5. 기타등등 을..
알려 주세요. 설계를 해드리리다.
적당하고 , 알맞고, 저렴하고, 내구성 좋고, 여름에도 잘 버틸수 있고. 이런 방향으로 설계를 해 드리리다.
쪽지로 주셔도 좋고.
게시글에 추가해 주셔도 좋고..
부끄러우시면 전화주세요. 제 자기소개에 전화번호 있어요.
2.사용자는 저 혼자입니다. 컴퓨터 2대, 혹은 3대로 파일을 왔다갔다 할 일은 있지만 사용자는 저 혼자입니다
3. 하드값까지 포함해서 100만원정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4.헤놀로지보단 트루나스를 생각중입니다.
5.케이스는 신한아이앤씨 WISEGIGA WISE-NAS 8, 보드는 ASRock H610M-ITX/ac D4 에즈윈으로 구매했고 사실상 이제 하드와 cpu만 고르면 됩니다.
나중에 우분투로 서버 만들려고 하고 있고요
방향도 잘 잡으신 것 같아요.
트루나스 좋네요..
신한아이앤씨 WISEGIGA WISE-NAS 8 = 이 본체도 아주 준수 하더군요.
CPU는 좀 강할 수록 좋아요.
저전력으로 할때는 코어 수를 줄이고. 클럭도 조절 할 수 있으면
원하는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죠.
하드드라이브는 고민할 게 없어요.
SAS HGST 울트라스타 중고.. 이게 좋습니다. 저렴하면서 내구성좋은... 4T / 6T 가 좋습니다.
전기세 문제만 극복할 수 있다면.
정말 좋은 본체는
HP ML350 3.5 LFF
Dell T620, T630 이죠.
서버로도 강력하고. NAS로도 강력하고..
아래는 해당 케이스와 보드일때 참고할만한 내용 적었습니다.
5-1. CPU: 일단 H610M-ITX 로 구매를 하셨으니, 홈페이지 CPU 지원탭을 보시면 셀러론은 2가지가 있는데, 시장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는 것은 G6900 하나밖에 없습니다. 2코어만 해도 충분하실거고요. TDP가 46W 이라 충분히 저전력 입니다.
https://www.asrock.com/MB/Intel/H610M-ITXac/index.kr.asp#CPU
5-2. 메모리 이야기는 없으신데, 용량은 4G~8G 정도만 하셔도 TrueNAS 용으로는 충분하고, ZFS사용시 많을수록 좋긴 합니다. DDR4 3200Mhz 끼워 주시고요.
5-3. 해당 케이스가 파워 미포함일건데, FLEX 파워 250W이상 꼽아주시고요
5-4. 해당 케이스 베이가 8베이인데, 보드의 SATA만 꼽으신다면 4베이만 사용 가능하실겁니다. 4개만 써도 되고, 아니면
LSI 9211-8i 나 H200 혹은 H310등 저렴한 RAID 카드 구하셔서 IT펌(혹은 레이드용 IR펌이어도 레이드 설정안하고 기본으로 사용)으로 MiniSAS(SFF-8087) to SATA 케이블 각 커넥터 4개짜리 2개 (합쳐서 총 8개 커넥터) 구하셔서 레이드 카드에 장착하고 하드 베이에 8개 꼽아줍니다.
5-5. 위 RAID 카드를 꼽은 경우에만 SAS 하드도 장착 가능하므로, 하드 디스크는 제온프로님이 추천하는 SAS HGST 울트라스타 저용량 내지 여타 SAS 3.5인치 하드 구해서 꼽아줍니다. 처음부터 8베이 다 채워도 되지만, RAID 1 모드 기준으로 2개부터 시작하셔도 무방합니다. 레이드 카드가 없는경우에는 보드 SATA 4단자이므로 SATA하드 4개까지만 사용가능합니다.
5-6. TrueNAS는 그 자체로 OS이므로 설치하시면 바로 나스가 됩니다.
그리고 이 질문에 대해 생각해볼만한 답을 드립니다. 검색 못해보신다 하지는 않으실 것으로 생각되며, 이걸 검색하여 결과를 보시는 순간 하신 질문의 답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HP MicroServer Gen8에 엔트리용으로 제공된 CPU 모델명이 무엇이었을까요?'
예전에는 QnA 게시판에
머리글로...
"선 검색 후 질문" 이라는 글귀를 머릿글로 사용했었습니다.
기성품 사는게 고민할 여지가 줄어듭니다
반대로 질문하죠
NAS 만들어서 무슨 용도로 할 것인가요?
NAS를 순수하게 스토리지로만 쓸 지 아니면
스토리지를 포함한 컴퓨팅 머신/vm 관리 등 까지 전부 통합해서 구축할건가요?
공부하는 초창기에 빠지기 쉬운 함정인데
모든장비를 다 갖추고 한대에서 하겠다는 욕심을 버리고
한번에 하나씩 구축해보고 밀고 날리고 하는것이 용이합니다.
한가지 서비스 돌리는 상황에서 새로운 기능 추가하면서 하려면 날릴 위험도 높아지고 머리만 아픕니다.
추가로 첨언하면, 'XX라는 작업을 할 수도 있다'는 생각으로 시스템 구성을 해서는 절대 안 됩니다. 'XX라는 작업을 확실히 하고 있다/해야만 하는 목적이다'인 경우에만 하드웨어 구성에 반영해야 합니다. '예정'은 실제로 거의 대부분 안 하는 것으로 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