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한 메모리의 HP 파트 인증은 메인보드가 어떻게 알아차리는 걸까요?

정무현   
   조회 2368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안녕하세요.


동일한 서버 메모리 제품 번호를 가지고 있는데, HP 인증 스티커가 붙어있는 모델과 아닌 모델이 있습니다.

M393A4K40BB1

( 이미지 출처 풀로드시스템 님의 글 https://www.2cpu.co.kr/sell/533469, 문제되면 쪽지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


스티커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을 HP서버에 장착하는 경우 HP 서버는 이를 구분할까요?...


스티커가 없는 M393A4K40BB1 모델을 HP 서버에 꼽아봤지만, 서버가 인증 제품이라고 알아차리지 못하더라구요...


따로 어디에 라이팅을 해놓는걸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안철현 2023-06
램기판에보시면 작은  8핀 SPI칩이 하나 붙어 있습니다. ( 중간즈음에 아주 작게 있습니다. )
거기에 램제조사, 모델정보, 모듈 정도, 속도 등등을 기록해둡니다.
     
정무현 2023-06
SPI칩은 HP정도의 벤더라면 기록, 수정이 가능한 칩인걸까요?
맞다면

삼성에서 M393A4K40BB1 스펙을 기록해둔상태에서
HPE에서 구입해서 검증후, 추가 기록하는 방법인거 같네요.
          
박문형 2023-06
벤더사 메모리와 리테일 메모리 차이점은

벤더사에서 해당 컴퓨터용 메모리를 몇군데 메모리 제조사에서 메모리를 가져와 테스트를 해보고

그 중 몇 가지를 선택하여 메모리에 들어가는 펌웨어를 자신(벤더)의 펌웨어로 집어 넣어 생산을 합니다..

그렇게 생산후 벤더 정품 스티커를 붙이고 벤더 정품 박스를 합니다..

많은 벤더의 파츠들은 그렇게 펌웨어만 특정화되어 있는 것이 많습니다..

하드디스크도 같은 파츠의 넘버를 가진 것이라도 실 제조사는 시게이트 , WD , HGST 등 여러가지인 경우가 보통입니다..

한군데 제조사만 선택하면 그 제조사의 제품이 물량이 없는 경우나 문제가 생기는 경우 부품을 꾸준히 받을 수 없기에 곤란해지죠...
               
안철현 2023-06
저도 자세히는 모르지만..
이론상으로는 SPI칩은 읽고 쓰기가 가능하구요.

( 알리에보면 SPI Writer를 판매하고, 각종 메모리 SPI Data를 제공해준다고는 하는데.. )

오래전 DDR2 시절까지는 읽고쓰기가 가능했는데..
DDR3 넘어오면서 보안이나 손상이슈때문에
메모리 생산과정에서 데이터를 기록하고난뒤
더이상 변경을 못하도록 LOCK이 걸린다고 하더군요. ( 읽기전용으로 변경 )

그래서 데이터를 변경하거나 손상된 데이터를 복구하려면
동일 사양의 SPI칩을 구입해서
SPI 라이터로 기록을한뒤로
다시 부착해야하구요..

메모리 인식 불량중에는
이 SPI칩의 데이터가 손상되어서 인식안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dateno1 2023-06
벤더라면 저런건 얼마든지 수정 가능합니다

저기보다 횔씬 작은 회사들도 다 수정해서 내보냅니다
박문형 2023-06
직접 테스트를 안 해봐서 완전히 정확하지는 않지만  (조립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람은 HP 정품 메모리 사용해도 보드에서 에러메세지 같은게 안 나오니)

CPU-Z 같은 프로그램을 돌리면 어떤 메모리 슬롯에 어떤 메모리 모듈이 꼽혀 있는지 나옵니다..

거기에서 제조사가 어딘지 메모리에 붙은 스티커와 모델명이 같은지 확인해보세요..



https://habony.tistory.com/2700

윈도우즈 CMD로 메모리 모듈 정보를 보는 법이네요..
화란 2023-06
SPD 칩이라고 하구요

거기에 부가 정보가 써 있는데

읽고 > 저장하고 > 수정하고 > 비싼 장비로 쓰기가 된다고는 합니다...
     
안철현 2023-06
아.. SPI가 아니고 SPD가 맞습니다. 용어기업이 잘아나서.. ㅎㅎ
          
화란 2023-06
넹.

락걸려도 좀 비싼 장비로는 쓰기가 가능하다고 해요. 참고만 하세요^^
박문형 2023-06
벤더사에서 메모리 제조사에 주문을 넣을때  우리 벤더사 용으로 이렇게 저렇게 만들어서 납품해주세요라고 하면

메모리 제조사에서는 그렇게 만들어 줄 겁니다..
     
정무현 2023-06
그럼 모델명 뒤에가 조금 씩 달라져야 되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통신사마다 스마트폰 모델뒤에 영문자가 추가되듯이
M393A4K40BB1-HPE, M393A4K40BB1-DELL 같이요...
박문형 2023-06
그런 식이 된다면 아마도 OEM 제조가 아닌 ODM 제조가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리고 그렇게 된다면 ENDUSER의 AS (RMA)도 제조사가 떠안아야 될 수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벤더사 파츠의 기술지원 , RMA 등은 그 벤더사가 맏아서 책임을 집니다..



삼성이 제조한 HP 용 메모리가 고장이 나서 문제가 생겼을때 삼성 메모리 AS센터 들고가서 AS해달라고 하면 해주나요??

OEM 이라 안됩니다 그러죠..


그리고 벤더사 메모리가 같은 파츠 넘버를 가지더라도 원천 제조사는 1군데가 아닌 경우가 많습니다..

삼성 , 마이크론 , 하이닉스 , 그 외의 제조사 의 메모리 모듈들이 다 같은 파츠 넘버를 가지고 있고 실제 그 벤더 서버에서는 섞어 써도 잘 돌아갑니다..

어느 메모리 파츠가 어떤 원천 제조사 어떤 모델을 사용한다는 것은 벤더사가 제품을 구성할 때  각 제조사의 셈플들을 테스트 해보고

문제 없는  원천 제조사의 모델을 골라서 자기네 벤더 파츠 제품으로 등록하고 구성, 생산합니다..
이글보니 메모리 값 비쌀때 칩 모아다 삐짜램 만들어 팔던 시대가 생각나는군요......
SD-RAM  시대 이던가요?
     
파렌하잇 2023-06
북간도에서 비짜램 만들어 팔던게 기억나네요 헛헛;;
파렌하잇 2023-06
메모리 SPD(EEP롬) 라이터가 있어서 수정이 가능합니다 예나 지금이나 대부분 수정이 가능하지만 일부 제조사의경우에는 라이팅 끝나고서 락을 걸기도 합니다 별 의미가 없긴 하지만요...

밴더사 파츠의 경우 과거에는 메모리 제조사에 기록할 내용을 전달하여 OEM생산시에 별도로 SPD라이팅을 해서 밴더사에 납품했었는데 최근에도 똑같이 하는지는 모르겠네요


QnA
제목Page 319/5725
2015-12   1768501   백메가
2014-05   5243187   정은준1
2023-06   3960   정무현
2023-06   2490   kamiss
2023-06   3130   비빔밥빔비
2023-06   4971   고구마군
2023-06   2042   바부팅이
2023-06   2346   장동건2014
2023-06   1553   김효수
2023-06   2213   SouthH
2023-06   2286   삐돌이슬픔이
2023-06   1146   epowergate
2023-06   1703   미담
2023-06   1633   iwill
2023-06   1768   장동건2014
2023-06   1941   흔냥이
2023-06   1238   keros
2023-06   2386   MWWM
2023-06   1689   히카리3
2023-06   2930   슈퍼윤
2023-06   2599   이창준
2023-06   2886   오성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