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하드웨어 구성

   조회 2481   추천 0    

안녕하세요.
현재 4명이 모여 작은 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서버와 관련하여 몇 가지 질문을 드리고자 글을 남깁니다.

현재 홈서버 -> 파이어베이스(firebase) -> 아마존웹서비스(AWS) 순으로 규모가 커질 때 마다 갈아탈 예정입니다.
여기서 정확한 단어를 알고있지 않아 '홈서버'로 표현한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데이터베이스, 이미지 호스팅 등의 기능을 포함한 웹사이트를 구동하는데 있어 3700X, B450, 128GB를 사용해도 무방할까요?
많은분들이 서버용 컴퓨터에서는 서버용 CPU(제온 등)을 이용하시는 것 같아 문제가 없을지 고민입니다.
록키 리눅스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와 기타 프로그램이 함께 돌아갈 것 같습니다.

또 동시 접속자가 1,000명이라고 했을 때 웹사이트의 평균 트래픽을 KT 인터넷 1G 으로 감당 가능할까요?
KT 약관, 블로그 등을 읽어본 결과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웹서비스를 운영해도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였는데, 이와 관련하여 자세히 아시는분은 답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서버에 대해서는 정말 문외한인 사람으로서 질문드립니다.
웹서비스를 한다라고 했을 때 정말 꼭 필요한 장비 무엇이 있을까요?
다른 게시글들을 살펴본 결과 APS, 방화벽, 스위치 등이 함께 구성되어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현재 각각의 역할도 모르지만, 무엇이 있으면 좋은 것이고 무엇이 필수적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웹서버를 직접 돌리고 계시거나 돌려보신 경험이 있으신분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강호 2023-06
1. 서버용 하드웨어는 에러 보정이나 내구성에 특화가 된 것이지 임시로 거쳐간다면 큰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
2. 트래픽은 산출물이 나와봐야 가늠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3. 특별한 일 없으면 공유기, 무정전전원장치만 있어도 됩니다. 나중에 클라우드로 옮기실텐데 굳이 장비를 화려하게 꾸밀 필요는 없을 거 같습니다.
     
과거합격 2023-06
답변 감사합니다.
말씀해주신 무정전전원장치 찾아봐야겠네요.
sbg2005 2023-06
중구난방으로 답해드리자면,

서비스가 요구하는 고객 1인당 트래픽 양을 먼저 산정 하세요. 1인당 10MB정도씩만 필요하다면야 대기열 두고 순서대로 처리하게끔만 하면 동시접속자 1천명 거뜬하죠.

근데 수백메가, 기가단위로 필요하다면 1MB/S 속도로 100명에게 나눠 제공한다 해도 불가능 수준으로 서비스 품질 저하가 발생 할거고요.
     
sbg2005 2023-06
서버 장비는 마음의 평화와 유사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사용 합니다. ECC 메모리등 에러 보정이 있기도 하고요. 일반사용자용 데스크탑 CPU보다 보통 코어 수가 많기 때문에, 다중 처리 능력이 좋은 점이 있기도 합니다.

다만 필수는 아닙니다. 서버라고 뭐 엄청나게 특별한 무언가가 있는것은 아니거든요.

신속대응은, 대형 벤더 서버 워런티만 있다면, 수도권 기준으로 부품 고장시 3시간 내 교체부품 퀵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1년 365일 24시간 횟수제한 없이요.
          
과거합격 2023-06
답변 감사합니다.
일단 서비스를 제작 완료하고 자체 테스트를 통해 1인 당 얼마의 트래픽이 적당할지 팀원들과 상의해봐야겠네요.
박문형 2023-06
#1 : 개발하는 프로그램이 PC에서 잘 돌아가고 그 시스템이 부하를 견딜수 있다면 PC를 사용해도 되기는 합니다..

        그러나 PC와 서버 의 가장 큰 차이점은 CPU에서 ECC 메모리를 지원하느냐 못하느냐 정도가 가장 크고

        서버는 대용량의 CPU코어와 대용량의 메모리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서버는 PC보다 대용량의 데이터가 움직일수 있게 되어야 하며 그에 따른 I/O 장치 ( 랜카드 / 디스크 등) 도

        PC와는 다릅니다..

#2 : 또 동시 접속자가 1,000명이라고 했을 때 웹사이트의 평균 트래픽을 KT 인터넷 1G 으로 감당 가능할까요?

        ==> 하나의 접속자가 얼마만큼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일으키냐가 중요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얼마만한 네트워크 대역폭이 필요한지는

              대략적으로 계산이 가능하나 재대로 하려면 테스트 기간을 두고 서버호스팅 회사에 가상서버든 물리서버든 구축해서
 
              실제 돌려 봐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개인용 인터넷 라인은 저런 트래픽을 견디지 못하고 하루 트래픽량이 초과되면 속도도 100매가로 떨어져 버립니다..


#3 : 사무실에서 회사의 웹솔류션을 돌릴려면

      기업용인터넷라인
      방화벽
      각종 네트워크 장비
      웹서버 ( 1대일수도 있고 여러대일수도 있고)
      UPS
      전산실

      정도가 필요할 듯하며

그것을 IDC에 있는 호스팅회사에서 서비스 받는다면 사무실에서 일일히 장비 구축하는 것보다는 편합니다..

호스팅회사는 기업용 네트워크라인과 방화벽은 기본으로 되어 있고 (사용하려면 계약해야겠지만) 서비스에 따라 백업 서비스도 해줍니다..


어느 것을 하든 돈이 장난 아니게 들텐데  두가지 상황(사무실이냐 호스팅서비스를 받느냐)에 대해 견적을 잘 뽑아보세요..
     
과거합격 2023-06
답변 감사합니다.
각종 네트워크 장비의 예시가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박문형 2023-06
기업용인터넷 라인 === 방화벽 === 기업용 라우터 === 스위치 허브 ==== 각 PC 혹은 서버


방화벽도 네트워크 장비라고 볼 수 있는데 처리할수 있는 능력에 따라 가격이 천차 만별이고 이쪽은 라이센스 기간에 대한 유지관리계약이 따로 붙기에

그 기간이 끝나면 계약 연장을 해야 합니다..

인터넷 라인을 설치하면 라인만 사무실에 딱 들어와서 끝나는 경우도 있고 방화벽과 기업용 라우터까지 들어오는 경우도 있고

방화벽이 빠지고 기업용라우터만 들어올 수도 있습니다..

어쨌던 랜선을 꼽으면 컴퓨터가 인터넷이 될 정도까지는 셋팅해줄겁니다..

그 밑단으로 필요한 네트워크 스위치와 랜선 공사 같은 것은 보통 회사에서 알아서 합니다..

서버를 놓게 되면 거기의 트래픽 용랑에 맞추어 모든 네트워크 장비가 견딜 정도의 장비를 갖추어야죠..


그리고 사무실에 서버를 놓게 되면 상황에 따라 24시간 근무를 해야 할 수 있습니다..

사무실에서 서버가 돌아가는데 장애가 나거나 사고로 서버에 불이나거나 하면 어쨌던 누군가는 사무실로 불려올 수 밖에 없습니다..

호스팅 서비스를 받으면 어쨌던 호스팅회사에서 24시간 사람이 붙어서 감시를 하기에 문제 발생시 이렇게 저렇게 하달라 원인파악해달라하고

문제 해결을 조금이나마 액티브하게 할수 있습니다..

뭐 결국은 서버 이상유무 채크나 네트웍 라인 차단 서버 끄기 정도 밖에 호스팅회사에서는 하는 것이 없다고도 볼수 있지만

관리자로 볼때는 손발이 되어서 문제 해결에 있어 시간을 벌어 줍니다..
               
과거합격 2023-06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박문형 2023-06
그 외에 IDC 센터 건물 가보시면 호스팅업체들이 그 건물에 사무실을 임대해서 사용할 것입니다..

호스팅과 관련 없는 업체들도 있지만 보통 그런 업체는 자기네 서버들을 그 건물 IDC나 호스팅회사에 설치하고 바로 옆에 사무실을 얻어서

자기네 서버들을 관리합니다..
     
과거합격 2023-06
IDC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금액적인 부분만 맞다면 최고의 대안이겠네요.
          
제온프로 2023-06
서버 100~150만원

월 7만원

대략 이정도..
               
과거합격 2023-06
IDC 비용을 찾아봤는데, 업체마다 다르긴 하지만 생각보다 가격이 나가긴 하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올닉스 2023-06
서비스가 어떠냐에 따라 규모차이가 달라지겠지요.
규모에 따라서 공간에 열관리도 고려해야해서 저라면
테스트랑 시작은 직접하겠지만 애매한 규모는 호스팅찾게 되는것 같습니다.
브랜드서버냐 PC냐도 위에 이미 조언들을 하셨지만 만일을 위해서 입니다.
서비스를 한다면 HA구성도 하면 만일에 대비 할수있고 백업도 필요해보입니다.
     
과거합격 2023-06
글에는 넉넉히 1,000명 규모 정도로 써놓았지만, 아마 정식 서비스를 진행한다면 600명 정도 되면 넘어가지 않을까 싶네요.
HA구성도 공부를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dateno1 2023-06
웹서버라면 사항 충분합니다

그 숫자 1기가론 택도 없어요 (단순 계산으로 1기가/1000=1메가인데 이정도면 페이지 로딩 기어다닙니다

거기다 QoS땜에 용량 다 쓰는 순간 떨어진 속도는 더 형편없는 수치입니다

그리고 가정용 인터넷이라면 약관상 과도한 부하 발생시 언제든 회선 끈켜도 불평 못합니다

모든 장비는 다 각각의 역활과 필요성이 있습니다 (방화벽부터 시작해서 종류별로 다 있어야한다고 생각해주세요) (이거땜에 초기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서 소규모 서비스는 입주하던지 클라우드 쓰지 자체 서버실 안 갖추는겁니다)
     
과거합격 2023-06
답변 감사합니다.
KT 1G 기준 하루 QoS가 150GB라고 하니, 코드를 리소스 최대한 적게 소비하도록 노력해봐야겠네요.
SaaS는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기술가이드에 따라 구축해야 되고, IaaS는 개발자가 스택을 직접 구축해야 되서 개발 방향이 다를 수 있습니다.
사용하시려는 최종 플랫폼의 형태에 맞춰 한번에 개발과 상용을 준비하셔야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실 것 같습니다.
그리고 홈서버를 사용해 내부 개발용도로 사용하신다면 최소 구성은 사용하시려는 포트가 막히지 않은 인터넷 라인과 홈서버만 있으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리눅스를 사용하실건데, 기본방화벽(Firewalld)가 있으므로 사용하시는 포트만 오픈한 후 개발에 활용하시면 됩니다.

아래는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1. 데이터베이스, 이미지 호스팅 등의 기능을 포함한 웹사이트를 구동하는데 있어 3700X, B450, 128GB를 사용해도 무방할까요?
  : 개발목적이면 상관 없는데, 상용이면 최소한 서버호스팅 이상의 옵션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일반PC로는 서비스 안정성을 담보 할 수 없습니다.

2. 또 동시 접속자가 1,000명이라고 했을 때 웹사이트의 평균 트래픽을 KT 인터넷 1G 으로 감당 가능할까요?
  : 사전에 아파치 AB나 JMeter 등으로 부하 테스트가 가능합니다. 성능 측정은 직접 해보셔야 가늠하고요.
    서비스 중일때는 모니터링을 통해 필요시 서버 추가 투입을 고려해야 합니다. AWS의 경우 EC2에서 Auto Scaling 사용으로
    자동으로 서버 추가투입도 가능합니다.

3. 웹서비스를 한다라고 했을 때 정말 꼭 필요한 장비 무엇이 있을까요?
    : 앞서 많은 고수분께서 설명해 주셨듯, 회선, 방화벽 스위치등 네트웍장비, 서버 등이 최소 구성이고 목적에 따라 특정 영역에 추가적인 장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서버가 정전시에도 꺼지지 않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UPS도 고려할 수 있는데, 모뎀, 스위치, 방화벽, 서버까지 모두 전원 커버가 되지 않고 어느 한쪽이 죽으면 사실상 서비스가 안되니 잘 고려하셔야 합니다. 서버의 경우에도 일반 PC는 가능하지 않은데, 파워모듈 고장을 대비해서 리던던트 파워개념으로 최소 2개이상 파워를 장착해서 장애를 대비하기도 합니다.
     
과거합격 2023-06
플랫폼 까지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MVP 모델 개발과 초기에만 사용될 예정이라 말씀대로면 큰 문제는 없을 것 같네요.
Caroline 2023-06
음 다른분들이 하드웨어 관련해서는 많이들 답변 달아주신거같아서 저는 그냥 제 경험담 공유드리겠습니다 ㅎㅎ..
https://www.2cpu.co.kr/QnA/888232
저는 KT 가정용 회선의 약관/QOS 이슈에서 좀 자유로워지고자 오피스넷으로 갈아탔습니다.
     
과거합격 2023-06
경험담 감사합니다.
윗분들 말씀을 토대로 1G 이상의 인터넷을 사용해야 할 것 같은데 QoS가 2배로 늘어나면 리소스에 여유에 있어 상당한 메리트네요!


QnA
제목Page 319/5729
2015-12   1789616   백메가
2014-05   5264609   정은준1
2023-06   1794   김말고
2023-06   1805   이선호
2023-06   2238   김민철GC
2023-06   3015   김민철GC
2023-06   1849   min1597
2023-06   2134   이희주
2023-06   3778   바부팅이
2023-06   2186   시도니
2023-06   1987   kmw24
2023-06   1867   구십평
2023-06   1802   사랑하라
2023-06   2243   수퍼싸이언
2023-06   1661   노재현
2023-06   1765   VSPress
2023-06   2314   도유
2023-06   2613   VSPress
2023-06   2369   미수맨
2023-06   2848   미친감자
2023-06   2737   스무프
2023-06   2963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