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2 L3 스위치 구분하는 방법과 라우터 구성

Caig   
   조회 4447   추천 0    

안녕하세요.


L2 , L3 스위치 설명이 없는 스위칭 허브는 어떻게 구분해야 하나요?
현재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광섬유

XN neobox X2 방화벽기기

ZIO GSB2460SW 스위칭 허브

나머지 허브 및 라우터들


되어있는 상태인데, 약 8년전 공사 이후 아무것도 건들지 않았다고 하네요...

일단 방화벽기기와 스위칭허브에 연결된 케이블에는 VPN기기ㅡL2 스위치 라고 적혀있긴 한데,

L2 스위치는 맥번호를 받아다가 연결해주지만 라우팅 기능이 없다고 알고있는데..


그럼 저 스위칭허브가 L3 스위치이면서 L2 기능이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이 이유는 저 스위칭 허브가 거의 10년되어  CISCO CBS250-48T-4G-EU 로 교체하려는데, 문제가 없을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CISCO CBS350 을 사야하는지  고민입니다.(L2)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강호 2023-06
1. 매니지먼트 기능이 있다면 L3 기능이 있는지 확인하여 구분할 수 있습니다.
2. 매니지먼트 기능이 없으면 L2 스위치입니다.
https://prod.danawa.com/info/?pcode=1900816#bookmark_product_information
     
Caig 2023-06
L2 스위치인데 그것을 저희가 사설 IP를 부여해서 라우팅하고 있는데, L2 스위치는 그 기능이 없지 않나요?
L2스위치는 맥 어드레스 구분만 할 뿐, 라우팅 기능은 없는것으로 알고 있어서 궁금합니다.
          
김강호 2023-06
IP 관리는 방화벽이나 사내 라우터에서 해주고 있나 봅니다.
               
Caig 2023-06
방화벽기기에서 라우팅을 하고있다고 하네요 ㅎㅎ;;
마왕 2023-06
레이어숫자 아래는 자동적으로 지원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ZIO GSB2460SW 이 모델은 언 매지니먼트 스위치로 l2 스위치인데 아무 스위치나 포트수만 맞춰서 교체해 주시면 되는데 iptime 같은것은 비추 입니다.

구성이 워낙 허접해서 안정성이 떨어 집니다.
     
Caig 2023-06
현 ZIO것이 L2스위치인데, L3 스위치로 교체가능하다고 보면 되겠죠?

구매하려고 하는 CISCO CBS250-48T-4G-EU 요것이 언매니지먼트인거같은데 L3 스위치입니다.

일단 가장 최근에 나온 48포트로 CISCO걸 알아보니 이게 제일 싸서 궁금했습니다..
          
이일저일 2023-06
L3이면서 매니지드 스위치일 겁니다. L3이면 라우팅 테이블도 들어가고 해서 포트마다 주소도 주어야 하고 라우팅 테이블도 관리해야 해서 언매니지드 일 수 없습니다.
스위치에 연결된 모든 네트워크가 한 통(같은 주소대역)이면 L2이고, 다 다른 주소대역이면 L3로 생각하시고요.
콘솔포트가 있으면 매니지드, 없으면 언매니지드 일 가능성이 큽니다.
               
Caig 2023-06
콘솔 포트가 스펙상으로는 RJ45와 CISCO 미니 usb-b가 있다고 하니 L3로 봐야겠지요....????

web UI를 통한 관리도 가능하다고 하니 더욱 더 매니지드인거같아요.

그럼 ZIO 이것을 CISCO것으로 그대로 장비 교체만 진행하여도 OSI 계층상 변동은 있어도 문제는 없다고 봐도 되는것이 옳은 해석인지 궁금합니다.
                    
김강호 2023-06
L3 스위치를 L2 스위치처럼 운용하려면 설정이 필요합니다.
          
마왕 2023-06
l3 스위치를 설정없이 사용하면 언 매니지먼트 스위치와 동일하게 작동합니다.
CISCO CBS250-48T-4G-EU  는 매니지먼트 스위치 인데요.

언매니지먼트 스위치는 l3 스위치가 없습니다.


l2 이상은 모조리다 매니지먼트 스위치입니다.
박문형 2023-06
스위치 모델명 확인하고 스팩이나 메뉴얼 확인해야 L2 /L3 구분이 될 겁니다..

L2라도 몇몇 기능이나 명령이 L3인 경우도 있습니다..

https://shop.itsns.co.kr/products/cisco-cbs250-48t-4g-eu-business-250-series-48port-1000mbps-4sfp

https://ubiqnet.co.kr/mall/m_mall_detail.php?ps_goid=4962

CISCO CBS250-48T-4G-EU 는 기능이 확장된 L2 스위치로 봐야 겠네요..

L3 스위치는 보통 L3 스위치다라고 설명하고 들어가거든요..
     
Caig 2023-06
이 모델이 다나와 구분상으로는 L3 스위치로 명시되어있어서 L3로 알고있었는데 아닌가보네요

제가 너무 무지하지만 하나만 여쭙자면...
기능이 확장된 L2스위치와 L3 스위치의 차이가 어떻게 되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이곳저곳 둘러보는데 L2스위치를 사용하던 곳이면 L3 스위치가 상위의 기능을 포함하기에 대체해도 된다... 라고 해석이 되어서요 ㅜㅜ

맘 같아서는 기존의 ZIO L2를 CISCO 로 바꾸면서 죄다 CISCO 로 통합해버리고 싶네요..
          
마왕 2023-06
l3 이기는 한데...아주 초보적인 맛보기 수준이라고 보시면 되고 본격적인 프로토콜은 지원하지 않네요.

static 라운팅만 지원되니까요.

 l3 를 l3 설정안하고 l2 설정만 해서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Caig 2023-06
현재 사용중인 시스템이 static 라우팅 정도만 하고있어서 단순히 오래된 라우터를 교체한다는 느낌으로 가려고합니다 ...!
박문형 2023-06
저도 전문가가 아니라서 잘은 모르지만

L3 스위치는 대부분 디폴트 동작에서 L2 스위치 모드로 동작합니다..

L3 스위치는 라우팅 기능이 있기에 여러대 붙이고 셋팅하면 C 클래스 IP 를 여러개 수용할 수 있다 정도로만 알고 있습니다..

즉 IP 갯수 256개 이상을 사용할 때나 L3 스위치를 쓴다 정도입니다..

대규모 네트워크가 되고 L3 셋팅하려면 돈주고 셋팅 전문가가 와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L3 많이 사용하는 곳은 3대 인터넷 통신사 같은 곳 정도로 생각합니다..

CISCO 로 통째로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CISCO 자격증을 가진 기사를 보유한 CISCO 전문 판매점과 상담하세요..

그리고 CISCO 기업용 모델인 카탈리스트 씨리즈를 알아보세요...

CISCO 장비는 좋기는 하지만 가격도 가격이고 유지보수 비용도 만만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CISCO 별로 안 좋아합니다..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zagatoson&logNo=222474637745&categoryNo=0&parentCategoryNo=61

https://shadowjin21.tistory.com/entry/%EB%84%A4%ED%8A%B8%EC%9B%8C%ED%81%AC-%EC%9E%A5%EB%B9%84-%EC%95%8C%EC%95%84%EB%B3%B4%EA%B8%B0-1%ED%83%84-%EC%8B%9C%EC%8A%A4%EC%BD%94

ZIO 스위치는 L2가 맞고 저것만 교환 하고 싶으시다면 CISCO 외 다른 제품도 많이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ZIO 스위치가 오래 동작해도 죽지 않고 버틴게 놀랍네요..
     
Caig 2023-06
ZIO 스위치메인으로 최대 많이 쓸때는 150개정도 라우팅했던 것 같습니다.
이제는 바꿔줘야 할 것 같아요..

근무하는 곳이 병원이다보니 유지보수비용이 나오더라도 절대적인 안정성 때문에 CISCO를 찾게되었는데,
올려주신 글들에 나온 시스코 장비 소개 및 라이선스 내용 잘 검토해서 좋은 결과를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aig 2023-06
     
박문형 2023-06
보통 다나와에 올라가 있는 시스코 제품들은 요즘 제품군이 추가된 소호용 정도의 제품입니다..

본래 시스코가 옛날부터 만들어온 데이터센터나 엔터프라이즈 제품이 아닙니다..
박문형 2023-06
병원이시다라고 하면 실제 공사를 하는 시스코 전문 업체 찾아서 상담받기를 권해드립니다..

책임 문제도 있고요..

그리고 네트웍에서 장비 안정성도 중요하지만 네트워크 케이블 품질도 중요합니다..

그래서 이름 있는 장비 사용하는 곳은 비싸도 같은 회사의 옵션 파츠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UTP 케이블은 최소 LS전선급 그 외 더 비싸지만 유명한 AMP 같은 곳의 케이블과 커넥터를 사용합니다..

네트워크 장비 아무리 좋아도 이름 없는 싼 중국산 케이블 썼다가 문제 터져서 난리 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Caig 2023-06
맞습니다.
안그래도 천천히 네트워크 공사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저희가 내부적으로 할것과 외부 견적을 받아볼 것을 구분하면서 예산을 꼼꼼하게 집행하려고 공부하고있습니다.

조언 감사히 듣겠습니다.
박문형 2023-06
그 외 시스코와 거의 비슷한 성능과 안정성의 네트워크 제품을 만드는 곳이 HPE (옛날 HP)  입니다..

HPE 도 제품군이 굉장히 복잡합니다만 필요하시다면 엔터프라이즈 제품군으로 알아보면 될 겁니다..
     
Caig 2023-06
지금 사용하는 것들이 HPE 이긴 한데.....
안정성이나 점유율이 시스코가 압도적이어서 기왕이면 주류층으로 가는게 좋지 않나 해서 여쭈었었습니다.

HPE도 선택사항에 넣어두고 면밀히 검토해보겠습니다!
박문형 2023-06
https://www.arubanetworks.com/ko/products/switches/access/5400r-series/

저에게는 드림머신인 HPE 모듈형 L3 스위치입니다..

저 모듈형 스위치의 역사는 꽤 오래되었습니다.. 10/100 시절부터 나온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몇 가지 세부 씨리즈가 존재합니다..

스위치 엔진과 전원파워가 이중화가 가능합니다..
     
Caig 2023-06
아 저희한테는 딱 인 것 같아요.

포트도 140개가량에다가 이중화가 되어있으니 안정성도 있을 것 같구요.

저희도 포트가 112~156개정도가 필요해서 44스위치 3~4개를 스태킹하려고 했었는데 이렇게 되면 이게 나은 것 같기도 합니다.
          
박문형 2023-06
중앙집중화가 가능하시면 저런 장비가 좋기는 합니다..
          
박문형 2023-06
*비밀글입니다
               
Caig 2023-06
*비밀글입니다
               
Caig 2023-06
견적과 상담 받아봤는데 확실히 5406 스위치가 가격이 세네요 ㅜㅜ..

저희는 일단 MDF 공사는 1~2년 후 진행할 예정이라 지금은 스위치 교체용 정도로 24*6 t-base 견적을 받아봤는데,

예상 금액의 거의 2배에 준하는지라 참...어렵네요..
                    
박문형 2023-06
시스코로도 알아보시고 넷기어로도 알아보세요..

그러나 어느 정도 급이 있기에 HPE 외 시스코나 넷기어도 가격은 만만하지 않을 겁니다..
                         
Caig 2023-06
*비밀글입니다
시도니 2023-06
L2 / L3 / L4 / L7 Switch 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1. L2 스위치는 기본적인 포트를 분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소위 우리가 편하게 부르는 HUB 입니다. 원칙적으로 HUB라는 말은 틀린 말입니다.
  원래 원칙상 HUB는 리피터장비로  L1 물리장비로 봐야 하기 때문에, 스위치가 HUB는 학문적으로는 분리됩니다만, HUB라는 장비가 이제는 쓰이지
  않고 이를 Switch가 모두 대체했기 때문에 HUB=L2 Switch 라는 말과 통용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원래 L2 Switch 에도 Cut-throuth , Store & forward , 이를 혼합 하는 방식등 여러가지가 있었습니다만, 현재는 현존하는 거의 모든 스위치들은
  Store & forward 로 동작합니다. 이는 Managed Switch 나 Unmanaged Switch 나 모두 ASIC 의 성능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2. L3 스위치는 OSI/7 Layer 3계층 Routing 기능이 추가된 것입니다. 원칙적으로 라우팅을 할 수 없는 L2 스위치에서 Vlan 간 혹은 다른 네트워크 구간을
  경유해야 하는 경우, L3 라우팅을 위한 Router 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L3 스위치는 L2 Switch 와는 다르게 L3 라우팅 기능을 통해서 상호 통신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3. L4 스위치는 장비에 따라서는 Load balancer 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OSI/7 계층의 4계층에 대응함으로서 TCP/IP Session 층 까지 패킷을 열어서
  현재 바쁜 회선이나 죽은 회선을 막고, 서비스의 연속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네이버를 접속하면, 네이버에는 이를 처리하기 위
  한 웹서버가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이를 위해서 L4 스위치가 가장 붐비지 않는 웹서버로 분산해 연결해주는 역활을 하게 됩니다. 이 L4를 통해서
  상위에서 설명한 SLB(Server Load Balancing) 을 하거나, FLB(Firewall Load Balancing) 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FLB는 말그대로, 방화벽이 바쁠경우
  다른 방화벽으로 세션을 바꿔주거나, 하나의 방화벽이 죽었을 경우, 세션을 분산하기 위한 용도입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방화벽 성능이 크게 좋아져서
  FLB에 의존하지 않고, 방화벽의 Multi Active-Standby , Active-Active 구성만으로도 충분히 버티기 때문에, 최근 시장에서는 FLB의 용도로 보다 SLB 용도로
  많이 사용합니다. 최근에는 거의 모든 L4 Switch 벤더가 후기로 설명할 L7 기능을 추가해 L4/L7 으로 동작시키고 있습니다. 요즘은 L4 스위치라고 한다면,
  L4/L7 을 말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4. L7 스위치는 L4/L7 스위치 라고도 많이 부릅니다. 기본적으로 L7 스위치는 OSI/7 Layer 계층의 최상단인 Application 까지 모두 패킷을 열게 됩니다. 원칙적으로
  L4 에서는 TCP/IP 에서 IP 주소만을 보고 방향을 결정합니다. 그런데 현대에 서비스가 복잡해지고, 각 서비스마다 특화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컨텐츠
  베이스(Application)로 분산을 합니다. 또한 L7의 경우, 보안적인 측면에서도 모든 트래픽의 헤더를 열게 되다보니 DDoS 같은 공격에도 대응을 할 수 있도록 기능을
  확장한 벤더들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Contant Cache 용도로 많이 사용됩니다.
     
Caig 2023-06
1번의 설명이 제가 정말 헷갈렸던 부분입니다.
찾아보는 자료들이 07~16년도 자료가 많은데, 스위치와 허브를 따로 구분하는 것 처럼 쓰여있어서 아예 몰랐습니다.

오히려 기존의 허브를 스위치를 교체하여 사용해도 되겠네요.

L4나 L7에서는 저희가 많은 load를 서버에 걸지 않고 단순히 DB에 정보를 기록하는 수준이고, 일일 최대 트래픽이 하프기가도 안넘어가는 수준이기도 하니
다행히 L2~3선에서 멈춰야 예산과 목적이 합리적일 것 같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너무 구체적이고 꼼꼼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QnA
제목Page 1900/5706
2015-12   1666197   백메가
2014-05   5131418   정은준1
2014-02   4228   가빠로구나
2016-01   4228   쌍cpu
2018-08   4228   통통9
2018-12   4228   컴박
2017-11   4228   킵고잉
2017-03   4228   여주농민76
2018-08   4228   스캔l민현기
2017-04   4228   미수맨
2015-05   4228   공돌이
2017-05   4228   춤추는실프
2019-08   4228   분노의다운힐
2017-11   4228   주태백
2017-04   4228   슬러그
2014-09   4229   squirrell
2018-03   4229   일리케
2023-05   4229   사누스
2018-09   4229   임시현
2014-08   4229   걸인신홍철
2017-01   4229   왕용필
2014-10   4229   임진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