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4) |
정은준1 |
2014-05 |
5101208 |
0 |
2014-05
5101208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2) |
백메가 |
2015-12 |
1637813 |
25 |
2015-12
1637813
1 백메가
|
97949 |
앰프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2) |
류류류 |
2018-11 |
2805 |
0 |
2018-11
2805
1 류류류
|
97948 |
모니터 해상도 관련.. (1) |
비비BB |
2020-01 |
2805 |
0 |
2020-01
2805
1 비비BB
|
97947 |
7인치 내외의 DVI, VGA, HDMI, DP를 지원하는 테스트용 모니터가 있을까요? (8) |
Psychophysi… |
2021-12 |
2805 |
0 |
2021-12
2805
1 Psychophysi…
|
97946 |
MS 계열 원격 백업을 어떻게 하시나요? (10) |
맑은여름 |
2021-11 |
2805 |
0 |
2021-11
2805
1 맑은여름
|
97945 |
덩치 큰 물건을 어떤 방법으로 보내는 것이 좋을까요? (12) |
세상탈출 |
2019-11 |
2805 |
0 |
2019-11
2805
1 세상탈출
|
97944 |
이 물건이 어디에 쓰는 건지 아세요 ? (4) |
Win31 |
2019-03 |
2806 |
0 |
2019-03
2806
1 Win31
|
97943 |
전등 부품 이런것도 팔까요? (11) |
비엘이브 |
2018-12 |
2806 |
0 |
2018-12
2806
1 비엘이브
|
97942 |
RAM이 많으면 L1, L2 캐시에 병목이 생기나요? (5) |
Noname1 |
2020-12 |
2806 |
0 |
2020-12
2806
1 Noname1
|
97941 |
kt 광케이블 같은거는 어떤방식인가요? (4) |
호호 |
2019-11 |
2806 |
1 |
2019-11
2806
1 호호
|
97940 |
10g 스위치 고민중입니다. (4) |
Frinc |
2023-06 |
2806 |
0 |
2023-06
2806
1 Frinc
|
97939 |
가벽 인테리어 자재 문의드립니다. (2) |
오준호5 |
2021-10 |
2806 |
0 |
2021-10
2806
1 오준호5
|
97938 |
사오미나 ip 카메라에 보안 및 외부접속 관하여... (4) |
앱등이 |
2020-05 |
2806 |
0 |
2020-05
2806
1 앱등이
|
97937 |
메모리 교체 관련 문의. (4) |
우야노 |
2019-12 |
2806 |
0 |
2019-12
2806
1 우야노
|
97936 |
이거... 램 인식 정상인가요?? (6) |
전산oa |
2020-09 |
2806 |
0 |
2020-09
2806
1 전산oa
|
97935 |
컴퓨터가 꺼져서 이벤트 뷰어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질문드립니다. (4) |
미도리 |
2020-04 |
2806 |
0 |
2020-04
2806
1 미도리
|
97934 |
시놀로지 AV Essential 쓰시는 분 있나요? (1) |
TLaJ3KtYGr |
2019-04 |
2806 |
0 |
2019-04
2806
1 TLaJ3KtYGr
|
97933 |
삼성 pm9a1 쓰기속도 이게 맞나요? (4) |
엠플 |
2022-09 |
2806 |
0 |
2022-09
2806
1 엠플
|
97932 |
2015년 맥북프로에 달린 썬더볼트2 단자에 모니터 연결되나요? (5) |
막울었어요 |
2022-03 |
2806 |
0 |
2022-03
2806
1 막울었어요
|
97931 |
간단한 python 질문하나 드려도 될까요? (10) |
86김태영 |
2019-10 |
2806 |
0 |
2019-10
2806
1 86김태영
|
97930 |
전기무식자가 세븐팀 파워 개조 문의드립니다. (9) |
twopaik |
2020-04 |
2807 |
0 |
2020-04
2807
1 twopaik
|
PC뿐 아니라 MAC을 지원하므로 리눅스가 지원 된다고 생각 되는데요.
MAC에서도 리눅스 어플이 실행 되니까... 리눅스도 지원 된다고 생각 합니다만 ..
리눅스에서 클라우드 접속이 않될 이유가 있나요?
백업을 ftp, sync 등을 사용해서 하는 것이 아닌 자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해서 백업을 수행합니다.
리눅스에서 MAC 어플을 돌려본적이 없는데, 안되지 않나요?
예전에 알아본 내용으로는
Linux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량당 지불하는 서비스가 필요합니다. (B2 Cloud Storage)
무제한 용량을 지원하는 $7/Month에서는 Win, Mac 밖에 지원하지 않습니다.
레딧에서 검색해보니 리눅스를 허용하다가는 엄청난 용량을 가진 유저들이 달라들 것이라고 예상해서
정책적으로 허용을 안하는 것 같습니다.
진짜 속도는 둘째치고 금액에 너무 싸서 땡겼는데 아쉽더라구요.
MAC용 Matlab 이 리눅스에서도 실행 되더군요...
아마도 x86 인텔 CPU 사용하던 MAC 일때 이고...
M1 CPU 인 현재 MAC 어플은 리눅스에서는 실행이 않될겁니다...
리눅스만 차별해서 비용 결제를 다르게 하는 것은 PC, MAC은 개인용 OS 이고 linux는 상용일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 하나 봅니다....
그냥 NAS를 구입 하시면 ,,,,, 오래된 구현 PC에 HDD만 50TB 정도 장착하면 초기 비용이 $7 x 12 month x 4year 하면 비슷해질 것 같군요.
속도는 클라우드에 비해서 수백배 빠를거구요 ...
어차피 백업용 이므로 전성비는 고려하지 않아도 될 듯 합니다...
고장 발생시 수용하고, 파일 리스트 같은게 있다면 다시 받는 걸까요?... (따로 백업은 없으신거 같아서...)
이렇게 해서 4+3+1로 운용합니다.
예전에는 LTO로 소산하다, 드라이브 고장 이후로 클라우드 백업으로 선회했어요
0차 원본
1차 ZFS 어레이 백업
2차 구글 드라이브 백업
2.5차 중요 자료 선택 후 RDX 백업
음 4+3+1은 어떤 의미일까요?
최소한 3개의 복제본을, 두 종류의 미디어에 백업하여, 최소한 하나는 소산 백업 한다.
저는 4개의 복제본을, 3종류의 미디어를 사용하여, 하나는 소산 백업하고 있는 상황이니 4-3-1 입니다.
용량에 대해서 여쭈어 봐도 될까요?
미국 동부 기준으로 1TB에 월 1달러입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 유리합니다.
1.수시로 접근하지 않는 데이터 백업 용도
2.원본이 손상되지 않는 한 다시 접근할 일 없음.
3.백업해야할 용량이 매우 크며 용량당 보관비용이 저렴해야함.
메인홈서버가 8TB * 8 RAID5 + 14TB RAID5 * 8 + 14TB인데, 중요도가 높은 파일들은 실시간 백업 + 스냅샷으로 3~4중백업, 중요도가 낮은 파일들은 증분백업으로 2중, 3중 으로 백업중에 있습니다.
백업서버는 회사에도 있고, 본가에도 있고, 타지에도 있습니다. 백업 솔루션을 사용할지 아니면 자체적으로 구축할지는 비용과 들일 노력 등을 따져보셔서 선택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