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실험(?) 문명구축까지 얼마나 걸릴지...

Sikieiki   
   조회 2103   추천 0    

닥터스톤이란 만화가 있었습니다

현대문명 사람은 그대로 두고 초토화가 된다면

다시 현재로 끌어올리기까지 어느정도의 시간이 걸릴지....


전제조건은 현대인류가 과거로 날아가면서 발생할 의식주로 인한 카니발리즘이나 시회문제가 발생하지않는다는 전제하에 구상해봅니다 (그렇다고 불편함이 없어서 문명이 발달하지 않는다는 CASE는 없는걸로....)


저는 한 1세대쯤 걸릴것같다고 예상을 해봅니다.   

Yesterday is history, tomorrow is a mystery, So Today is a present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dateno1 2023-07
전 현제 수준으로 올려면 2~300년은 걸릴꺼라고 봅니다

현대 문명은 기록의 축적으로 인한 결과물이라 보는데, 그게 아에 없는 맨땅 출발이면 처음 정착지 개척및 의식주 해결에만 1세대가 넘어갈정도 (2~30년)는 걸린다고 봅니다

그 상태에서 다시 문명이 출발한다면 기컷해야 중세 수준정도에서 재출발이라 봅니다

이 상태에서 기존의 지식을 가진 구인류가 지식을 전부 기록으로 남기고, 전쟁등으로 손실되지 않고 그걸 꾸준히 물려받는다고 하면 기존이랑 비슷한 속도로 발전할꺼고 (아니면 조금 더 빠르게), 그러면 200년 이상은 걸린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또한 현제 표층의 광석 자원등을 이미 다 케서 써버린 상태라 다시 발전하는데 필요한 금속 자원 확보가 상당히 힘들껍니다 (현대 수준의 굴착 기술로도 수지타산떔에 케니 안 케니 하는곳이 많을정도인데 문명이 다 날아가버려서 건축 재료도 폭약도 없는 상태에서 켈려면 엄청난 수고가 될껍니다) (차라리 멸망한 구 문명의 도시에서 채집해오는게 더 빠를껍니다)

이외에 석유같이 분포가 편중되어있는데도 문명 발달에 필요한 자원의 경우 정착지 주변에서 안 나온다면 상당히 곤란해질껍니다 (목/석탄으로 움직이는 자동차/배정도 만들고, 도로를 닦을때까지 원거리 이동은 거의 불가능할꺼고, 자원 채집이 가능한 지역으로 이동하는것도 엄청난 시간이 걸릴껍니다)

이외에도 모래같은 문명 발달에 필요한 자원도 현제 너무 과하게 퍼서 썼기때문에 지금처럼 다시 지을만큼의 분량이 모잘랄 가능성이 있습니다
챗 GPT한테 물어봤습니다.

A: 현대문명 사람들이 그대로 두고 초토화가 된다면, 다시 현재로 끌어올리는 데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릴지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러한 가정하에 가능한 시나리오를 살펴보겠습니다.

1세대 정도의 시간이라고 예상하신 것은 비교적 짧은 시간입니다. 이 경우, 현대문명의 기술과 지식이 아직 유효한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으며, 인류는 상당한 속도로 회복과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즉, 현대기술을 활용하여 기존의 인프라와 문명 시스템을 복원하고, 기술적 발전을 통해 현대 수준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상당히 이상적인 시나리오이며, 여러 가정과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일부 가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연재해의 규모: 초토화가 발생한 원인과 그 규모는 매우 중요합니다. 대규모 자연재해, 지진, 혹은 행성적 충돌과 같은 이벤트라면 복구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입니다.

2. 남아있는 기술과 지식의 양: 초토화 이후에도 얼마나 많은 기술과 지식이 남아있는지가 중요합니다. 현대 문명의 핵심 기술과 지식이 거의 소실된 상태라면 회복과 발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입니다.

3. 인구의 수와 상태: 초토화 이후 남아있는 인구의 수와 상태도 고려해야 합니다. 인구가 적거나 심각한 상처를 입었다면 사회적, 경제적 회복에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입니다.

4. 자원의 가용성: 초토화 이후에는 인프라를 재건하고 문명을 발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자원의 가용성도 고려되어야 합니다. 에너지, 식량, 물 등의 자원의 확보가 어렵다면 회복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입니다.

이러한 가정과 제약들을 고려하면, 1세대로 복원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어려운 일일 것입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최소 몇 세대에서 몇십 세대에 이르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확한 시간을 예측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다면 다양한 요인과 조건을 고려해 적절한 대응을 취해야 할 것입니다.
     
Sikieiki 2023-07
챗GPT가 이런기능까지있다니...... 처음알았습니다 ㄷㄷㄷㄷ
          
가끔 허황된 것 같지만 답이 없어보이는 질문에 의외의 답변을 할 때가 있어 도움이 되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시도니 2023-07
생각보다 오래 걸리지 않을겁니다.

원칙적으로는 인류의 지식 자체를 초기화하고 구석기 시대부터 다시 시작해서 현생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데 얼마나 걸리는 지를 재야 더 의미 있는 실험이 아닐까 합니다.

특히, 한국을 포함해 세계의 4대룡이라고 평가받던 국가들을 보면..

극도의 짧은 시간내에 압축성장도 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왜냐하면, 멀리서 그 예를 찾을 필요도 없이..1950년대 완전 초토화된 국토 상태에서 지식수준이 무학자가 대부분이던 시절을 살던 분들이 아직 생존해 계시니까요.
정무현 2023-07
우주의 지구와 동일한 환경의 지역에 가서
문명을 이루기까지의 시간이군요

정예 요원들로 1000만명 차출하여 10만명씩 100곳에 착륙
맨손에서 시작해서 현대의 정보시대까지 이르기까지...

착륙할 지역의 환경과 지하 자원을 알고 있다고 가정
식료품의 종자는 지구에서 수집

한다고 해도 쉽지는 않을거 같습니다.
농경 사회를 구축하는데 5~10년
철, 석탄의 생산과 근대 산업혁명시기까지 다시 15년
석유와 화학약품의 시대까지 20년

50년쯤 지나면 자손에게 지식의 전달의 문제가 될거 같습니다.

음 상상하니 재미있네요. ㅎㅎ


QnA
제목Page 301/5730
2015-12   1791003   백메가
2014-05   5266070   정은준1
2015-03   4501   2CPU최주희
2020-12   2352   2CPU최주희
2020-12   4316   강한구
2016-05   5552   최시영
2020-12   3487   김준유
2022-06   1997   까치산개꿀탱
2018-07   3941   김건우
2022-06   1756   천번둥개
2015-03   8705   삐돌이슬픔이
2024-02   1463   공알이
2017-04   3307   신은왜
2019-09   3802   전설속의미…
2020-12   3486   장동건2014
2019-09   7794   봉래
2011-05   8242   김현웅
2015-03   4447   VSPress
2011-05   10417   최민재
2018-08   8414   장동건2014
2011-05   8180   조성현입니다
2015-03   3606   니꾸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