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13900hx 와 7845hx 고민중 입니다

남경림   
   조회 4263   추천 0    

올라가면 선택지가 좀더 다양하겠지만

가격이 오르는 만큼 그레이드up 이라고 보이지 않아서 이정도로 생각중인데,

메이커는 레노버리전(5800h 사용중), 에이서프레데터, hp오멘 그리고 한성도 비교군에 넣을지 고민중 입니다.

한성과 asus는 원체 평이 안좋네요

(잘나가던 3a중 살아남은 asus가 왜 이모양인지)


퍼포먼스는 비슷하거나 7x45쪽이 높거나 한것 같은데

클럭이 높아 미칠듯이 뜨겁다던지 등 발열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dateno1 2023-07
최근 몇년간 잉텔=불덩어리입니다

모바일용도 자비없는 수준의 전력 소비를 보여줘서 U조차 스로들링 안 걸리는걸 보기 매우 힘듭니다

13900HX면 스로들링 안 걸리면 150왓 가볍게 넘기는 전력 소비를 보여줍니다 (이게 모바일에서 허용되는 수치라 봐야할지 좀 의문입니다)
제온프로 2023-07
노트북에 i9급은 못돌리는 것으로 다 판명 났는데.

냉각시스템이 보통 냉각 시스템이 아니어야 할 겁니다..

쓰로클링 걸려서 결국 i7보다 느린 결과들도 나오더군요..
이선호 2023-07
잠깐 만져봤던 기억으로는 7845가 13900hx보다 더 낮은 성능이긴 합니다만, GPU 사용시 둘다 전력제한 걸린 기억이 있습니다.
멀티코어 구성이 필요치 않다면 오히려 악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ASUS는 예전부터 만듬새나 내구성이 그저 그랬고 요즘은 AS도 엄청나게 빡빡해져서 더더욱 말이 많은 브랜드지요.
개인적인 경험 상 디자인은 괜찮게 뽑지만 내구성이 Lenovo와 더불어 썩 좋다고보기는 어려웠죠.
한성은 어차피 보따리상이라 저렴이 말고 상위 제품들은 괜찮습니다. 어차피 로고만 바꿔서 파는 Clove 등 OEM 상품이라서요.
맣맣 2023-07
개인적인 경험을 말씀드리자면
지금 보시는 제품들 모두가 고성능에 고발열으로 보이는데
무조건 두껍고 무거운제품을 사시는건 추천 드립니다
아무리 기술이 발전해도 고발열 제품은 두꺼운게 진리더라구요
게이밍 rog 노트북을 10년넘게 사용햇는데 얇고 가벼울 수 록 오래 못가는걸 느낍니다
g74sx라는 무식하고 큰 노트북을 10년넘게 사용하면서 청소두번해준거 빼고는 그닥한게 없는데 아직도 멀쩡하게 돌아갑니다
3d게임을 열심히 매일 돌렸는데도 그러네요
wguardian 2023-07
한성 13900설치 제품은 클레보에 한해서 수냉모델이 따로 있는 걸로 압니다. 아직 국내출시는 되지않았고 지금 판매되는 모델은 소음으로 점수를 다 깍아먹고 있는 모양입니다.
Caig 2023-07
7945hx에 3D v-cache 들어갈 수 있다고 하는데 기다려보세요~


QnA
제목Page 1781/5708
2015-12   1673612   백메가
2014-05   5139124   정은준1
2016-07   4112   쌍cpu
2016-03   4112   죠슈아
2018-07   4112   네이쳐
2017-06   4112   늘파란
2016-08   4112   불꽃막대
2018-03   4112   김건우
2015-05   4112   슬루프
2014-05   4113   김진영JK
2018-10   4113   메가날백
2016-06   4113   집안청소
2017-05   4113   다봉이
2018-04   4113   Sgtsteam
2016-09   4113   NeOpLE
2018-05   4113   원시인7
2019-05   4113   shuni
2018-09   4113   미니TM
2021-01   4113   3DJUN
2014-01   4113   김민철GC
2015-11   4113   즐거운이
2014-09   4113   임진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