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1789 |
25 |
2015-12
1781789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6844 |
0 |
2014-05
5256844
1 정은준1
|
108675 |
데이터 통신용 USB A to USB C 케이블 추천부탁합니다. (4) |
독고탁 |
2023-05 |
2920 |
0 |
2023-05
2920
1 독고탁
|
108674 |
바탕화면에 익스플로러 즐겨찾 문의드립니다 (2) |
미수맨 |
2018-01 |
4197 |
0 |
2018-01
4197
1 미수맨
|
108673 |
SSD end-to-end 에러. 버려야 하나요? (4) |
호랑이곰 |
2019-03 |
3462 |
0 |
2019-03
3462
1 호랑이곰
|
108672 |
DATA 용 3테라 를 구매 할려고 합니다. 도시바는 어떤가요? (4) |
SpringValley |
2013-01 |
5915 |
0 |
2013-01
5915
1 SpringValley
|
108671 |
쿨링팬 미니 4P 연장케이블 어디서 구매할 수 있을까요? (3) |
Carolus |
2019-03 |
4138 |
0 |
2019-03
4138
1 Carolus
|
108670 |
LSI 레이드카드 종류와 차이가 먼가요 ? (5) |
눈뜬봉사 |
2016-11 |
4467 |
0 |
2016-11
4467
1 눈뜬봉사
|
108669 |
하드디스크 폐기 (6) |
윈도우10 |
2015-12 |
5685 |
0 |
2015-12
5685
1 윈도우10
|
108668 |
글 검색할때 [코] 는 뭔가요? (6) |
ㄷㄱ |
2009-12 |
7435 |
0 |
2009-12
7435
1 ㄷㄱ
|
108667 |
단일프로세서 성능 e5 2670 vs i7 6700K (7) |
윈도우10 |
2015-12 |
6530 |
0 |
2015-12
6530
1 윈도우10
|
108666 |
nvme ssd요 m.2 지워보드에 꼳아두 작동하나요? (4) |
눈팅돌이 |
2015-12 |
4539 |
0 |
2015-12
4539
1 눈팅돌이
|
108665 |
윈도우 2008 원격데스크탑 설정에 대해 잘 아시는 분... ^^ (6) |
딸기대장 |
2009-12 |
11420 |
0 |
2009-12
11420
1 딸기대장
|
108664 |
(사진첨부) 이것 좀 설명해 주실분 있나요? |
삐돌이슬픔이 |
2014-08 |
3614 |
0 |
2014-08
3614
1 삐돌이슬픔이
|
108663 |
당췌 이장치가 무엇인지 알수가 없으니.. (5) |
쌍cpu |
2016-12 |
13971 |
0 |
2016-12
13971
1 쌍cpu
|
108662 |
혹시 하는 마음에 올려봅니다. 아시는분 답변부탁드립니다. (2) |
EYESSHOT |
2019-03 |
2387 |
0 |
2019-03
2387
1 EYESSHOT
|
108661 |
usb3.0방식의 기가비트 유선랜카드 (5) |
1김In1 |
2013-02 |
6991 |
0 |
2013-02
6991
1 1김In1
|
108660 |
안녕하세요... 도움요청드립니다. (5) |
김성진75 |
2016-12 |
4232 |
0 |
2016-12
4232
1 김성진75
|
108659 |
NAS와 파일서버 연결 간 케이블 사용 (6) |
프랑 |
2021-11 |
2532 |
0 |
2021-11
2532
1 프랑
|
108658 |
SSD raid 정말 어렵네요 (2) |
박 |
2014-09 |
4439 |
0 |
2014-09
4439
1 박
|
108657 |
[해결] 광통신에서 사용되는 광 감쇠기 용량(dB) 확인 부탁드립니다; (7) |
HEUo김용민 |
2019-04 |
10020 |
0 |
2019-04
10020
1 HEUo김용민
|
108656 |
파워서플라이질문 (24) |
AplPEC |
2016-12 |
6028 |
0 |
2016-12
6028
1 AplPEC
|
UTP RJ-45 가 표준이긴 하나 제조사마다 퀄이 조금 차이가 나고 만들때 케이블을 집속되는 부분이 헐겁거나 운이 나쁘면 한번에 두선이 찝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컴퓨존이나 몰같은데서 파는 CAT.5(E) 급 RJ-45는 정말 내구도가 최악...
저는 최근에는 LS전선꺼 EZ 플러그를 사용하는데, 제대로만 찍으면 그런일은 없습니다.
제작 실패확률도 극히 낮구요.
Cat.5(E) 시절에는 TYCO(AMP) 가 먹어줬는데... 지금은 굳이 외산을 쓸 필요가 없습니다.
Cat.6 급은 그냥 LS전선 UTP+LS전선 EZ 플러그+EZ 랜툴로 작업하거나,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건 손에 익으면 절대로 실패할 수가 없거든요.
하긴 Cat.5(E) 를 지금 찍어도 실패는 안하지만,,,, LS전선 일반 RJ-45는 가운데 부싱 같은게 들어가서 좀 짜증나는데..
EZ는 그럴 필요도 없고 관통되면서 찝는 순간 짤리기 때문에 작업이 아주 편합니다.
P.S 추가적으로 QNAP NAS에 들어있는 블랙 Cat.5E 랜케이블이 약간 이런 문제가 있었고,
다모임인가 IP전화기에 들어있던 번들 케이블도 그런걸 본적이 있습니다. 제작 주문형인데도요.
CAT6 이상부터는 만들어진 제품이나 전문제작업체에 맞겨서 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랜케이블의 반대쪽인 허브의 포트 커넥터도 등급이 있어서 이름있는 제조사 것을 사용한 제품을 사용하면 좋습니다..
커넥터 쪽으로 유명한 제조사는 AMP /MOLEX 입니다..
이것도 비싼게 제일 낫습니다. 비싸면 비싼 이유가 있더라구요.
저는 좀 비싸더라도 LS전선 EZ 를 강추 합니다.
색도 파란색이라서 좀 고급스러워 보이구요.
연결 걸쇠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서 타사는 보통 캡을 양쪽에 씌우는데 이게 또 장비 종류에 따라서 꼽으면 제대로 안꼽히거나
꼽긴 꼽았는데, 잘 안빠진다거나 다른포트에 영향을 준다거나 그래서... 얘는 뒤에 부속이 연결 걸쇠 위로 올라가서 보호하는 방식이라서
딱히 캡을 씌우지 않아서 좋습니다.
요즘은 LS전선 ez플러그 + 랜툴로 작업합니다.
조금 단가가 있어서 그렇지, 관통형이라 불량률 극히 낮고 좋습니다.
인터넷 최저가 100개 77000? 정도 했던거 같습니다.
불량률이 너무 높아서 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