쿨링팬이 안 돕니다. 그런데 뺐다가 끼우면 돌아요.

   조회 6040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슈마 H12SSL-i 보드를 사용중입니다.
파워: FSP HYDRO PTM X PRO 1000W PLATINUM
케이스: FRACTAL DESIGN] Define 7 Black
IPMI상의 Fan 프로필: Standard

문제는 서버 전원을 켜면, 쿨링팬이 안 돕니다. (샤시 쿨링팬)
총 4개의 쿨링팬이 있는데, 2개는 돌고, 2개는 돌지 않습니다.
(CPU용 팬도 2개 있는데, 얘는 잘 돕니다.)

안도는 팬은 NOCTUA NF-A14 IndustrialPPC-3000 PWM 2개 입니다.
도는 팬은 DELTA PFC1212DE 2개 입니다.
4개 모두 PWM(4핀)입니다.

이상해서, 서버 전원이 켜진 상태로, 녹투아 팬을 뺐다가 켰습니다.
(지금 조립중인 서버라, 데이터는 없습니다.)
그러면 맹렬히 잘 돌아갑니다.

이상해서 서버 전원을 끄고 다시 켭니다.
또 안도는 팬 2개를 뺐다가 끼우면(서버 전원 켜진 채로) 잘 돕니다.
(재부팅하는 건 팬이 계속 잘 돕니다. 그러나 '종료'했다가 전원 스위치 눌러서 켜면 안 돕니다.)

이게 무슨 조화일까요?

이런 경험 해 보신 분 있으실까요?

팬이 문제일까요, 보드가 문제일까요? 파워가 문제일까요?

ㅠ.ㅠ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3-08
4개의 펜을 다 마더보드에 꼽지 말고 녹투아것만 꼽아서 시스템을 껐다켰다 해보세요..

https://noctua.at/en/nf-a14-industrialppc-3000-pwm/specification

녹투어 펜은 스펙에 나와 있듯 최대 전류량은 0.61A 이고  1A도 안됩니다만

https://www.digikey.kr/ko/products/detail/delta-electronics/PFC1212DE-F00/1850533

https://prod.danawa.com/info/?pcode=16084370

델타펜은 스팩에서 보면 정격 전류가 4A 최대 전류가 4.8A 입니다..

전류량으로 보면 두 펜의 세기 차이는 극대극입니다..



개인적으로 조립하면 저런 델타펜은 절대 마더보드에 직접 꼽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마더보드에서 펜전류는 최대 1A정도로만 설계하기에)

어떤 분은 펜의 전류는 아무리 높아도 마더보드에서 PWM으로 관리하기에 괜찮다라고 하시는데 저는 그것을 믿지는 않습니다..

혹시나 모르니 보드에 데미지 입어서 펜 커넥터가 탔는지 확인해보시고 같은 종류의 펜으로만 동작시켜서 이상 유무 확인하세요..
     
아마데우쓰 2023-08
아.. 오늘 또 하나 배웁니다.
저런 팬은 보드에 직접 꽂는게 아니군요..
얼른 테스트 해 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죠슈아 2023-08
아닙니다.
서버 기종 팬들이 전류가 크다고 보드에 직접 꼽지 말아야 하지는 않습니다.
고속 팬을 지원 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 입니다.
벤더의 서버에서 팬 전원을 살펴보시면 보드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 전원을 따로 연결하지 않습니다.
팬들이 한줄로 길게 여러개가 있어도 핫 플러깅 방식을 사용 하므로 보드에 직접 장착 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팬이 손상 되면 해당 팬을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로 교체 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흔히 볼수 있습니다.
팬의 전원을  따로 공급 한다면 핫 플러깅 방식을 적용이 어렵고
각각의 팬의 전원 케이블을  PWM과 RPM 신호 연결하는 케이블과 따로 연결해야하고  ( 팬 하우징에 전원에 전원성을 따로 열결 해야만 합니다 )
그리고 보드내에 팬 전원선들로 가득하게 됩니다.  이렇게 되어진 서버를 보신적이 있나요?
               
이선호 2023-08
설계를 어떻게 진행하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전류팬을 사용하는 범용제품에서는 MB가 아닌 PSU에서 12v 전원을 가져오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아무리 BLDC라고 하더라도 기동전류를 감안해야하고, 대전류를 감당할 수 있는 FET이 장착된 MB를 요구하는 것보다는 MB에서 컨트롤만 하도록 하는것이 장점이 많기 때문입니다.

보통 3U 이상의 핫플러깅이 적용된 범용샷시가 그런데 아래쪽에 일렬로 보드가 있고 12v 전원은 PSU에서 직결, 각 팬마다 RPM과 PWM 제어를 담당하는 2개의 선만 빠져나오도록 설계가 되어있습니다.
벤더서버는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3U 이상 범용 랙케이스는 이런 경우가 많습니다.
                    
죠슈아 2023-08
fan cable 연결  헤더가 전원과 pwn, rpm 신호를
분리해서 각각 되어 있다고 말씀 하시나요?
속도 조절아 필요하지 않은 팬을 달고 있는 모델을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어떤 모델을 말씀하시나요?
                         
박문형 2023-08
TYAN의 베어본들은 같은 디자인의 샤시에 여러가지 모델의 보드를 탑재시키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때는

펜의 전원은 펜 혹은 HDD 백플레인에서 가져오고 콘트롤 신호는 따로 빼서 마더보드의 전용 단자로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https://ftp1.tyan.com/pub/doc/FT48B-B7100_UG_v1.0o.pdf

58~61페이지

https://ftp1.tyan.com/pub/doc/FT65T-B5652_UG_v1.0c.pdf

61페이지 63페이지 65~69 페이지

https://www.servercase.co.uk/blog/article/tst-rackmount-chassis-from-server-case-uk

거진 15년 전쯤에 저 케이스를 수입해서 팔았는데 안에는 120미리 펜이 2개입니다..

여기도 펜 전원은 백플레인에서 가져오고 펜 신호선은 마더보드 CPU 펜커넥터에 연결하였습니다..

메뉴얼 파일이 있으면 좋은데 제조사가 망해서 메뉴얼 파일을 현재 인터넷에서 구할 수가 없습니다..

https://www.2cpu.co.kr/hojak/345?&sfl=wr_name%2C1&stx=%B9%DA%B9%AE%C7%FC&sop=and&page=2

가지고 있던것인데 저래 뵈어도 펜이 콜드 스압(반쯤 핫스압)이 됩니다.. 펜은 알미늄 바디로 된 산요덴끼펜으로 개조하였습니다..


지금 회사가 있는지 없는지 모르겠는데 옛날 조립 서버의 대명사인 첸브로(Chenbro) 케이스에도 펜은 HDD백플레인이 있는 경우

HDD백플레인으로 연결하였습니다..

조립서버 케이스들은 여러가지 모델의 마더보드가 설치가 가능해야 하고 보드에 따라서는 쿨링펜 커넥터가 없는 마더보드도

장착해야 하기에 쿨링펜들을 마더보드에 연결하지 않고 파워에서 직결하거네 백플레인에 연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립 케이스 제조 업체에서 마더보드로 쿨링펜을 연결해도 되지만 상황에 따라서 문제가 생기면 마더보드 제조사와 싸워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기에 조립 케이스 업체는 이런 경우를 피하기 위해 그리고 여러 종류의 마더보드를 설치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

쿨링펜 같은 경우는 마더보드에 직접 연결하는 경우를 최대한 줄입니다..

조립케이스 업체는 펜과 파워정도 까지는 자기네들이 지정하고 콘트롤 할 수 있지만 보통 마더보드까지 콘트롤하지는 못합니다..

그러나 몇가지 마더보드에 대해서는 테스트 해서 장착 호환성까지는 보장하는 경우는 있습니다..
                         
이선호 2023-08
속도조절이 필요하기에 MB에서 rpm과 pwm 신호선을 연결하는 것 입니다.
팬에서 직접 분리가 되어있다기 보다는 핫플러깅 백플레인쪽에서 그렇게 되어있습니다.

제 홈서버1 도 범용샷시 (3U 16bay)라 핫스왑 120mm 팬 3개가 달려있고 전원과 rpm/pwm이 나누어져있습니다.
                         
죠슈아 2023-08
TYAN이 벤더 인가요? 

홍능에 있는 연구소에서  한국에서는 수원에 있는 회사에서
그리고 이곳에서도 TYAN 보드로 구성된 서버를 사용한 적이 없어서 ,,,
                         
박문형 2023-08
https://en.wikipedia.org/wiki/Tyan

TYAN은 벤더는 아니고 슈퍼마이크로 와 인텔 화이트박스 서버와 같은 포지션을 가지는 미국향(미국에서 만들어진)

서버/워크스테이션 제조업체입니다..

인기가 다른 서버 회사 보다 적은 탓에 제품 보기가 좀 힘듭니다..

2005년도 쯤인가 제가 타이안코리아에 근무할 때  아이키스텍을 통해서 홍릉에 있는 고등과학연구원에 TYAN S2882 마더보드를

40장 납품한 기억이 있네요..
박문형 2023-08
저 델타펜은 돌리면 제트기 소리도 나지만 돌리다가 손가락 찍히면 살점이 떨어지는 (피가 뚝뚝나는) 흉기입니다..

펜그릴 꼭 장착하세요..

그리고 녹투아펜으로만 동작테스트 해보고 마더보드의 펜커넥터 모두 꼽아 돌렸는데도 맨처음에 동작을 하지않는다면 호환성 문제라고 밖에 생각되지 않습니다..

이럴 때는 슈퍼마이크로 본사 엔지니어나 국내 판매 총판 엔지니어가 도와주면 좋을텐데 보통 구매처가 확실하거나 고객으로 등록된 사람에게만

기술지원을 하기에 국내에서 구매하셨다면 구매처 통해서 수입원 총판쪽 엔지니어를 찾아 문의해보세요..
아마데우쓰 2023-08
팬이 고장인 것 같습니다.
1. 델타팬을 빼도 동일하게 안 돕니다.
2. 다른 서버에도 동일한 녹투아 팬이 있는데 잘 동작합니다.
3. 문제가 되는 서버에 다른 팬을 장착해 보았는데, 잘 동작합니다. (다른 팬은 녹투아는 아닙니다. 델타팬 제거상태)

반품 해야겠습니다. ^^
박문형 2023-08
만일 PC가 있다면 그 녹투아펜을 PC에 꼽아보세요..
아마데우쓰 2023-08
네, 말씀하신 대로, 녹투아 팬을 PC에 꽂아봤습니다.
잘 됩니다.

그렇다면, 호환성 문제라는 것인데..
ㅠ.ㅠ
이런것도 반품 받아주는지..

팬 풍량 때문에 저 녹투아 팬 꼭 써야 하는데..

그런데 이상합니다.
총 2대 서버 조립중이라, 녹투아 팬 6개 구입했거든요?
그 중에 저 2개만 문제입니다.
이거 참..
     
아마데우쓰 2023-08
혹시나 해서 다른 서버에 꽂아봤는데, 같은 결과입니다. ㅠ.ㅠ
안 돌아요..
박문형 2023-08
서버 2대

같은 사양 /같은 보드 /같은 바이오스 /같은 BMC

1대는 3개의 펜이 정상 동작

1대는 3개의 펜중 1개만 동작

2개 동작 안되는 펜은  어떤 서버도 동작이 안됨

동작하는 4개의 펜은 양쪽서버에서 다 동작함

이런 상태인가요??




그리고 양쪽보드가 같은 셋팅상태인지도 확인해볼 필요가 있긴하네요..

두 마더보드 바이오스와 BMC 둘 다 공장초기화를 하고 동작시켜 보세요..
     
아마데우쓰 2023-08
네, 같은 사양 /같은 보드 /같은 바이오스 /같은 BMC 맞습니다.
그 다음에 적어 주신 것도 맞고요.
양쪽 보드가 같은 셋팅인 것은 맞습니다.
바이오스, BMC 버전도 맞췄고, 각 설정도 동일합니다.
ㅠ.ㅠ

혹시 몰라서, 문제가 되는 서버에 아크틱 팬 물려봤는데, 잘 동작합니다.
호환성 문제인 것 같아요.

정확하게.. 컴퓨터 전원을 켜면.. 안도는 그 팬 2개는 그냥 멈춰있는 건 아니고..
'움찔' 합니다. 한 2~3mm 정도 움직였다가 멈추는 것 같아요.
박문형 2023-08
국내 녹투아펜 총판은 하나이고 AS나 그런 것은 잘해주는 것 같습니다만 기술지원이 어디까지 될 지는 모르겠네요..

호환성 문제로 반품이나 교환해달라고하면 교환같은 경우 1~2번 정도는 해주겠지만 그 이상은 힘들 것이라고 봅니다..

그렇다고 여러개의 펜을 일일히 테스트해보면서 호환성 검증해야 하는 것도 쉽지는 않고요..
     
아마데우쓰 2023-08
네.. 컴퓨존만 믿어야죠..
ㅠ.ㅠ
술이 2023-08
BMC에서 쿨링 성능을 고성능으로 바꾸면 안도는가요?
스탠다드는 쿨러속도를 낮추거나 일부 작동 안시키게 할거 같은데...
     
아마데우쓰 2023-08
Full로 해도 안 돕니다.
ㅠ.ㅠ
죠슈아 2023-08
두가지  팬이 저렇게 동작하는 것은 정상 입니다.
녹투아 팬도 정상 이며 보드도 정상 입니다.

해당 하는 녹투아 팬은 최대 3000RPM  12V 입니다.  대부분의 데스크탑용 팬과 동일한 동작 조건 입니다.
델타 팬은 최대 5500RPM  8-12V 입니다.  고속 팬입니다.

일반적인 데스크탑용 팬의 동작은 RPM으로 속도를 조절하지만 서버용 .. 델타 팬은 RPM과 전압으로 속도를 조절합니다.
델타 팬과 같이 고속 팬은 RPM만으로 속도를 조절하면 낮은 속도일때 모터의 기전력이 낮아지게 되어서 회전이 멈추게 되므로
낮은 전압에 상대적으로 높은 RPM으로 저속을 구현 합니다.
다시 말해서 고속 RPM 팬의 모터 속도를  RPM만으로는 선형 제어가 되지 않습니다.  일정 속도 이하로 속도를 낮추지 못하게 됩니다.
보드에 연결하지 않고 전원만 12V로 연결한 상태에서 RPM과 PWM 선만을 연결한 상태로  PWM을 제어해서 최소 속도로 설정 해보세요.
보드에서 저속보다 훨씬 빠른 RPM을 갖습니다.

서버 보드는 이러한 고속 팬을 적용하기 위해서  전압과 RPM 모두를 제어 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런 팬들이 최대 속도에 이르는 RPM 과 전압 조건이 되어서 보드가 공급하는 최대 전력이 용량을 초과 하는 경우에는 공급 가능 전력까지만
드라이브 하며 그 이상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따라서 설령 보드의 팬 헤더가 제공 가능한 전력 보다 높은 최대 전류 소모 팬을 보드에
직접 연결한다고 해서 보드에 손상이 되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데스크탑 팬은 동작 전압이 12V인 경우가 많지만, 일부 고성능 팬들은 다양한 운전 전압 범위를 지원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가 팬의 속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냉각 성능과 소음 수준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데스크탑 팬들이 주로 정해진 RPM으로만 동작하는 반면, 서버 팬들은 주로 전압 조절과 RPM 제어가 동시에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서버 환경에서 다양한 부하와 열에 대응하기 위해 냉각 시스템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녹투아 팬이 보드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전원을 켜면 회전 하지 않지만 보드에 전원이 켜있는 상태에서 연결하면 회전 하는 이유는 팬 헤더의 전원부의 캐패시터에 높은 전력이 모아져 있는 상태에서 연결되므로 순간적으로 기전력을 얻기 때문에 회전하기 시작 하기 때문 입니다.
서버 기종에서 팬을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뺏다가 약간의 시간이 지나후에 다시 꼽으면 이전보다 높은 속도로 회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점차 속도가 다시 낮아지게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전원이 인가된 상태로 리부팅해도 팬이 계속 회전 하는 이유는 높은 기전력이 필요하지 않기 깨문 입니다.
일단 회전하고 있을때는 낮은 전압 또는 RPM 에서도 회전 할 수 있기 때문 입니다.
하지만 전원이  OFF 상태에서는 보드의 팬 속도 제어회로는  낮은 전압 .. 극단적으로 8V 과 40% RPM rate 이러고 할때 팬의 기동 시작하는 기전력 이하이므로 회전 하지 않습니다.

서버 , PC 에서의 전원이 On 되는 순간 하드디스크 스핀들 업하는  전류가 큰 이유와 같습니다.
그래서 최대 피크 전력을  낮추기 위해서 Staggered Spin-Up 하는 이유 입니다.

녹투아 팬이 이 보드의 팬 구동 스펙에 맞지 않기 때문에 이런 증상이 발생 하는 겁니다.
벤더의 서버였다면  Built-in Diagnostics 에서  RPM 모니터링 단계에서 오류를 발생 시키게 됩니다.
최대 전압, 최대 PWM 인가시  RPM 이 낮게 검춤 되기 때문 입니다.
벤더마다 다르지만 RPM이 설정된 속도보다 낮으면 "Low Fan Speed Alert" 를 발생하며 부팅 할때 부터  POST 진입도 되지 않는 것을 경험 하실 것 입니다.
그래서 서버 기종들은 함부로 팬을 소음을 낮춘다고 저속 팬으로 변경이 불가능한 경우를 경험 했을 겁니다.


결론적으로 이 녹투아 팬은 전압과 PWM의 조합으로 RPM 변경이 되지 않는 팬이므로 사용 불가 입니다.
팬은 불량이 아니지만 사용할 수 없는 것 입니다.

벤더 서버 기종이라면 팬이  부적절하다고 경고를 내보냈을 테지만 .....  슈퍼마이크로는 ... 이런 저런 제약을 크게 두지않으므로
ES CPU도 동작 시키는 등등 ...  일반적인 벤더처럼 파트 구성에 tight 하지 않기 때문에 팬 오류 경고가 없을 뿐 ..
그래서 팬이 돌지 않는 증상으로 의사 표시 하고 있는 겁니다.
     
아마데우쓰 2023-08
상세한 답글 고맙습니다.
그런데 이해가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녹투아 팬을 총 6개 구입했는데, 4개는 정상입니다. (보드 두 개 모두에서 테스트 했습니다.)
오로지 이 2개의 팬만 보드 두 개 모두에서 제대로 돌지 않습니다.

그리고, 제가 상세히 쓰지는 않았습니다만, 아크틱 팬과 80mm 녹투아 팬도 테스트 했습니다.
모드 두 개 모두에서 잘 동작합니다.

저는 그래서, 이 두 개의 녹투아 팬이 이상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런 테스트 결과에서 다른 의견이 있다면 듣고 싶습니다.

고맙습니다~
          
죠슈아 2023-08
”네, 말씀하신 대로, 녹투아 팬을 PC에 꽂아봤습니다. 잘 됩니다. “. 라고 하셨는데요

이슈가 있는 녹투아 fan이 다른 PC 시스템에서 정상 동작하기 때문에  동작 전압조건에 미달되어도 동작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는 파트별 편차로 보아야 합니다.

반품을 하면 받아줄지 여부는 해당 업체의 친절함?  에 따라서 좌우 되겠지요.
파트 가격이 낮아서 가능할 수도 있지만 해당 업체가 반품된 파트를 테스트 해서 환불을 결정한다고 가정하면 님의 서버와 같은 기종에서 테스트 하지는 않겠지요.
     
the촌놈 2023-08
rpm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이 전압과 pwm신호인데.... 속도는 또 뭐고 rpm은 또 뭘까요? 팬속도가 바로 rpm이고 그걸 조절하는 게 pwm신호이며 델타팬의 전압범위가 8V부터 시작하는 건 일반적으로 최소기동전압을 포함하기 때문이고 델타팬도 rated는 12V랍니다. BLDC도 입력 전압을 조절하면 물론 코일에서 생성되는 자력이 직접적으로 조절되므로 rpm을 조절하는 방법이 될 수 있지만 PWM팬에서는 굳이 그럴 이유가 없는 게 바로 PWM이라는 기능이 그런 기능을 해 주기 때문이죠. 녹투아라고 전압을 낮춰서 못 돌리는 게 아니죠. 다만 낮출 수 있는 전압범위는 팬마다 다른데 만일 보드에서 초기에 팬구동 전압 자체를 낮추고 진단을 한다면 동작을 못하는 팬들이 있을 수 있죠.
박문형 2023-08
https://www.youtube.com/watch?v=XMvBQoU82_8

마더보드에서 맨처음에 펜을 인식하고 구동시키는데 몇 볼트와 몇 암페어를 흘리는지는 모르겠지만 저 녹투아 펜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최소 전압/전류와

마더보드에서 흘리는 전압/전류를 알아야 할 듯합니다.. (실제 계측기로 찍어봐야 하는데 왜 그것을 해야 할지는 글쎄요??)

그리고 펜이나 마더보드도 동작에 필요한 최소 전압이 각각의 개개의 제품마다 편차가 있기에 아마도 동작이 재대로 되지 않는  2개의 펜은

다른 펜들보다 동작에 필요한 최소 전압이 높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편차는 아마도 녹투아 쪽에서 QC를 하면서 콘트롤하고 있고 테스트하면서 나오기에 녹투아쪽에서 보기에는 불량이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그 편차로 인해 펜이 안돌아가니 불량이라고 생각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다고 판매자 입장에서는 하나의 고객 때문에 맞는 펜을 찾는다고 몇개 혹은 수십개의 펜을 다 뜯어서 테스트 할수는 없는 노릇이고요..
박문형 2023-08
조립이 힘든 것이 저런 호환성 문제는 경험으로 밖에 모르고 (실제 제품 구해서 돌려보던지 테스트 해보던지)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기술 데이터나 써포트는 한계가 있으며

제조사 엔지니어가 엔드유져보다 더 모르는 경우도 가끔 있습니다..

발생하는 모든 문제는 조립하는 당사자나 사용자가 해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아마데우쓰 2023-08
그러게 말입니다.
이번에 피똥싸고 있습니다. ㅎㅎ
그래도 이것이 마지막 문제라서.. 그리고 해결책이 없지는 않기에.. 크게 걱정은 안하고 있습니다.
1. 컴퓨존을 믿는다.
2. 쎈 바람이 꼭 필요하지 않은 곳 두 군데는 동작하는 다른 팬을 사용한다.

일단 컴퓨존에 이야기 해서, 한 번은 교환 받아볼 것입니다.
그 다음에 안되면, 풍량이 좀 약해도 다른 팬을 사용할 것입니다.
제온프로 2023-08
주슈아 님과 비슷한 경험이 있습니다.
마치 2단 기동하는 것처럼 속도가 점차적으로 올라가는 동작을 하더군요.

참고로 최근에
AVC 12V 2.1A 팬을 렌더팜에 설치 했습니다.
메인보드는 Asus 보드 였는데. 팬이 25W 요구 합니다. 상당히 쌔죠.

그래서 메뉴얼을 확인 했습니다. 최대 설치가능한 팬은 12V 1.2A 까지만 하라고 하더군요..메뉴얼에..

그래서 몰렉스 4핀 전원에서 12V를 가져 왔습니다.

메인보드의 메뉴얼 확인 하세요. 메인보드마다 한계 전류 값들이 있습니다.

Asus로 보면 팬 커넥터 개당.. 대략 14W 까지만 제한을 두고 있습니다.

이번에 팬을 구입하면서 검토했던 팬들은..

NiDEC, SanyoDenki,  NMB, AVC, DelTA, Sunwon = 세계적인 Fan 제조사 들입니다.
Myrdal 2023-08
비슷한 케이스 경험해본적 있었구요.

조금 쉽게 해결됐는데..팬컨트롤러 허브 저렴한거 (1~2만 정도 , 전류2A 제품) 하나 물려서 해결했었습니다.
     
아마데우쓰 2023-08
마침 제 컴퓨터 케이스에 팬 컨트롤러가 있어서 두근거리는 맘으로 장착해 봤지만..
역시 안 돕니다. ㅠ.ㅠ
김은호 2023-08
vm이든 리얼이든 WSL이든 리눅스로 부팅해서 bmc툴로 bmc의 팬컨트롤러를 수동으로 조절해보세요. 아예 안도는 건 몰라도 녹투아 200mm짜리가 돌다말다하는 증상 잡으려고 최소 800rpm에 맞춰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마데우쓰 2023-08
제가 설명을 안 드린듯 한데..
지금 프로필은 Full Speed 입니다.
아마데우쓰 2023-08
최종적으로 컴퓨존(구매처)에 이야기 해서 교환 받았습니다.
교환 받은 두 개는 모두 다 잘 동작합니다.
정말 신기한 경험이었습니다. ^^


QnA
제목Page 3311/5708
2014-05   5142401   정은준1
2015-12   1676606   백메가
2005-11   5662   이창묵
2006-05   5662   안창준
2023-10   5662   지존터미네…
2005-07   5662   윤준형
2006-03   5662   이규창
2007-10   5662   지형근
2012-05   5662   마이코코
2012-01   5662   참세상맹글기
2023-09   5662   가을로
2014-04   5662   황혼을향해
2005-11   5662   민봉기
2020-09   5662   이희주
2016-04   5662   모바일접속중
2005-07   5662   조동섭
2019-06   5662   오이도슬레…
2006-01   5662   박광덕
2016-03   5662   쌍cpu
2009-09   5662   권용1
2007-12   5662   유영근
2006-05   5662   최운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