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급발진에 대비해 이런 방법은 어떤지요

   조회 2562   추천 0    

차에대해 문외한이라 이해해 주시고 읽어 주셔요~

급발진에 대비해  엔진에.들어가는 연료 파이프 중간에

수동으로 차안에서  수동 버튼 돌리면 수도꼭지 처럼  연료를 차단하게 하면


지 아무리 급발진 히더라도 연료가 없으니 멈추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이렇게.히는게 어렵나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앤디캔디 2023-08
쉬웠으면, 이미 다 적용시키지 않았을까요?
     
가빠로구나 2023-08
구현은 힘들어도 제가 물어본게 정답이 될수는 있는건가요?
병철 2023-08
오동작이나 실수로 인한 사고 위험도 있을거고, 결함으로 인한 급발진이 맞다고 인정하는 꼴이라 아마 할 수 있어도 안 할겁니다. 물론 저는 급발진보다는 대부분이 조작미숙이라고 생각합니다만.
     
가빠로구나 2023-08
아.그렇겠군요
dateno1 2023-08
엔진이 멈추면 이동하는 동력만 끈키는게 아닙니다

핸들이나 기타 유압으로 작동하는것들이 다 동시에 먹통이 됩니다 (기계식 브레이크정도나 작동하겠네요)
     
가빠로구나 2023-08
아항~ 그렇갰네요
     
가빠로구나 2023-08
ㅋㅋㅋㅋㅋㅋ
     
레인보우7 2023-08
사출좌석 옵션이 있으면 좋겠네요.  비용이... 문제긴하네요. ^^
H사 기술발전이 되려나요. 운전하다가 다들 공중으로  한번씩은 올라가는건 아닌지 모르겠네요.
실수로 잘못눌러도 저런 일이 자주 발생하긴 하겠네요.  지하차도 지나가다가 실수로 잘못 누르면 저승길이네요.

고객사도 보면 장비에 아무리 주의를 줘도 ,  가끔 실수로 화재용 비상소화장치 버튼 누르는 분들 계시더라고요.
김제연 2023-08
그냥 전기만 차단하면 될것 같습니다. 차단하기도 쉽고
     
가빠로구나 2023-08
아 이방법도 있군요
maronet 2023-08
저도 다른 기계들 처럼, 자동차에도 비상정지장치가 좀 있어야한다 생각합니다.
김준연 2023-08
자동차 제조사의 엔지니어라는 억대 연봉을 받는 사람들이 무능해서 이걸 개발하지 못하는 것이 아닌데, 사실 엔진의 시동을 차단하는 방법은 상대적으로 구현하기 쉽습니다.(디젤 엔진이 아닌 가솔린 엔진이라면 연료차단보다 더 반응이 빠른 전력 차단이라는 수단이 존재합니다.), 왜 이 간단하고 원가도 많이 안 드는걸 구현하지 않는지 그 이유를 찾아봐야 하는데. 시동을 강제로 끄는 기능을 제공했을 때의 장점보다 단점이 더 크기 때문입니다.

엔진의 구동을 즉시 멈추는 방법을 주된 해결책으로 제시하지 않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를 들 수 있습니다. 먼저 엔진이 멈추는 상황에서의 제동이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현재의 자동차의 브레이크는 제동 답력 보조를 진공배력장치에 의존합니다.(진공배력장치가 급발진의 원인이라 주장하는 사람도 있지만 이는 김필수교수 등 극소수에 불과한게 현실입니다. 그 본인조차 원인이 아닌 가설이라고 할 정도입니다.) 이는 엔진이 멈추면 함께 멈추는데, 진공배력장치의 보조가 멈추면 일반적인 브레이크 페발을 밟는 힘의 3배 이상을 주어도 될까 말까한 수준이 됩니다. 건장한 청년 및 중년 남성이 아니면 기대하기도 어렵습니다. 그래서 현재 연구하는 급발진에 대한 대응 방식은 원칙적으로 '정차 전까지 시동을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짜입니다.

두 번째 이유는 오작동 가능성 때문입니다. 자동차에 달린 내기 순환 버튼조차 몰라서 유턴 버튼이라고 믿는 사람이 있을 정도로 자동차 기능에 무지하고 무관심한 현실에서 엔진을 강제로 끄는 기능을 접근하기 쉽게 만들면 이로 인한 사고 위험이 더 커집니다. 즉 급발진을 막아 구하는 사람보다 이걸 잘못 건드려 시동이 꺼지면서 조치를 제대로 하지 못해 사고를 내 죽는 사람이 더 생깁니다.

이런 이유때문에 현재 적용하거나 연구하고 있는 급발진에 대한 대응책은 시동을 끄는 그 자체가 아닌 변속기 차원에서 동력을 차단하거나 급발진의 주 원인으로 지목되는 ECU 오류에서 연료 제어(시동을 끄는 것이 아닌 연료량 공급을 제한하여 속도 증가를 줄이는 것)와 브레이크 제어를 별도로 분리시키는 쪽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닥치고 시동부터 끄고 보는 기능을 연구하는 자동차 회사는 없습니다. 인터넷 등에서 볼 수 있는 급발진 대응법에서도 '무조건 시동부터 끄고 보라'는 내용은 없을 것이며 최대한 정차할 때 까지는 시동을 유지하라고 되어 있을 것입니다. 현재 적용되었거나 연구중인 급발진 대응법들은 이 알려진 대응법을 간단하게 또는 자동화하는 형태로 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가빠로구나 2023-08
아  이런 이유가 있었군요
제가 너무 무지 했네요 ㅎㅎ
          
현진 2023-08
연료를 강제로 잠그면 정지 합니다
가빠로구나님의 아이디어가 맞아요
폭주해도 연료를 잠그면 정지합니다
     
dateno1 2023-08
그나마 헨드브레이크는 기계식이라 엔진 안 되도 작동할꺼에요

문젠 이넘의 제동력이 정지하는데 충분하지 않단점입니다
          
김준연 2023-08
요즘은 이것도 EPB라서 ECU 폭주에서 자유롭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아예 제동 계통을 ECU 제어에서 분리시키려 하는 것이 요즘 추세입니다. 무엇보다 제동력이 제동력이라 주차 브레이크를 급발진 시 기본 제동 수단으로 삼으려는 미친 자동차 회사는 아예 있지도 않고, 알려진 대처법에서도 감속 후 사용이지 닥치고 이것부터 사용하라 하지도 않죠.
               
dateno1 2023-08
어차피 와이어 방식 써서 분리하더라도 제동력이란 측면에서 답이 안 나옵니다

멕시멀로 제동 걸어도 엑셀 밣으면 속도 꽤 나옵니다

어디까지나 비상시 보조 제동이나 경사에 주차시 변속기 부하 막는정도죠
               
the촌놈 2023-08
오래전부터 제동은 ECU와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다만 하이드로백이 지속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 엔진이 필요한 것이죠.
기어만 N으로 빼시면 이상적인 기능이 지금도 즉시 구현이 가능합니다.
ECU에서 물리적으로 독립된 기능 + 바퀴구동은 중단 + 브레이크는 유지
     
가빠로구나 2023-08
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the촌놈 2023-08
기어를 N으로 빼는 게 수동처럼 물리적으로 빼는 게 아니죠. 그리고 더 단순하게는 그냥 시동 버튼 눌러서 시동을 끄면 됩니다. 그게 먹힌다면 말이죠.
맣맣 2023-08
시동을 강제로 끄는게 엄청나게 위험한 행동입니다
유압으로 동작하는 스티어링이라 브레이크가 먹통이 되어서 그대로 죽음에 이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스마트키가 차주변에 없어도 시동이 꺼지지 않는겁니다
     
가빠로구나 2023-08
그렇군요
궁금한게 있습니다
점화플러그가 4개가 있다면 급발진시 3개만 수동으로 끄게 하고
1개만 작동하게 하면 이것도 문제가 될까요?
          
김준연 2023-08
그게 '완벽하게' 되었다면 이 고생을 안 합니다. 급발진의 현재로서 알려진 주된 원인은 결국 ECU의 오작동인데, ECU의 제어 영역인 일부 밸브만 개방(점화 플러그 운운은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디젤 엔진은 압축 착화이기에 점화 플러그가 처음부터 없기 때문입니다.)하는 것은 정작 위험할 때 이 제어가 제대로 될지 그 누구도 보장을 못 합니다. 그리고 저 기술은 다른 이유로 이미 쓰이고 있는데, 미국의 대배기량 자연흡기 가솔린 엔진 차량(쉽게 말하면 쉐보레 콜벳 등)에서 연비 향상을 위해 이미 적용된 기술입니다. 다만 그 누구도 '급발진 제어용'으로 이걸 쓸 생각은 안 합니다.
               
가빠로구나 2023-08
ㅎㅎ 예 중고차 하나 구매하려다가 많은거 알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RIGIDBODY 2023-08
제 생각에는 기어를 물리적으로 빼는 방법이 가장 햔실적일 것 같네요. 유체 커플링 바로 분리할 수 있는, 못만드는게 아니고 만드는 순간 급발진 인정하는 꼴이라 절대 안합니다. 제조사측에선
     
가빠로구나 2023-08
이래저래  뮨제군요 ㅎㅎ
황진우 2023-08
급발진 관련특혀를 현대자동차에서 다 확보한 상태라고 하더군요. !!!!

PS :
연료차단 스위치가 있습니다.
상용자동차에는 설치를 안해서 그렇이요.
     
가빠로구나 2023-08
ㅎㅎ  그렇군요
the촌놈 2023-08
전기차는 연료라인이 없죠.
drezip 2023-08
급발진이 결국은 엔진에 공기와 연료가 많이 들어가는 현상일텐데
스로틀 밸브 제어모터를  수동으로 전환해서 닫게 만들거나
연료밸브를 를 최소공급량으로 전환되게 하면...


QnA
제목Page 617/5708
2014-05   5143828   정은준1
2015-12   1677970   백메가
2021-06   2505   머리감자
2021-12   2505   화이트노이즈
2019-07   2505   newretrowave
2019-02   2505   가상화공부중
2020-02   2505   미수맨
2020-05   2505   뮤노
2019-08   2505   sdlfkjwer
2020-03   2505   가빠로구나
2019-03   2505   전진
2020-04   2506   이지포토
2019-08   2506   파란꿈
2018-12   2506   정의석
2022-01   2506   다롱이
2020-07   2506   AplPEC
2020-12   2506   Sikieiki
2019-05   2506   욕심쟁e
2020-04   2506   keros
2023-09   2506   이유종
2023-05   2506   이매망량2
2019-06   2506   알쥐어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