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40458 |
0 |
2014-05
5140458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5078 |
25 |
2015-12
1675078
1 백메가
|
63566 |
메인보드가 그냥 팍 죽을 수 있나요? (8) |
AplPEC |
2017-12 |
4894 |
0 |
2017-12
4894
1 AplPEC
|
63565 |
대형 필름 출력 관련해서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4) |
백남억 |
2012-03 |
4895 |
0 |
2012-03
4895
1 백남억
|
63564 |
윈도7 64비트 ultimate (16기가램) 인데요 최대절전모드 시 블루스크린이 뜨네요(hib… |
김건우 |
2015-10 |
4895 |
0 |
2015-10
4895
1 김건우
|
63563 |
리눅스 쉘스크립트의 이상동작...좀 봐주세요. (2) |
김건우 |
2013-02 |
4895 |
0 |
2013-02
4895
1 김건우
|
63562 |
쿨링팬 관련 (6) |
이현호 |
2008-12 |
4895 |
1 |
2008-12
4895
1 이현호
|
63561 |
5.25인치 베이에 노트북ODD 두개 들어가는 제품 있을까요? (7) |
Lucifer |
2015-10 |
4895 |
0 |
2015-10
4895
1 Lucifer
|
63560 |
스카시 시스템 구성 여러분의 선택은 ? |
조재현 |
2007-10 |
4895 |
10 |
2007-10
4895
1 조재현
|
63559 |
컴퓨터 사양 문의입니다 (6) |
정윤성 |
2007-04 |
4895 |
2 |
2007-04
4895
1 정윤성
|
63558 |
2cpu 꿈나무들, 지금 어떤 일 하시나요? (14) |
하셀호프 |
2016-06 |
4895 |
0 |
2016-06
4895
1 하셀호프
|
63557 |
슈퍼마이크로 743의 핫스왑 베이에 관해 질문이 있습니다. (5) |
김강민 |
2007-04 |
4895 |
8 |
2007-04
4895
1 김강민
|
63556 |
낙뢰보호 멀티탭을 알아보다가 떠오른 건데말입니다... (7) |
izegtob |
2015-09 |
4895 |
0 |
2015-09
4895
1 izegtob
|
63555 |
하이포인트 2320 레이드 하드8개 동시 사망건에 대해 결과보고 (1) |
박재석 |
2007-05 |
4895 |
6 |
2007-05
4895
1 박재석
|
63554 |
DIRECT PATH 관련하여 허접하지만 해결이 안되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2) |
대한민국 |
2013-12 |
4895 |
0 |
2013-12
4895
1 대한민국
|
63553 |
이런 용도에 적합한 스캐너 추천 부탁드립니다. (6) |
나비z |
2016-11 |
4895 |
0 |
2016-11
4895
1 나비z
|
63552 |
ssd에 전기가 흘러 자꾸 쇼트가 나는데 해결법 있을까요? (14) |
병따개님 |
2020-02 |
4896 |
0 |
2020-02
4896
1 병따개님
|
63551 |
리틀폴2 비공식으로 메모리 4기가 인식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1) |
오준호 |
2008-10 |
4896 |
10 |
2008-10
4896
1 오준호
|
63550 |
cpu 바닥에 생채기가 생겼는데.. 제온 oem도 as가 가능한가요? (10) |
몽타주 |
2017-06 |
4896 |
1 |
2017-06
4896
1 몽타주
|
63549 |
구형 노트북 CPU를 교체해서 써보려고 하는데.. 가능할까요? (5) |
노가리강추 |
2016-03 |
4896 |
0 |
2016-03
4896
1 노가리강추
|
63548 |
스카시 하드를 구성하려고 하는데.. (3) |
김종오 |
2009-01 |
4896 |
5 |
2009-01
4896
1 김종오
|
63547 |
윈도2008 터미널 서비스 질문입니다. (4) |
김상일 |
2008-12 |
4896 |
7 |
2008-12
4896
1 김상일
|
제가 하는건 메트릭스 연산이라 메뉴얼에
"메모리 속도가 가장 중요합니다!"
라고 박혀 있더라구요.
메인보드에서 메모리 클럭 조절해가면서 성능차를 테스트해보고 싶은데..
사용하시는 시스템이 서버라면 위 링크의 재일 마지막 부분을 참조하시고요..
사용하시는 시스템이 PC라면 오버클럭 전용 마더보드나 최상위급 마더보드에서 각종 파라미터를 바꾸어가면서 테스트 해봐야겠죠??
그러나 보통 오버클럭을 하면 시스템의 안정도가 안좋아집니다..
메모리 타이밍값 셋팅도 중요합니다..
저세히 한번 읽어봐야겠네요.
근데 bmt결과로 니온 자료들은 아닌게 아쉽네요.
이론과 실제는 결과가 달라서 그게 참 궁금하네요 ㅎㅎ
메모리 스팩만 보면 3200이 빠르지만 어떤 CPU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CPU가 지원하는 메모리 속도가 모델마다 틀리기에)
메모리 속도 숫자만 높다고 다 그 속도로 동작하지 않습니다.. (CPU가 인식할수 있는 메모리 모델도 제한이 있기에)
저는 일반 DDR4 2400 메모리가 필요한데 옛날 메모리라 중고 수요가 적은지 그보다 속도가 높은 메모리 보다 가격이 좀 높더라고요..
그렇다고 현재 판매되는 DDR4 3200에 맞추어서 CPU와 보드를 바꾸기에는 그것도 좀 계륵인 것 같기도 하고요..
그러나 특히나 계산에 특화된 작업을 하시는 분들은 이쪽을 굉장히 중요시하시는 경우가 많기에 어느 정도 방법을 알아두면 좋습니다..
(서버나 워크스테이션의 경우 보통 CPU에서 직결된 메모리슬롯에 메모리를 채우면 그 메모리 동작성능이 최대화 됩니다..)
클럭이 오른만큼 타이밍이 풀어지기 때문에 메모리 접근 레이턴시 자체는 거기서 거기이기 때문입니다.
대체로 AMD 계열이 메모리 클럭의 영향 더 많이 받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2400Mhz라면 아마 3200까지 오버시켰을떄 작동 문제 없을껍니다
2400 메모리면 대부분 3200~3400 정도까지는 램오버가 될텐데 램 오버를 하는 이유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