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스펙 제온 듀얼 cpu 장착 시 파워이중화가 필수인가요??

   조회 4000   추천 0    

맞추려는 스펙은

cpu : Xeon Gold 6248R x 2

쿨러 : NOCTUA NH-U14S DX3647

글카 : GT1030

메인보드 : ASUS WS C621E SAGE

램 : 삼성 DDR4-3200 32G ECC/REG x 8

SSD : 삼성 970EVO PLUS 2TB

파워 : MSI MEG AI1300P PCIE5 80PLUS PLATINUM

케이스 : 4U 랙 케이스


입니다.

24시간 365일 서버에서 데모 작업용으로 돌릴 예정인데 파워이중화가 필수인지 궁금합니다!!

더불어 파워 이중화를 하게 되면 얻는 이점도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업체 측에서는 메인보드가 듀얼파워를 지원을 안하고 현재 파워로도 충분하다고 하는데 고수님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더불어 위 스펙에서 과도하게 들어가거나 스펙을 올려야 할 부분이 있다면 댓글 달아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오메가갈매기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3-08
파워 이중화가 리던던트 파워를 의미하는 것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그것이 맞다면 일반적으로는 리던던트 파워는 필요가 없고요..

서버를 운용함에 있어서 장기간 서버를 돌리면서 중간에 서버를 끄지 말아야 된다면 (서비스가 끊어지지 않아야 한다면)

리던던트 파워가 꼭 필요합니다..

파워 모듈이 하나가 고장이나도 다른 나머지 파워 모듈이 계속 동작하여 시스템이 꺼지지 않게 해줍니다..

조립 서버에서 리던던트 파워를 구하는게 쉽지는 않습니다.. 가격도 가격이고요..

리던던트 파워는 일반적으로 시끄럽습니다..

이엠택 레드빗 옵티마이져라는 케이스가 전용 리던던트 파워(이엠텍 레드빗 CRPS-2000W-1U 80PLUS PLATINUM) 가 지원됩니다..

케이스 따로 파워 유닛 2개 따로 PDU 따로 구매해야 1개의 셋트가 됩니다..


벤더사의 랙마운트 서버들은 기본적으로 리던던트 파워를 지원하게 설계된 것들이 대부분이며 보통 맞는 파워유닛만 추가하면 됩니다..
     
말씀해주신
서버를 운용함에 있어서 장기간 서버를 돌리면서 중간에 서버를 끄지 말아야 된다면 (서비스가 끊어지지 않아야 한다면)
이 부분이 정말 정확한 것 같습니다.
리던던트 파워라는 것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혹시 저 스펙에서
https://shop.danawa.com/virtualestimate/?controller=estimateMain&methods=index&marketPlaceSeq=16&logger_kw=dnw_gnb_esti
제품명 : 2MONS 4U D650 HD-28
를 사용할 예정인데 단순히 파워만 2개 구매하여 리던던트 파워 요청을 하면 되는 것인지 리던던트 파워 검색 전에 여쭤봅니다!!
          
박문형 2023-08
케이스 제조사에 리던던트 파워가 설치가 가능한지 문의하시고 어떤 모델이 가능한지 문의하세요..

모델이 나오면 그 모델이 국내에 판매를 하는지 알아보세요..

리던던트 파워 제조사는 전세계적으로 몇군데 없습니다..


제 글에 이엠택 제품을 언급한 것은 그나마 다나와에서 볼 수 있는 제품이라서 그렇습니다..
               
넵 감사합니다!!
리던던트 파워에 관한 지식을 쌓고 문의를 해봐야겠습니다.
               
다나와에서 리던던트 파워를 검색해 보니 와트수가 매우 적네요.....
500~800W 로 위 부품들을 견딜 수 있을지 걱정되네요ㅠㅠ
                    
박문형 2023-08
언제 출시했는지 확인해 보시면 꽤 옛날일것입니다..

그리고 제품 재고가 없는 경우도 꽤 있습니다..

서버쪽은 PC같이 다나와에 올려야만 팔리는 그런 제품이 아니기에 다나와에 안 올라간 제품도 많습니다..
                         
그러네요..... 리던던트 파워라는 것은 선생님 말씀주셔서 처음 알았네요
케이스 업체에 문의하여 호환 리던던트 파워 알아보겠습니다.
만약에 어렵다고 한다면 파워 : MSI MEG AI1300P PCIE5 80PLUS PLATINUM 이걸로도 버틸 수는 있겠죠? (평생은 아니구요)
                         
박문형 2023-08
글쎄요..

동작은 할 겁니다.. 몇 년동안 버틸지는 모릅니다..

본래 원칙은 서버보드나 서버시스템에는 서버용 파워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파워를 제조할 때 지켜야 할 사항 가이드 라인이란 것이 있습니다..

PC용 파워 스팩은 ATX12V 라고 하는데 이것도 버젼이 있습니다..

서버용 파워 스팩은 EPS12V 또는 SSI 라고 이야기합니다.. 요즘은 SSI로 가는 듯합니다..


서버용 파워를 PC에 사용하는 것은 아무 문제가 없지만 PC용 파워를 서버에 사용하는 것은 가끔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리던던트 파워는 케이스 제조사에서도 요즘 나오는 제품도 없고 와트수도 적다고 별로라고 하네요.
그냥 기존 1파워로 가려고 합니다.
하지만 리던던트 파워라는 개념을 알게 되었습니다.
친절한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박문형 2023-08
https://ark.intel.com/content/www/kr/ko/ark/products/series/192283/2nd-generation-intel-xeon-scalable-processors.html

제온 스케일러블 2세대에서 제온 골드 6248R 이 어느 정도 고스팩일수는 있지만 그보다는 제온 스케일러블 플레티넘 8xxx 씨리즈가

더 고스팩입니다.. 가격도 무자비하고 일반 컴퓨터 가계에서는 잘 팔지 않습니다..
     
그렇긴 합니다. 그래서 초고스펙 대신 고스펙정도로 써봣습니다ㅠㅠ
맞습니다!! 플레티늄은 일단 가격이 어마 무시하고 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리고 골드 6248R로 선정한 이유는 2세대 제품 중 동일 코어 대비 클럭수가 제일 높고 제온 중에 가장 많이 쓰는 골드 라인으로 선택했기 때문입니다.
추후 제온 플래티늄도 구매할 수 있도록 성장하는 회사가 되겠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글 내용과 댓글 내용으로 봤을 때는 아예 2U 서버로 가는 게 어떨 까 싶습니다. DELL R740 같은 모델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얼마전까지 주문 가능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말씀하신 용도에 딱 맞는 서버이니 검토 해 보세요.
     
4U 케이스를 보유하고 있어서 그렇습니다.
말씀하신대로 원래 2U 였으나, 변경되었습니다.  ㅠㅠ
박문형 2023-08
+100

조립서버와 벤더서버는 각기 장단점이 있습니다..
박문형 2023-08
사무실에서 사용하실지 아니면 IDC에서 서버호스팅을 하실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사무실 전기가 끊어지면 아무리 리던던트 파워를 설치한 서버라도 꺼집니다..

IDC는 보통 1단계로 대용량 UPS가 동작하고 2단계로 발전기를 돌립니다..

전기가 끊어질 경우 조금이나마 버틸수 있게 하려면 아니면 서버를 안전하게 셧다운하려면 UPS도 생각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UPS는 보통 납축전지가 들어가는데 수명이 있기에 대략 3년 주기로 계속 새것으로 교환해야 합니다..
     
오 네네 박문형님
저희가 따로 서버실이 있긴 한데 그냥 분리된 공간이고 전원이 끊어져서 서버 셧다운이 된다고 하여서 큰 문제가 되는 정도는 아니기 때문에
위에서 리던던트 파워 말씀주셔서 한번만 알아보고 1파워 구성으로 갈 계획입니다.
하드웨어 담당자가 아니다 보니 두서없이 쓰고 참 어렵네요.
댓글 너무 감사드립니다.
박문형 2023-08
컴퓨터 사용하면서 고장이 나거나 문제가 생기면 재일 골치 아픈 것이 데이터 입니다..

HDD나 SSD도 수명이 있어서 PC용은 대략 3년 서버용은 대략 5년 정도 쓰면 굉장히 오래 사용한 것이고 교체해야 합니다..

(물론 HDD나 SSD는 케바케라서 설치하자마자 죽어 버릴때도 있기는 합니다..)

그런데 은근히 컴퓨터는 한번 사면 거의 무한대로 사용 가능하다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꽤 있습니다..

그리고 SSD 쓰다가 데이터가 날아가면 데이터 복구 회사에 맏겨도 보통 데이터를 살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컴퓨터 하드웨어는 고장나면 부품을 구해서 고치거나 아예 새것으로 갈아버리면 되지만 데이터는 그렇게 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를 망실하지 않고 끝까지 보존하려면 철저한 데이터 백업과 리스토어가 필수입니다..
     
저 역시도 컴퓨터는 무한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말씀 주신 것처럼 주기적인 백업을 생활화하고 PC 환경을 최적화 하는게 안전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sbg2005 2023-08
현재 상황에서 캐스케이드레이크 CPU를 가시려는 이유가 있는지도 궁금 합니다.
제온프로 2023-08
<상황 재현>
서울의 어느 사무실..

서버가 돌다가..... 퍽 나갑니다..

처음엔 문제를 인지하는데 2~3시간 걸리겠죠..

뭐야. 뭐가 죽은거야. 왜 않켜저.. 핑도 않가는데요.. 접속도 않되고.
메인보드가 죽었나.. 메모리 다시 해봐..
메인보드 초기화 해봐....==> 않되는데요.. 파워가 죽었나보다..
일단 파워사..
시간이 늦어서 내일 오토바이로 받아야겠는데요..
중고라도 알아봐... 중고나라에서....
분당에 1600W 있는데요.. 20만원 달라고 하는데요..
일단 사와..
그럼 아이코다 주문은요??
일단 주문도 해놔.
법인카드 주세요..
분당에 다녀 오겠습니다.

3 hrs later...........

파워 사왔습니다.
그럼 일단 파워 연결해봐..
잘 되는데요..
아.. Ok  . 인제 만지지마.. 퇴근하자..
아이코다 주문은요.
아침에 전화해서 미안하다고 하고 취소해..
알겠습니다.
아이코다님~~!!! 취소좀 받아주세요...
이렇게 상황이 전개될 수 있는데..

리던던트 파워는..
서비스 중단이 없고.. 삽질도 없습니다.

파워와 SSD는 잘 죽거든요. 5년 서비스 하면 1번 정도는 죽는다고 보고 ..꼭 그 대응방책을 준비 해야 합니다.
양순모 2023-08
2U 슈퍼마이크로 시스템에 Xeon Gold 6248R 듀얼, 리던던트 파워로 구성된 서버 4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연구 계산용)

제가 담당하고있는 서버(메모리 풀뱅크, 레이드 컨트롤러, SSD 2개, 하드디스크 12개)에서 850W를 넘긴 적 없었으니까요
PSU 출력으로보면 충분하실 겁니다.
리던던트 PSU가 있음 좋지만,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고 하셨고...

다만, 사용하시려는 asus 보드의 CPU 레이아웃을 보면  문제가 있습니다.
Xeon Gold 6248R의 TDP가 200W가 넘어서 발열이 적다고 볼 수 없는데, cpu2가 cpu1 바로 뒤에 있어 발열 해소가 쉽지 않을 겁니다.
풀로드시 CPU 쓰로틀링 현상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용 규격의 메인보드를 사용하는 벤더 서버는 CPU를 앞-뒤 구성이 아닌 좌-우로 구성하는게 일반적이며,
표준 규격을 따르는 메인보드라면 2개 CPU를 같은 라인에 놓지 않고 살짝 비켜서 구성하고 있습니다.

지인이 asus의 동일한 메인보드로 구성한 서버를 사내에서 운영 중인데 CPU는 수랭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서버랙에 사용하지 않을 거라면 넉넉한 크기의 빅타워 케이스에, 수랭 CPU 쿨러 구성하시는 것은 어떨까요?

편하게 쓰고 싶으시면 IPMI 기능까지 되는 벤더 서버나 베어본으로 가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QnA
제목Page 5055/5725
2014-05   5242352   정은준1
2015-12   1767607   백메가
2014-10   4767   거친문지방
2019-04   2894   꾸띠웍
2021-12   2134   리나
2023-07   1775   영산회상
2017-01   6325   newtrols
2010-04   7205   명성호
2010-04   7425   김기범(mmx9…
2013-05   6106   안형곤
2016-02   4947   밀우
2010-04   8955   나너우리
2018-03   3760   진혼
2018-03   4492   욕심쟁e
2018-03   3755   분당김동수
2023-08   2025   치킨좋아요
2018-03   3903   이동원CH
2023-08   2228   grzlr
2016-02   5989   신동레트로
2018-03   4161   일론머스크
2010-05   8977   로그아웃
2014-11   5630   장동건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