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sung 990 Pro M.2 NVME 적정 온도 문의 드립니다.

죠슈아   
   조회 4417   추천 0    


Samsung 990 Pro 1TB M.2 NVME의 적정? 온도가  얼마쯤 인가요?

ROG Rampage VI Extreme Encore 보드에 DIMM2._1 + DIMM2._2 에 각각 장착하면 

Hard Disk Sentinel 온도에서 약 45도이고 노란색으로 경고 하고 있어요. 


그 앞에 140mm Fan을 달면 노란색 경고는 없어지고 녹색으로 되지만 

그래도 온도는 38도로 많이 낮아 지지 않네요.  ( 로드가 전혀 없는 상태라서 .. 이 온도가 의미가 없어 보입니다 )

NVME 온도가 높은데 ...  아래 DIMM.2 히트 싱크로 충분 할까요?

괜히 비용만 들이고 쓸데 없는 것을 구입한 것 같은데 ....   확신이 없어서 문의 드립니다.

PCIE 슬롯 아래에 장착해도 온도가 착해지지 않을 듯 합니다.


님들께서 사용 중이신 NVME 온도가 어느 정도 인가요?  

140mm 냉각팬 달고 38도 이면 DIMM.2 을 사용해도 괜찮을까요?




초보자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미담 2023-08
저는 nuc 에 사용중인데 팬도 없고 구멍도 없는 밀폐된 공간이라 방열판을 달아서 사용중입니다. 항상 45도 정도이고 대용량 복사를 하면 75도 정도까지 올라가더군요. 별 문제 없이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검은콩 2023-08
Sentinel 로 자주 모니터링하는데 70도 언저리 되면 신경쓰는편입니다
앤디캔디 2023-08
기가바이트 4.0 7600 idle시 55도 입니다
죠슈아 2023-08
헐 ~~    70도 , 75도 정도까지  되는군요. 
HDD도 33도 수준이고 i9-10920X CPU도 아이들 32도 , 헤비로드시에도 65도 수준인데 .. 

검색하니 NVME가  50도가 넘는 다고 하는군요...
온도 경고가 찜찜 헤서 ..
박문형 2023-08
Hard Disk Sentinel  은 전반적으로 잘 만들어진 프로그램이지만 절대적으로 믿을수는 없다라고 생각합니다..

즉 온도 같은 것은 데이터가 잘못되어 어떤 하드디스크의 온도 패턴이 그대로 나타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일종의 버그일수도 있을수 있다는 생각)

그러나 참조하고 모니터링하기에는 좋은 프로그램입니다..
     
죠슈아 2023-08
NVME (45도) 온도가 하드디스크 (35도) 보다 높게 나오는데 ...
하드디스크의 온도 패턴이 그대로 나타날 수도 있다는 말씀은 무슨 뜻인가요?
박문형 2023-08
Hard Disk Sentinel  은 하드디스크 모델에 따라 경고 온도 색깔이 변하는 레인지가 틀립니다..

최대 동작 온도도 모델마다 틀리고요..

각 모델마다 데이터베이스화되었다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제가 사용하는 도시바 하드는 40도만 넘어가면 노란 경고가 뜹니다..

그래서 최신모델인 990 같은 경우는 그 데이터가 틀렸다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진짜 틀린지 아닌지는 제조사가 개런티 하지 않는한 모릅니다..)


물론 프로그램도 그런 것을 줄일려면 최신 버젼을 사용해보는 것이 맞겠죠..
     
죠슈아 2023-08
Hard Disk Sentinel 의 온도 경고 범위가 디스크 모델마다 다르게 설정 된다고 하시는 것이군요,
이 프로그램이 모든 벤더의 모든 모델 디스크의 온도 경고 범위를 갖고 있지는 못할 것이라는 것이  합리적인 추측인데요.
아마도 디스크 SMART 정보를 레퍼해서 보여주지 않을까 ... 생각 합니다.
아마데우쓰 2023-08
Hard Disk Sentinel 정품 구입하시면..
개별 디스크별로 온도 경고 범위를 달리 지정할 수 있습니다.
NVMe SSD는 기본 발열이 40~50도 정도입니다.
제품마다 다르지만 최대 70~80도까지는 정상 범위이고요.
NVMe SSD는 온도 경고 범위를 달리 잡아서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저는 70도이상 붉은색.
65도 이상 노랑색으로 설정해서 사용합니다.
     
죠슈아 2023-08
개별 디스크별로 온도 경고 범위를 달리 지정하는 방법이 있군요.
PCIE3.0 보드이지만  990 pro가 PCIE4.0 기반이라서 더 온도가 높게 나오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최대 70~80도까지는 정상 범위이군요...
오픈 프레임이라서 팬장착이 용이 하므로 140mm 팬을 달아놓으니
35도 ~ 38도 수준인데 팬이 커서 팬 회전 소음은 아니지만 바람 소리가 거슬리네요.
김제연 2023-08
전 70 도 정도 까지는 심리적으로 안정이 되는데 .. 70 도 넘어가면 뭔가 불안해서 .. 꼭 방열판 쓰는 중입니다. . 보통 70도는 잘 안넘고 68도 정도더라구요 990은 아니구요
dateno1 2023-08
방열판 붙여놔도 저런 뜨거운 애들은 손 쉽게 6~70도대 갑니다

이런 수치가 괜찮진 않겠지만, 50도 이하 유지하는게 쉽진 않습니다
슬픔이 2023-08
nvme는 액티브쿨링 (팬or수냉)가야 발열잡혀요
     
죠슈아 2023-08
nvme 에도 수냉이 가능하지만 DIMM.2 에 달려있는 방열판도 있고  DIMM.2는 특별한 보드를 사용하므로 이것이
메모리와 근접한 위치라서 수냉킷을 장착하기는 어렵군요.
          
슬픔이 2023-08
그냥 팬이라도 달아보세요 공기 닿기 힘들면 에어덕트의 힘을 빌려서....
               
죠슈아 2023-08
140mm Fan을 달면 노란색 경고는 없어지고 ……

본문에 썼는데요 ㅎㅎ
미담 2023-08
제 사무실이나 집에 컴퓨터 모두 50도에서 70도 중후반을 왔다갔다 합니다. 중요한 데이타 보관용 SSD는 온도 신경을 써지만 작업용은 백업을 하니 큰 신경안써고 벌겋게 경고등이 들어와도 마구잡이로 사용하곤 하는데요, 현재 2년째 사용중인 NVME SSD도 멀쩡합니다. 2년동안 거의 전원을 안내려도. 그리고 회의탁자에 있는 nuc는 방열판도 없는 상태로 아주 좁은 밀폐공간에 놓여있는데 5년째 멀쩡합니다. 그건 발열이 적은 거라 그런건가....


QnA
제목Page 1815/5703
2015-12   1654625   백메가
2014-05   5119208   정은준1
2023-04   4123   백수가꿈
2018-06   4123   김건우
2014-08   4124   이선규
2016-08   4124   나무숲
2014-11   4124   kino0924
2023-08   4124   무쏘뿔처럼
2020-09   4124   금콩커피
2019-02   4124   캔위드
2020-02   4124   홀릭0o0
2019-06   4124   술이
2017-07   4124   DSUN
2014-04   4124   션한맥주
2022-05   4125   DOX
2020-09   4125   장동건2014
2019-10   4125   큰하늘
2018-05   4125   서울사람
2020-01   4125   블루영상
2015-06   4125   윈도우10
2017-05   4125   별뮈여어엉
2018-06   4125   스모모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