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 |
Dell T7920 화면뜨지않음 및 비프음 에러 질문 드립니다. (5) |
Xecus |
2024-03 |
1380 |
0 |
2024-03
1380
1 Xecus
|
84 |
dell t7920 비프음 질문 드립니다. (6) |
Xecus |
2024-03 |
2345 |
0 |
2024-03
2345
1 Xecus
|
83 |
T7920 직동불가 문제 (15) |
Kimmandu |
2024-03 |
2381 |
0 |
2024-03
2381
1 Kimmandu
|
82 |
T7920에 어느정도 크기의 그래픽까지 들어갈 수 있나요? (7) |
Kimmandu |
2024-03 |
1699 |
0 |
2024-03
1699
1 Kimmandu
|
81 |
T7920 램 혼용 가능한가요? (3) |
Kimmandu |
2024-03 |
1564 |
0 |
2024-03
1564
1 Kimmandu
|
80 |
제온 골드 1세대 숄더링 되어있나요? 외 T7920에 대한 몇가지 질문 (14) |
Kimmandu |
2024-02 |
2374 |
0 |
2024-02
2374
1 Kimmandu
|
79 |
T7920에 2400T 메모리 써도 되나요? (7) |
Kimmandu |
2024-02 |
2212 |
0 |
2024-02
2212
1 Kimmandu
|
78 |
T7920 추출 메인보드 일반파워로도 돌아가나요? (5) |
Kimmandu |
2024-01 |
1770 |
0 |
2024-01
1770
1 Kimmandu
|
77 |
터지면 아쉬운거고 일단 끼워보겠습니다 (2) |
Kimmandu |
2024-01 |
1275 |
0 |
2024-01
1275
1 Kimmandu
|
76 |
렉걸리는 증상 문의 드립니다.. (7) |
lovemiai |
2024-01 |
1578 |
0 |
2024-01
1578
1 lovemiai
|
75 |
윈도우 종료시 오래 걸리거나 다운 되는 현상 (7) |
미담 |
2024-01 |
1359 |
0 |
2024-01
1359
1 미담
|
74 |
Z840 베어본 직구하는거 괜찮을까요? (8) |
vwev |
2023-12 |
2040 |
0 |
2023-12
2040
1 vwev
|
73 |
델 T7920, 서버용 D4 32G 모듈 용량이 갑자기 절반으로... (5) |
김우진 |
2023-12 |
2084 |
0 |
2023-12
2084
1 김우진
|
72 |
가상화 서버 구성을 위해 코어수냐 클럭이냐 고민 입니다 6152 * 2(44코어 88스레드,… (16) |
프리라이프 |
2023-12 |
2475 |
0 |
2023-12
2475
1 프리라이프
|
71 |
[해결]Dell 7910 부팅 문의 (8) |
witbox |
2023-12 |
3781 |
0 |
2023-12
3781
1 witbox
|
70 |
HP Z840에 삼성전자 DDR4-2933 ECC/REG (128GB) 램을 추가해도되는지 질문 드립니다 (9) |
프리라이프 |
2023-12 |
2108 |
0 |
2023-12
2108
1 프리라이프
|
69 |
델 t7920에 3090 2장 설치 문의 입니다. 사진 있어요 (5) |
꼽살 |
2023-12 |
1590 |
0 |
2023-12
1590
1 꼽살
|
68 |
[문의] 이미지 영상 기반의 AI 학습용 워크스테이션 구입 |
권오준 |
2023-11 |
1306 |
0 |
2023-11
1306
1 권오준
|
67 |
제온골드 2개와, 램 192기가만 가지고 있다면??? 활용 도움 부탁드립니다. (5) |
벤쿠버한량 |
2023-11 |
1903 |
0 |
2023-11
1903
1 벤쿠버한량
|
66 |
델 프리시전 7920 전반적인 작동 속도가 느린 문제 (12) |
galaon |
2023-11 |
6370 |
0 |
2023-11
6370
1 galaon
|
데이터 저장장치인데 컴퓨터와 저장장치 사이에 네트워크로 연결된 것입니다..
컴퓨터에서 NAS를 불러내면 하드디스크로 보이는 것이죠..
윈도우즈에서 디스크 공유기능도 일종의 간이 NAS 입니다..
다른 스토리지에 비하여 NAS의 특징은 데이터 공유기능 입니다..
대신 패킷통신인 이더넷을 사용하기에 데이터의 속도가 들쭉날쭉합니다..
이더넷이라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서는 셋팅이 좀 편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T타입도 써버로 쓰시는 분 봤습니다. 다만 전력, 발열 관리만 잘되면 괜찮을겁니다.
--> 가능, 차고 넘침
2) 소형서버구입 사용시 고정Ip 신청 유무
--> 고정IP신청 가능하지만,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DDNS로 대부분 커버 가능
3) 제가 리룩스나 우분투를 아주 조금밖에 몰라서 윈도우로 활요 가능 한지 여부
--> 윈도우에 파일공유로도 많이 쓰지만 권한 관리나 부가 기능이 별로 없죠.
4) 회사 자료가 약 4TB 정도 사용 중일때 나스가 유리 한지 서버가 유리 한지
--> 뭘로 해도 차이 없을 듯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가 나스고,
서버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다른 컴퓨터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호스트 컴퓨터 또는 소프트웨어를 지칭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서버에는 저장장치가 있으므로, 네트워크에 연결하면 그게 바로 나스입니다.
윈도우에서 공유를 걸고 옆의 컴퓨터에서 네트워크로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으면 개념적으로 나스가 됩니다.
1) 간이서버 활용 가능합니다. 윈도우 공유(SMB)를 사용하시면 윈도우 혹은 리눅스에서도 접근하여 사용 가능합니다.
2) 고정IP는 인터넷 회선 업체에 문의하셔서 고정IP서비스를 신청하여 이용하시면 되고요
3) 윈도우 서버 많이들 사용합니다. 기본적인 윈도우공유(SMB) 외에 전통적인 FTP서버 등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서버로 쓰셔도 좋고, PC에 붙여서 활용하셔도 좋고, 전용 나스를 구매하셔도 좋고 방법은 다양합니다. 유리하다는 것은 관점이 다를 수 있는데, 비용 절약이 목적인지, 전기 절약이 목적인지, 동시 사용자 증대가 목적인지 등에 따라서 다양한 선택지가 있습니다.
의미상 분류나 포함하는 범위 입니다.
쩜방 어르신들 중에는 cerberus FTP 이런거 사서 윈도우에서 굴리시는 분도 계시더라구요
단순한 외부 파일 공유를 원하시는건지, 아니면 특별한 목적이 있는지. 원격접속으로 불편함이 없다면 굳이 판을 벌일 필요는 없지 않을까 합니다.
집에서 놀고 있는 SATA 500G 정도 하나나 둘 연결해보시고
집에 나스를 설치해보세요
저거 다 하는데 6만원 전후 필요할 거 같은데
한 3일 사용해보시면
어 어 그리곤 답이 나올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