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파이를 우분투 서버로 만든다면 우분투os는 어디다 설치하시나요?

   조회 2789   추천 0    

도저히 8bay 아이스레이크 나스의 전력이 부담되서 견디지 못하고 라즈베리파이 nas로 이사가려다 이런걸 봤습니다.


https://kwonkyo.tistory.com/472#gsc.tab=0

이곳에서 보고 알리 뒤지니깐 나오더라고요.

그래서 이걸로 갈아타야 겠다고 결심하고 준비중에 

의문점이 생기더라고요

라즈비안os는 보통 sd카드에 설치해서 쓰는데

우분투도 sd카드에 넣어서 쓸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서버 만들고픈 뉴비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piloteer 2023-08
네 똑같습니다. SD카드여야 할 필요는 없고 USB 부팅 등도 가능은 한데요.

근데 100% 자신은 없지만 이더넷 포트 크기 대비 케이스 크기 보면 아마 2.5인치 베이일 거 같은데 괜찮으세요? 그럴 바에야 오드로이드 HC4-P같은 3.5인치 2베이가 용량이 더 나올 것 같은데.. 파이를 검토하시는 시점에서 속도를 깐깐하게 따지시는 것은 아니실 테고요.

그리고 나중에 이더넷 속도 업그레이드 등을 위해서라도 저라면 그냥 아톰 보드 가지고 만들 것 같습니다. 우분투 말고 나스 전용 배포판들을 쓸 경우도 ibm 호환기종 쪽이 지원이 좀 낫고요.
     
이매망량2 2023-08
하루종일 켜둘 용도라 ssd까지 써서 저전력으로 맞추려고 합니다.
크기도 작기도 하고요
아톰도 고려해봤고 아톰보드 몆가질 봤는데
구성이 맘에 안들더라고요. PCle대신 PCI가 있어서 H200과 쓰기 번거롭고
그래서 비슷한거 찾다가 걍 라즈베리파이로 가자란 결론을 내렸습니다
          
piloteer 2023-08
실제 전력 소모 차이 고려해서 Break-even point 계산해보셨나요? 그거 2.5인치로 구성한다고 전기료 절감 효과 보기만큼 높지 않습니다. 특히 동 용량 기준으로 보면 비용 절감 효과 보기 전에 뭐가 고장나건 교체가 필요해지건 해서 오히려 돈이 더 들 가능성이 상당히 높습니다.

하드 전력소모 참고: https://documents.westerndigital.com/content/dam/doc-library/en_us/assets/public/western-digital/product/internal-drives/wd-blue-hdd/product-brief-western-digital-wd-blue-pc-hdd.pdf

아톰 메인보드 이런 용도로 쓸만한 거 본 기억이 있는데 요즘은 안 나오나 잘 못 찾긴 하겠네요. 근데 심지어 pci-e 빼고 봐도 x86이 여러모로 이점이 있습니다. SATA 직결도 되고 (그래서 하다못해 USB 장치만 추가하는 경우에도 대역폭 분할이 달라져서 성능에 차이가 납니다), FreeNAS같이 제대로 된 NAS배포판들 중 라즈베리 파이 지원 안 하는 게 많습니다. 전기도 요즘 라즈베리 파이가 전기를 많이 먹고 x86은 나름 저전력화가 되어 격차가 예전만큼 크진 않습니다. 이건 그래도 몇와트쯤은 차이가 날 수는 있습니다만...
               
이매망량2 2023-08
라즈베리파이 소모 전력하고
ssd소모전력이라고 인터넷 처서 검색한게 전부입니다;;;
라즈베리파이 4b+가 5w먹는다고 나왔고
거기에 ssd  소모 전력도 5w로 나와서
단순하게 25w정도 소모하겠구나
라고 생각했습니다
                    
piloteer 2023-08
저 위에 3.5인치 하드 사양표 보시면 웬디 3.5인치 하드도 5W 먹습니다. 그 경우 전력소모가 하나도 안 내려간 셈이 되겠지요. 요즘 SSD는 고속화,고용량화를 위해 에너지 효율을 다소 희생했기 때문에 딱히 놀라운 결과는 아닙니다.

뭐 실제론 아이들 전력소모, 스핀다운 여부 등에 따라 정확한 결과가 달라질 겁니다.  거기까지 자세히 기재 안 해 주는 경우도 많긴 합니다만..

참고로 전력소모를 요금으로 환산하시려면 W값에 0.72를 곱하시면 월간 kwh값이 나옵니다. 그걸 한전 요금표와 대조하시면 됩니다. 0.72인 이유는 (1kw/1000w * (24 hr * 30 days)) 를 곱하기 때문. 그걸 기준으로 뭘 얼마나 써야 어떻게 비용 절감이 되나를 따져봐야 유의미한 에너지 절감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이매망량2 2023-08
한번 계산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Noname1 2023-08
전력부담은 아이스레이크보다 8베이에서 나올 것 같습니당..
     
이매망량2 2023-08
깜빡하고 안적었는데하드3개만 장착했습니다
3.5인치 하드가 생각보다 많이 먹더라고요
시도니 2023-08
sd카드에 넣고 부팅하는 거죠.

뭐 우분투를 쓰는 사람도 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우분투계열보다 레드햇계열이 친해서..

라즈베리파이도 centos 이미지가 있긴 합니다.
     
이매망량2 2023-08
그럼 거기에 os넣고 쓰기엔 안정성은 괜찮나요?
          
시도니 2023-08
저는 개인적으로 SD카드 / USB 부트 미디어 자체를 믿지 않습니다.

특히, 헤놀 구성할 때 부트이미지를 위해서 USB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문제는 USB의 경우, ACPI 에 의해서 전원 차단이 안되기 때문에 모델에 따라 다르긴 합니다만,

장시간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물론, 부트이미지 이기 때문에 또 USB를 만들어서 띄우면 데이터 유실은 없을 꺼긴 한데.. Config는 떠 놔야겠죠.


SD도 마찬가지 입니다.

저는 라즈베리파이를 통해서 장난감 용도로 사서 가지고 놀다가 쳐박아 두었지만,,

이걸로 NAS 를 만든다던가하는 생각은 하지 않았습니다.

저는 특히 3B 인데, 3B는 1Gb NIC 가 달려있기는 하나 ,,, 실제로는 USB NIC 가 온보드 되어 있는 형상이라서 속도는 그닥입니다.

4B 부터인가는 Native 라고 하던데,,, 이건 저도 잘 모르겠군요.



저는 주희님 PC 같은 것으로 OMV를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매망량2 2023-08
종종 usb가 끝어지는 걸 경험했는데 그런 usb보다 신뢰성이 떨어진다니...
정말 sd카드에 뭐 설치하거나 쓰기 무서워지네요
dateno1 2023-08
MicroSD에 설치하는 일이 잦지만, 성능이나 내구성면에선 그닥 추천 안 합니다

좀 더 내구성과 성능을 원하신다면 SSD를 USB로 물리거나 하는게 낫습니다

다만 이것저것 다 물리고, 복잡하게 구성할꺼라면 위에 적힌대로 x86계열 SBC로 가시는게 나을껍니다 (산딸기에 저런거 살돈이면 사고 남음)
     
이매망량2 2023-08
저도 아톰보드는 생각하고 몆가지 보드를 찾아봤는데
구성이 맘에 안들더라고요
화란 2023-08
IceLake CPU 쓰다가 라즈베리파이 쓰면 느려서 좀 답답할겁니당^^

개인적으로는 라즈보다는 ITX보드 저렴한것 + Raid Card 요래 추천합니다.
김우진 2023-08
저는 라즈베리파이에 오픈미디어볼트 사용했었는데, 나중에 공유기에 내장된 NAS 기능과 USB 메모리로도 저에겐 충분하다는걸 깨닫고 다 없애 버렸습니다.


QnA
제목Page 278/5728
2014-05   5256521   정은준1
2015-12   1781461   백메가
2016-10   6575   깜장거북이
2012-10   5609   김상우AP
2017-12   4717   jore
2012-10   5250   회원K
2017-12   4243   김준유
2009-09   10276   심바트
2017-12   4028   NiteFlite9
2019-02   3362   박종대
03-04   567   한중일
2014-07   5062   명성호
2017-12   10369   눈뜬봉사
2012-11   10419   두슬아빠
2017-12   4089   이미존재하…
2014-07   4578   서울사람
2015-11   8815   장동건2014
2014-08   6525   아름다운노을
2017-12   4161   신은왜
2021-09   2805   전설의흑곰
03-25   406   통신버필
2016-11   4764   epowerg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