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Memory (ioDrive2 등) 저용량(1.2GB)은 발열이 덜 날까요?

   조회 2753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 ioMemory (ioDrive2 등) 가

고용량 버전은 3.2TB, 6.4TB 있는 것으로 아는데요.


(질문-1)

- 저용량(1.2TB) 버전은 3TB, 6TB 버전 보다는 발열이 덜 날까요?

예) 저용량 (1.2TB)은 발열이 별로 없다든지....


(질문-2)

iodrive2 (1.2TB) 에 쓸만한 방열판이나 쿨러 있으면 추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ㄱ... Test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2민호 2023-08
1.6GB보단, 다이소 32GB USB를 사는 게 더 용량이 크고 발열이 적습니다.
     
미친감자 2023-08
죄송합니다. iodrive2 1.2GB가 아니라 1.2 TB 입니다. 오타네요. (수정했습니다)
dateno1 2023-08
결론만 말해서 아뇨

NAND 개수/용량 제외하면 거의 모든게 똑같은넘들이라 보면 됩니다

가장 문제가 되는건 컨트롤러의 발열인데 이부분은 똑같은 수준으로 뜨거워요

OS 설치용이거나, 뜨거운것 피하실려면 그냥 저 시리즈는 걸려주세요 (지금 시점에서 가격 싼거 빼면 장점은 없습니다)
박문형 2023-08
메모리 칩 하나에서 열나는 것은 똑같다라고 생각하기에 용량이 크던 작던 온도는 뜨거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저 제품들이 꽤 오래전 제품이라 중고 제품 중에서 잘 동작하는 제품 구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저 카드들은 개조해서 방열판을 달다가 망가트리기가 쉽습니다.. (칩셋 깨지면 수리도 못합니다..)

바람이 센 쿨러를 옆에 고정시키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 아니요. 엔트리 모델인 785GB도 발열 심했습니다.

2. 저는 그냥 PCI 쿨러 브라켓에 80mm 쿨러 2개 엮어서 쿨링했습니다.
6.4TB 모델(SX350-6400) 사용중인데, 저는 해당 모델이 발열이 많은지 잘 모르겠습니다.
과거 카드 써보신 분들 말로는 전부 발열이 굉장하다 하는데요.
현재 모델은 방열판 자체도 컨트롤러에만 달려있고, 여타 칩들을 둘러싸는 방열판 같은건 제거 되어 있는데다
케이스 내부 팬 만으로도 70도 정도로 유지되었는데,
전면부 컨트롤러 방열판에 작은(60밀리) 팬 하나 달아주고 40~50도정도로 나와서 무난하게 사용중입니다.

     
dateno1 2023-08
사진처럼 전용 팬 직접 달아버리면 그나마 온도 양호합니다만, 케이스팬만으로 냉각할려면 방열판 크기가 작아서 그런지 답이 안 나옵니다 (뻑하면 6~70도 갑니다)
컨트롤러 발열은 심하고 nand 발열은 지속된 고부하 (기록/삭제 연속작업) 아니면 발열 거의 없는편입니다.
컨트롤러에 작은 쿨러 하나 달아두시면 되고 읽기 위주 사용 패턴이면 무난하게 사용가능하세요. 방열판에 그냥 40mm 쿨러 하나 얹어두시면 됩니다.
미친감자 2023-09
-- 답변들 감사드립니다


QnA
제목Page 274/5727
2014-05   5254199   정은준1
2015-12   1779105   백메가
2018-11   3095   늘파란
2024-07   1929   오후
2018-11   4121   BJ후늬
2017-08   3161   코쿠
2018-11   2935   늘파란
2021-04   3103   장운기
2022-12   2816   김민철GC
2016-08   3897   무아
2022-12   2856   LevinF
2016-08   6487   돼지털스
2014-03   3573   박중환
2014-03   6151   풀꽃들꽃
2016-08   3344   hyunsemo
2018-11   4024   페르세우스
2012-03   5538   김건우
2014-03   3831   아름다운노을
2021-05   2808   SSen
2020-01   4754   케리건
2024-09   2030   전일장
2012-03   10144   김건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