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7396 |
25 |
2015-12
1677396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43198 |
0 |
2014-05
5143198
1 정은준1
|
91976 |
Matrox G200eV (Maxim) 사용 시 화면 느림 (13) |
힙합느낌 |
2019-07 |
3370 |
0 |
2019-07
3370
1 힙합느낌
|
91975 |
엑셀 매크로 질문 좀 드리겠습니다. (1) |
차평석 |
2018-07 |
3370 |
0 |
2018-07
3370
1 차평석
|
91974 |
[질문] 시중 구매가능한 메인보드 vs 전문업체 납품용 메인보드에 따라 성능 차이가 … (17) |
호머심슨 |
2019-05 |
3370 |
0 |
2019-05
3370
1 호머심슨
|
91973 |
그래픽카드 고장일까요? (21) |
가성비가좋다 |
2023-10 |
3370 |
0 |
2023-10
3370
1 가성비가좋다
|
91972 |
혹시 게임메이커 라고 기업에서 사용해도 상관없나요? (4) |
라이젠 |
2017-08 |
3370 |
0 |
2017-08
3370
1 라이젠
|
91971 |
Z820 메모리 팬 속도 |
미담 |
2015-05 |
3370 |
0 |
2015-05
3370
1 미담
|
91970 |
10G nic, 10G switch, 10G cable(CAT7) 인데 1G로 잡힙니다. (9) |
달광이 |
2023-08 |
3370 |
0 |
2023-08
3370
1 달광이
|
91969 |
장기 창고보관한 본체의 재사용시 습기제거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3) |
인두껍 |
2018-07 |
3370 |
0 |
2018-07
3370
1 인두껍
|
91968 |
Z820 케이블 (2) |
미담 |
2015-04 |
3370 |
0 |
2015-04
3370
1 미담
|
91967 |
정품파츠 사진 (2) |
Qsup |
2018-04 |
3370 |
0 |
2018-04
3370
1 Qsup
|
91966 |
미동도 하지 않는 택배, 왜 이럴가요? (11) |
디지유 |
2020-11 |
3371 |
0 |
2020-11
3371
1 디지유
|
91965 |
CloudFlare의 "윈도우용" DDNS IP 업데이트 프로그램을 찾습니다!! (5) |
Elsaphaba |
2020-08 |
3371 |
0 |
2020-08
3371
1 Elsaphaba
|
91964 |
HDD 24개를 연결가능 파워가 있을까요? (16) |
hihoya |
2021-08 |
3371 |
0 |
2021-08
3371
1 hihoya
|
91963 |
X99 개조 바이오스를 통한 2696V3 최적 설정에 대한 질문입니다. (3) |
drama |
2022-01 |
3371 |
0 |
2022-01
3371
1 drama
|
91962 |
ESXI 6.5 서버에 데이터 스토어 추가 안됨 (5) |
전진 |
2020-07 |
3371 |
0 |
2020-07
3371
1 전진
|
91961 |
vmware 라이센스가요... (1) |
쿠팡이 |
2017-04 |
3371 |
0 |
2017-04
3371
1 쿠팡이
|
91960 |
processing option이란게 무슨뜻이죠 (4) |
그린 |
2019-05 |
3371 |
0 |
2019-05
3371
1 그린
|
91959 |
ASUS 최신 보드 바이오스 용량 낮추는법이 있을까요? (14) |
국어교과서 |
2022-04 |
3371 |
0 |
2022-04
3371
1 국어교과서
|
91958 |
서버 처분하려는데 괜찮은 매입업체 없을까요? (10) |
일론머스크 |
2017-07 |
3371 |
1 |
2017-07
3371
1 일론머스크
|
91957 |
첨부된 사진같이 콘넥트를 제작 도움 요청! (11) |
다롱이 |
2018-12 |
3371 |
0 |
2018-12
3371
1 다롱이
|
12 TB SAS HDD에 들어 있는 데이터는 다 날려버리고 그 디스크를 사용하고 싶다는 것인가요??
각 SAS HDD는 어디에 연결하실 예정인가요??
들어 있는 데이터를 다 날려도 된다면 레이드 콘트롤러에서 묶여 있는 레이드 볼륨을 풀면 각 디스크로 나뉘어 집니다..
그러나 그 하드들은 레이드 묶을때 레이드 콘트롤러에 맞게 초기화 되어 있고 보통은 다시 각각의 하드들을 초기화 하고
각각의 하드디스크들의 섹터를 체크해서(로우레벨포맷 혹은 제로필) 하드안의 배드섹터가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네, 레이드1을 풀면 두 개의 디스크가 나오는데 이 디스크를 개별적으로 사용하고 싶습니다. 그런데 이때 둘 중 하나는 데이터가 유지되었으면 합니다, 사실 다른쪽은 데이터가 날라가든 남아있든 상관없습니다.
raid1를 풀어서 나온 각 SAS HDD는 동일한 서버에 연결시킬 예정이었습니다.
답변주신내용은 레이드 컨트롤러에서 레이드볼륨을 풀때는 데이터 초기화가 이뤄지지 않지만 해당 디스크들을 다시 인식시키고 raid를 재구성하려고 할때 데이터 초기화가 이뤄진다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그 외에는 레이드 콘트롤러에서 레이드를 풀지 않고 그냥 디스크를 분리한 후에 작업 다하고 다시 콘트롤러에 꼽아서 에러메세지가 뜨면
상황을 보아 inport 하는 방법도 있지만 그렇게 하다가 데이터 날려 먹을수 있기에 (그런 작업한다고 데이터가 100% 살아 정상 동작한다는 보장은 없기에)
레이드 작업에서 데이터를 보관하려면 정확한 백업과 리스토어를 할 수 있게 준비해야 합니다..
백업 작업도 1차만 했다가 작업 실수로 날려먹을수 있기에 다른 독립된 매체로 3차까지 해주고 작업을 하는 편이 좋습니다..
이렇게 이야기 하면 이런 작업하는데 이렇게 까지 많은 준비 작업과 돈을 들여야 하냐 하실 수 있지만 작업하다가 데이터 날려먹는 것보다는 낫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할 봐에는 (3차백업까지 해야 할 봐에는) 작업용 새 디스크를 구하는게 돈은 더 적게 들수도 있습니다..
데이터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에는 레이드 작업시 무조건 백업을 하고 작업을 하는 것이 원칙으로 생각하는 편이 사고를 막는 최선의 길입니다..
말씀해주신 내용을 바탕으로 다른 방법을 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 surface scan: Raid Controller가 HDD에 hardware 적인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는 절차 입니다. 간단하게는 bad sector를 찾는 과정이 이 절차에 포함이 됩니다.
2. consystency check: RAID1 구성이 완벽한지는 확인하는 절차 입니다.
1,2 절차가 통과되면 그때는 RAID1 구성의 HDD를 분리해도 문제가 없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단점은, 각 단계가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