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D1을 데이터 손실 없이 해제하고 싶습니다.

surren   
   조회 3555   추천 1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현재 사용 중인 서버:
OS: Linux Ubuntu 18.04 LTS
MotherBoard: TYAN S7119GMRE
RaidCard: LSI MegaRAID 9361-8i
HDD: Seagate Exos X14 ST12000NM0038 12 TB SAS * 4EA
SSD: Samsung SSD 970 EVO Plus 2TB

raid 구성:
OS는 SSD에 깔려있고 HDD는 2개씩 raid1으로 묶여있습니다.

서버 8대를 운용하고 있는데 4 대는 raid1으로, 나머지는 raid 5로 묶어 사용 중입니다. 

NAS를 도입하는데 추가적인 데이터 공간은 필요 없기도 하고(도입 목적이 데이터 source 단일화와 데이터 중앙 관리입니다), 예산 문제도 있어서 기존에 사용 중인 HDD를 사용하려고 합니다.
이때 NAS에 들어갈 디스크의 데이터들을 잠시 담아둘 공간이 필요하여 RAID1을 풀고 용량을 추가로 확보하려고 합니다.

disk 초기화 없이 raid1을 풀고 os에서 disk 2개를 추가로 잡은 다음 해당 용량을 사용하고 싶은건데 가능할까요?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3-09
disk 초기화 없이 raid1을 풀고 os에서 disk 2개를 추가로 잡은 다음 해당 용량을 사용하고 싶은건데 가능할까요? ==> 간단히 말하면 불가능합니다..


12 TB SAS HDD에 들어 있는 데이터는 다 날려버리고 그 디스크를 사용하고 싶다는 것인가요??

각 SAS HDD는 어디에 연결하실 예정인가요??



들어 있는 데이터를 다 날려도 된다면 레이드 콘트롤러에서 묶여 있는 레이드 볼륨을 풀면 각 디스크로 나뉘어 집니다..

그러나 그 하드들은 레이드 묶을때 레이드 콘트롤러에 맞게 초기화 되어 있고 보통은 다시 각각의 하드들을 초기화 하고

각각의 하드디스크들의 섹터를 체크해서(로우레벨포맷 혹은 제로필) 하드안의 배드섹터가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surren 2023-09
답변주셔서 감사합니다!
네, 레이드1을 풀면 두 개의 디스크가 나오는데 이 디스크를 개별적으로 사용하고 싶습니다. 그런데 이때 둘 중 하나는 데이터가 유지되었으면 합니다, 사실 다른쪽은 데이터가 날라가든 남아있든 상관없습니다.
raid1를 풀어서 나온 각 SAS HDD는 동일한 서버에 연결시킬 예정이었습니다.

답변주신내용은 레이드 컨트롤러에서 레이드볼륨을 풀때는 데이터 초기화가 이뤄지지 않지만 해당 디스크들을 다시 인식시키고 raid를 재구성하려고 할때 데이터 초기화가 이뤄진다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박문형 2023-09
그렇게 생각하셔도 됩니다..

그 외에는 레이드 콘트롤러에서 레이드를 풀지 않고 그냥 디스크를 분리한 후에 작업 다하고 다시 콘트롤러에 꼽아서 에러메세지가 뜨면

상황을 보아 inport 하는 방법도 있지만 그렇게 하다가 데이터 날려 먹을수 있기에  (그런 작업한다고 데이터가 100% 살아 정상 동작한다는 보장은 없기에)

레이드 작업에서 데이터를 보관하려면 정확한 백업과 리스토어를 할 수 있게 준비해야 합니다..

백업 작업도 1차만 했다가 작업 실수로 날려먹을수 있기에 다른 독립된 매체로 3차까지 해주고 작업을 하는 편이 좋습니다..

이렇게 이야기 하면 이런 작업하는데 이렇게 까지 많은 준비 작업과 돈을 들여야 하냐 하실 수 있지만 작업하다가 데이터 날려먹는 것보다는 낫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할 봐에는 (3차백업까지 해야 할 봐에는) 작업용 새 디스크를 구하는게 돈은 더 적게 들수도 있습니다..


데이터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에는 레이드 작업시 무조건 백업을 하고 작업을 하는 것이 원칙으로 생각하는 편이 사고를 막는 최선의 길입니다..
     
surren 2023-09
좋은 조언 정말 감사합니다!
말씀해주신 내용을 바탕으로 다른 방법을 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epowergate 2023-09
가능은 한데 하기전에 2가지를 하셔야 합니다.
1. surface scan: Raid Controller가 HDD에 hardware 적인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는 절차 입니다.  간단하게는 bad sector를 찾는 과정이 이 절차에 포함이 됩니다.
2. consystency check: RAID1 구성이 완벽한지는 확인하는 절차 입니다.

1,2 절차가 통과되면 그때는 RAID1 구성의 HDD를 분리해도 문제가 없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단점은, 각 단계가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거죠


QnA
제목Page 1110/5708
2015-12   1677396   백메가
2014-05   5143198   정은준1
2019-07   3370   힙합느낌
2018-07   3370   차평석
2019-05   3370   호머심슨
2023-10   3370   가성비가좋다
2017-08   3370   라이젠
2015-05   3370   미담
2023-08   3370   달광이
2018-07   3370   인두껍
2015-04   3370   미담
2018-04   3370   Qsup
2020-11   3371   디지유
2020-08   3371   Elsaphaba
2021-08   3371   hihoya
2022-01   3371   drama
2020-07   3371   전진
2017-04   3371   쿠팡이
2019-05   3371   그린
2022-04   3371   국어교과서
2017-07   3371   일론머스크
2018-12   3371   다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