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기 중에 대역폭 합치는 제품이 있을까요?

   조회 2189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과거에 시스코 모델중에 라우터가

2개 WAN 제공해서 대역폭 합치는게 있던걸로 기억을 하는데

https://www.cisco.com/c/en/us/products/collateral/routers/small-business-rv-series-routers/datasheet-c78-742350.html



1G WAN(실은 300Mbps 상한) 을 3개 정도 합쳐서 빠르게 쓸 수 있는 방법이나 상용제품이 있을까요?

회사 인터넷이 1개만 쓰고 있는데

할당 받은 아이피가(고정) 30여개 정도로 많아서

별 의미 없을 수도 있지만

1G 광허브 - 1 ip 300Mbps 제한 * 3 - 공유기

이런식으로 1G로 쓰고 싶어서 머리를 굴리는 중입니다.

딸 넷 아들 하나 아빠 (큰 딸, 작은 딸, 왕큰 딸, 암 뭉뭉이, 수 뭉뭉이) - minimonk.net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Lulz 2023-09
https://www.2cpu.co.kr/network/7803
대부분은 아이피가 다르더라도 대역폭을 나눠 쓰는 방식으로 작동됩니다
     
구차니 2023-09
앗 계약 조건을 한번 확인해 봐야겠네요
당연히 ip당 300Mbps 씩으로 생각을 했습니다 하하하 -_ㅠ
대개 ip 1개에 오피스 넷으로 계약하다 보니 말이죠
엠브리오 2023-09
있긴 할겁니다. 다만 그걸 공유기라 부르지는 않을듯.
대부분 그런 기능을 가진 기기들은 VPN 장비입니다.
     
구차니 2023-09
생각난김에 quad wan 으로 검색해보니 vpn 으로 많이 뜨긴 하네요.
일단은 계약조건부터 확인해 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bg2005 2023-09
결국은 lacp 등으로(시스코는 트렁크포트 라 하던가요) 묶는것일텐데...

통신사 장비가 지원 해주는지를 봐야겠네요.

일단 개인고객 레벨에선 통신사에서 지원을 안 해줍니다.
     
구차니 2023-09
옛날에 LACP 시도해보려다가 장비가 부족해서 포기했던 기억이 있네요 흑흑..
아무튼 관리직원에게 물어보니 300Mbps 라서 아이피당이 아니라는 대답을 들어서 깔끔하게 포기하는걸로 결정했습니다
술이 2023-09
대역폭이 합쳐지지 않습니다. 분산처리밖에 안됩니다.
대역폭 합치는 방버을 쓰는건 고정IP 방식을 써야되고 거기에 VIP 로 나가게끔 해야 세션이 소멸되지 않고 정상적인 인터넷을 사용하게 됩니다. 대부분 이중화 용도로 쓰지 대역폭 합칠려고 사용하진 않습니다.
그나마 IP타임 2wAN 공유기는 SNAT가 깔끔하게 잘되어 있어서 문제가 없었지만 다른 제품들은 그냥 썼다가는 장바구니에서 사라지고 다른사람한테 내 정보 노출되고 희안한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구차니 2023-09
회사 건물의 광 허브가 사무실에 들어와서 공유기로 연결되는데 300Mbps만 잡히길래
광 허브에 3개 하면 될까? 라는 망상을 했는데 어짜피 라인(포트)당 대역폭을 QoS로 잡아둔거라면 우회하긴 힘들다는 결론이 났습니다.
     
프로게이머 2023-09
어후 공부가 되는 답변입니다.  ^^;
박문형 2023-09
글에 링크된 시스코 라우터도 VPN 용 라우터일 것입니다..

WAN이 들어오는 속도나 대역폭이 적어서 문제이고 오피스넷을 사용한다면 오피스넷에 문의하여 해결하는 것이 맞다라고 생각합니다..

여러개의 WAN 라인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더 용량이 큰 WAN 을 서비스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세요..
     
구차니 2023-09
느린건 아닌데 사무실에 광 허브까지 두고 건물 인터넷을 주는거라
어떻게 우회할 수 있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사무실에 300Mbps로 된거라 의미없을 것 같아 포기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봉래 2023-09
대역폭 합치는건 개인 장비 뿐 아니라 통신사 레벨에서도 같이 처리해줘야 합니다.
     
구차니 2023-09
솔찍히 30여명의 직원이 300Mbps로 써도 느린건 못느끼겠더라구요.
그래도 웬지 광허브 까지 주어졌으니 잘 속일수 있지 않을까.. 라는 얄팍한 생각이 들었었습니다 하하하
그냥 포기해야겠습니다.
박문형 2023-09
일반 가정에 들어오는 인터넷 라인과 회사 전용인 오피스넷은 가격도 많이 다르지만 그만큼 통신 품질이나 지원하는 것도 틀립니다..

아마 오피스넷은 통신 장애가 생기면 시간당으로 보상해준다고 약관에 있을 것이고 (인터넷 전용선 같이)

일반 가정용은 그런 보상 내용이 거의 없고 하루 이상 통신 장애가 생기면 그 때나 대응 해줄겁니다..

그 외 일반 가정용 라인은 결국은 전용 기가비트 스위치에 다 묶이고 통신 대역 폭이 공유될 겁니다..

아파트 통신 단자함 보면 어느 정도 짐작 가실 겁니다..


회사가 오피스넷을 사용하고 큰 건물에 있다면 아마도 전화와 인터넷을 담당하는 작은 전화국 사무실 같은게 건물 내부에 있고

관계통신사 직원들이 있을텐데 (거기서 계약 조건에 따라 건물의 인터넷 라인을 다 셋팅/관리 합니다..) 실체는 봐야 알겠지만..

왜 300Mbps 로 통신이 되는지가 저는 이상하다고 생각합니다..

계약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모르지만 최소 반기가인 500Mbps 나 1Gbps 는 나오는게 정상 아닌가 하는 생각이거든요..
     
구차니 2023-09
일단 계약이 300Mbps 라고 하니 건물 자체 제약이 있던가 하지 않을까 합니다.
제온프로 2023-09
KT 1회선과
LG 1회선을 동시에 쓰는 것을 보기는 봤습니다.
스위치에서 다른 로컬 대역으로 분리해서 쓰더군요..
     
구차니 2023-09
동일 네트워크에 서로 다른 게이트웨이 처럼 설정해서 쓰는건가요?
나쁘지 않은 방법인것 같기도 하네요


QnA
제목Page 268/5730
2015-12   1791382   백메가
2014-05   5266472   정은준1
2016-03   5654   딩굴이
2019-06   3851   김현우1
2023-10   1918   이매망량2
2013-08   9970   김상민
2020-09   5506   YunSeong
2022-03   2876   리카라바
2023-10   2575   미담
2018-05   5519   늘파란
2015-01   14276   하늘아리
2016-03   4844   그래픽카드
2022-03   3098   배달
2022-03   3272   VSPress
2015-01   4751   witbox
2016-03   4469   풍경1
2020-10   4982   박중석
2019-07   4459   일반유저
2016-03   4589   블루영상
2020-10   2739   르나풀스
2018-06   3446   머리감자
2022-04   2118   화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