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1382 |
25 |
2015-12
1791382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6472 |
0 |
2014-05
5266472
1 정은준1
|
109253 |
싱글스레드 성능 (14) |
딩굴이 |
2016-03 |
5654 |
0 |
2016-03
5654
1 딩굴이
|
109252 |
프리미어CC용 E5-2667 v2 vs E5-2697 v2 어떤게 더 좋을까요? (3) |
김현우1 |
2019-06 |
3851 |
0 |
2019-06
3851
1 김현우1
|
109251 |
도커위에 os를 올려 작동시킬수 있나요? (11) |
이매망량2 |
2023-10 |
1918 |
0 |
2023-10
1918
1 이매망량2
|
109250 |
DELL T320 집에서 사용할 만한 수준 인가요? (3) |
김상민 |
2013-08 |
9970 |
0 |
2013-08
9970
1 김상민
|
109249 |
X10drl-i 보드 불량 증상 (23) |
YunSeong |
2020-09 |
5506 |
0 |
2020-09
5506
1 YunSeong
|
109248 |
HP 파빌리온 dv3000 노트북 사양 질문드립니다. (2) |
리카라바 |
2022-03 |
2876 |
0 |
2022-03
2876
1 리카라바
|
109247 |
Roon을 휴대폰에서 사용하는 방법 (7) |
미담 |
2023-10 |
2575 |
0 |
2023-10
2575
1 미담
|
109246 |
mxQ pro + 안드로이드 박스 이게 S905 S905W S905X 가 있나 본데 어떻게 구분 하나요… (3) |
늘파란 |
2018-05 |
5519 |
0 |
2018-05
5519
1 늘파란
|
109245 |
우분투 리눅스를 사용중인데 3TB , 4TB HDD 별다른 설정없이 바로 인식 가능할까요? (8) |
하늘아리 |
2015-01 |
14276 |
0 |
2015-01
14276
1 하늘아리
|
109244 |
메모리 라이저 카드는 따로 안파나요?? (4) |
그래픽카드 |
2016-03 |
4844 |
0 |
2016-03
4844
1 그래픽카드
|
109243 |
노트북 배터리 용량 표시 문제, 배터리 캘리브레이션 (1) |
배달 |
2022-03 |
3098 |
0 |
2022-03
3098
1 배달
|
109242 |
DELL T5820 Flexbay NVME SSD 인식 문제 문의드립니다 (6) |
VSPress |
2022-03 |
3272 |
0 |
2022-03
3272
1 VSPress
|
109241 |
Hyper-V Server 2012 R2 (3) |
witbox |
2015-01 |
4751 |
0 |
2015-01
4751
1 witbox
|
109240 |
후지쯔 서버업그래이드 관련 (8) |
풍경1 |
2016-03 |
4469 |
0 |
2016-03
4469
1 풍경1
|
109239 |
4K(UHD)모니터는 어떤걸 선택하는게 좋을까요? (8) |
박중석 |
2020-10 |
4982 |
0 |
2020-10
4982
1 박중석
|
109238 |
[질문] 트리플 모니터 구성 (5) |
일반유저 |
2019-07 |
4459 |
0 |
2019-07
4459
1 일반유저
|
109237 |
이런 소프트웨어를 만들려면 어떤 언어를 공부해야 하는지요?? (13) |
블루영상 |
2016-03 |
4589 |
0 |
2016-03
4589
1 블루영상
|
109236 |
삼성노트북 하단에 사이드쪽에 led불 안들어오네요ㅜ |
르나풀스 |
2020-10 |
2739 |
0 |
2020-10
2739
1 르나풀스
|
109235 |
2CPU 포인트충전 입금후 언제쯤 반영돼나요? (4) |
머리감자 |
2018-06 |
3446 |
0 |
2018-06
3446
1 머리감자
|
109234 |
[ 비컴 ] 물티슈 부착해서 사용하는 밀대도 있나요 ? (5) |
화란 |
2022-04 |
2118 |
0 |
2022-04
2118
1 화란
|
대부분은 아이피가 다르더라도 대역폭을 나눠 쓰는 방식으로 작동됩니다
당연히 ip당 300Mbps 씩으로 생각을 했습니다 하하하 -_ㅠ
대개 ip 1개에 오피스 넷으로 계약하다 보니 말이죠
대부분 그런 기능을 가진 기기들은 VPN 장비입니다.
일단은 계약조건부터 확인해 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통신사 장비가 지원 해주는지를 봐야겠네요.
일단 개인고객 레벨에선 통신사에서 지원을 안 해줍니다.
아무튼 관리직원에게 물어보니 300Mbps 라서 아이피당이 아니라는 대답을 들어서 깔끔하게 포기하는걸로 결정했습니다
대역폭 합치는 방버을 쓰는건 고정IP 방식을 써야되고 거기에 VIP 로 나가게끔 해야 세션이 소멸되지 않고 정상적인 인터넷을 사용하게 됩니다. 대부분 이중화 용도로 쓰지 대역폭 합칠려고 사용하진 않습니다.
그나마 IP타임 2wAN 공유기는 SNAT가 깔끔하게 잘되어 있어서 문제가 없었지만 다른 제품들은 그냥 썼다가는 장바구니에서 사라지고 다른사람한테 내 정보 노출되고 희안한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광 허브에 3개 하면 될까? 라는 망상을 했는데 어짜피 라인(포트)당 대역폭을 QoS로 잡아둔거라면 우회하긴 힘들다는 결론이 났습니다.
WAN이 들어오는 속도나 대역폭이 적어서 문제이고 오피스넷을 사용한다면 오피스넷에 문의하여 해결하는 것이 맞다라고 생각합니다..
여러개의 WAN 라인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더 용량이 큰 WAN 을 서비스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세요..
어떻게 우회할 수 있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사무실에 300Mbps로 된거라 의미없을 것 같아 포기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그래도 웬지 광허브 까지 주어졌으니 잘 속일수 있지 않을까.. 라는 얄팍한 생각이 들었었습니다 하하하
그냥 포기해야겠습니다.
아마 오피스넷은 통신 장애가 생기면 시간당으로 보상해준다고 약관에 있을 것이고 (인터넷 전용선 같이)
일반 가정용은 그런 보상 내용이 거의 없고 하루 이상 통신 장애가 생기면 그 때나 대응 해줄겁니다..
그 외 일반 가정용 라인은 결국은 전용 기가비트 스위치에 다 묶이고 통신 대역 폭이 공유될 겁니다..
아파트 통신 단자함 보면 어느 정도 짐작 가실 겁니다..
회사가 오피스넷을 사용하고 큰 건물에 있다면 아마도 전화와 인터넷을 담당하는 작은 전화국 사무실 같은게 건물 내부에 있고
관계통신사 직원들이 있을텐데 (거기서 계약 조건에 따라 건물의 인터넷 라인을 다 셋팅/관리 합니다..) 실체는 봐야 알겠지만..
왜 300Mbps 로 통신이 되는지가 저는 이상하다고 생각합니다..
계약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모르지만 최소 반기가인 500Mbps 나 1Gbps 는 나오는게 정상 아닌가 하는 생각이거든요..
LG 1회선을 동시에 쓰는 것을 보기는 봤습니다.
스위치에서 다른 로컬 대역으로 분리해서 쓰더군요..
나쁘지 않은 방법인것 같기도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