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42406 |
0 |
2014-05
5142406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6610 |
25 |
2015-12
1676610
1 백메가
|
73051 |
idrac6 enterprise 사용중인데요. |
제로콜라 |
2014-08 |
4422 |
0 |
2014-08
4422
1 제로콜라
|
73050 |
메모리팬 속도 (7) |
미담 |
2015-05 |
4422 |
0 |
2015-05
4422
1 미담
|
73049 |
불량메모리 장착으로 메인보드가 나갈 수도 있을까요? (12) |
가온누리I강… |
2018-03 |
4422 |
0 |
2018-03
4422
1 가온누리I강…
|
73048 |
그래픽카드 보드 지원여부질문좀 드립니다. (5) |
두냥이 |
2016-06 |
4422 |
1 |
2016-06
4422
1 두냥이
|
73047 |
HP Z800 HDD 포트인식, 원클릭 고스트 사용 연관 (3) |
포스타 |
2018-04 |
4422 |
0 |
2018-04
4422
1 포스타
|
73046 |
12TB HDD중 신뢰성이 좋은 HDD제품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
명성호 |
2019-11 |
4423 |
0 |
2019-11
4423
1 명성호
|
73045 |
[ GRUB2 ] 부팅 불가 문의 !!! (3) |
전설속의미… |
2017-03 |
4423 |
0 |
2017-03
4423
1 전설속의미…
|
73044 |
PC 데이터 복구불가 포맷방법.. (5) |
제라드TN |
2019-11 |
4423 |
0 |
2019-11
4423
1 제라드TN
|
73043 |
시놀로지 NAS와 윈도우 PC 하드를 동기화 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었이 있을까요? (6) |
TLaJ3KtYGr |
2018-12 |
4423 |
0 |
2018-12
4423
1 TLaJ3KtYGr
|
73042 |
외장 레이드가 고장났습니다. 고칠수 있는 방법없을까요? (9) |
긁긁 |
2014-01 |
4423 |
0 |
2014-01
4423
1 긁긁
|
73041 |
오디오 헤드폰용 헨드폰 연장선? 이런 제품 있을까요? (4) |
유호준 |
2015-04 |
4423 |
0 |
2015-04
4423
1 유호준
|
73040 |
.netframe 4.5.3 설치되었다면 .netframe 4.5.1,.netframe 4.5.2 삭제 (2) |
뚜뚜김대원 |
2014-08 |
4423 |
0 |
2014-08
4423
1 뚜뚜김대원
|
73039 |
usb 먹통현상..도와주세요.. (2) |
퓨리탱크 |
2016-06 |
4423 |
1 |
2016-06
4423
1 퓨리탱크
|
73038 |
옛날 손 전자오락기에 들어가는 수은전지모델은 어떤건지 아세요? (3) |
김건우 |
2015-12 |
4423 |
0 |
2015-12
4423
1 김건우
|
73037 |
장터에서 구매한 쿼드포트 랜카드를 티밍하려면 어떤드라이버/프로그램을 받아야 하… (2) |
김건우 |
2016-04 |
4423 |
0 |
2016-04
4423
1 김건우
|
73036 |
pfsense 트래픽 제어.. (1) |
컴박 |
2016-02 |
4423 |
0 |
2016-02
4423
1 컴박
|
73035 |
centos에 스토리지 연결해보신분 계신가요 ?? (4) |
쿨쿨쿨 |
2018-05 |
4423 |
0 |
2018-05
4423
1 쿨쿨쿨
|
73034 |
dell r210-ii 서버에 다중포트랜으로 화일송수신작업시 자꾸 서버가 먹통이 되네요. (3) |
김건우 |
2015-08 |
4423 |
0 |
2015-08
4423
1 김건우
|
73033 |
노트북 와이파이선 문의 (7) |
Nikon |
2018-11 |
4423 |
0 |
2018-11
4423
1 Nikon
|
73032 |
폐 디스크 어떻게 처리하시나요? (15) |
심우철 |
2016-07 |
4423 |
0 |
2016-07
4423
1 심우철
|
물론 밥 덜준만큼 실벤치하면 아주쪼금 차이가 나긴하는데 유의미한 정도는아닙니다. 램많이 꽂을꺼면 저전력램꽂아서 한달에 천원이고 이천원이고 덜 내는게 낫겠죠.
메인보드나 cpu가 어떻게 되시나요
지원하는지 먼저 확인하시길..
보통 저전력 램은 1.5V도 지원하기 때문에 그냥 써도 되지만(단 섞어서 쓰면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음)
일반램은 저전압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고 마찬가지로 저전력 램이 나오기 전에 만들어진 메인보드나 CPU는 지원을 하지 않습니다.
또 DDR3 시대 후기에 나온 일부 CPU는 반대로 일반 램에 대한 동작 보증이 없습니다.
그보다 16기가 단일램 지원 유무나 128기가를 지원하는가가 더 문제일 것 같네요.
잘 찾아보세요.
사용하시는 시스템의 CPU 모델이 무엇이냐 그리고 CPU당 메모리 슬롯이 몇개이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저전압 메모리는 풀뱅을 하게 되면 일반 전압 메모리 보다 전체 메모리 속도가 한단계 내지는 두단계 떨어집니다..
일반 전압 메모리도 풀뱅을 하면 전체 메모리 속도가 한단계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어떤 CPU를 사용하느냐 그리고 몇개의 메모리를 꼽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CPU와 마더보드 모델명을 가르쳐 주셔야 어디까지 떨어지는지 알려 드릴 수 있습니다..
최고의 성능을 원하면 전기를 많이 먹더라도 일반램을 꼽는게 좋기는 합니다..
국내에서는 인지도가 없어도, 북미쪽에서는 유명한 회사입니다. 써드파티 중에서는 아마 1등일거에요. 믿고 쓰셔도 됩니다.
저전력만 사용가능한 시스템도 많고(4-5-6세대)
결국 같은가격이면 저전력을 안고를 이유가 없습니다.(범용성)
더군다나 킹스톤이랑 마이크론이면 무조건 마이크론 저전력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