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reguard allowip 문의

홀릭0o0   
   조회 2594   추천 0    

안녕하세요.

사무실의 미크로틱 라우터 wireguard 설정시에 

클라이언트 노트북, 핸드폰 등 모바일디바이스들은 wireguard를 이용해서

사무실의 IP를 통해 브라우징을 사용하게 되어서 웹접속은 문제 없이 되기 시작했는데

노트북에서 SMB를 시도했더니 안되더라구요.

firewall -> NAT 설정에서 masquerade 는 아래와 같이 설정 /24 로 했고


address는 아래와 같이 했는데

192.168.0.1/24 를 wireguard1 에도 부여해줘야 하는걸까요?

혹시나 중복되엇다가 마비올까봐 못건드리고 있는데 이게 젤 의심되네요.




peer는




이렇게도 해보고

allowed address에 

192.168.0.55/32

192.168.0.0/24

192.168.0.1/24


이렇게 다양하게 시도해봤습니다.


wireguard conf설정은 이렇습니다.

여기서도 interface에 192.168.0.1/24 등을 시도해보았습니다.




클라이언트가 192.168.89.3 의 IP를 부여 받고 

192.168.0.1 대역을 접근한다는 개념인데 

막상 접속하고 나면 회사IP부여받고 인터넷 잘되지만..

dst. address 에 !192.168.0.1 을 해놔서 인지 ddns로 제공하는 내부망이 모두 끊어집니다.


실제 돌아가는 네트웍에다 하려니 너무 조심스럽네요 에고..

추석연휴 잘 보내시길 바라며, 조언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건 2023-09
1. 어차피 둘 다 내부망 주소이고, 포트포워딩으로 접근할 필요 없으니, smb에 대한 포트포워딩, hairpin nat 삭제
2. allowed address에 192.168.1.0/24, 192.168.89.0/24를(또는 0.0.0.0/0만 기입) 넣어주고,
3. smb서버에서 192.168.89.0/24 대역을 방화벽에서 허용

이정도만 해줘도 될 듯 합니다.
dateno1 2023-09
파일 서버가 윈도라면 서브넷 차별해서 동일 서브넷이야만 될껍니다


QnA
제목Page 263/5730
2015-12   1791591   백메가
2014-05   5266679   정은준1
2023-04   4372   보슬비내리…
2015-11   10024   윈도우10
2020-04   3042   김승현1
2015-11   4974   푸이잉잉
2021-09   3928   구차니
2017-12   4443   조형
2012-12   8584   이선호
2015-12   4295   엽기토끼이요
2021-09   4965   신은왜
2014-08   5369   김황중
2009-11   7438   x105
2012-12   27786   일반유저
2015-12   8688   신도현
2016-11   4745   컴박
2019-03   18196   블루영상
2016-11   4850   Fasda
2019-03   6464   김우진
2012-12   9636   일반유저
2013-01   6014   viper9
2015-12   6396   soulmak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