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 RAID0 .. 단일 SSD 보다 느린 것이 사실인가요?

   조회 2354   추천 1    

웬만해서는 반응하지 않으려고 하는데, 정도가 좀 지나치네요.






https://www.snia.org/sites/default/files/SMI/VROC_webinar_SNIA_EMEA_v8.pdf



우선 착각을 불러일으켰을 가능성이 있는 것들을 먼저 나열해 보겠습니다.

인텔은 최근(?) 기존의 Rapid Storage Technology라는 브랜드를 버리고, 칩셋에서 제공하는 온보드 레이드 기능도 VROC라고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이 기능은 Intel Matrix RAID의 이름만 바꾼 것으로, 여전히 컨트롤러 기능은 메인보드 칩셋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위 다이어그램에서 "VROC SATA RAID array" 라고 표기된 부분이 그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참고 자료: https://www.intel.com/content/dam/support/us/en/documents/memory-and-storage/ssd-software/Intel-VROC-RSTe-Name-Change-Explained-55059.pdf



한편, VROC라는 이름을 최초로 사용하기 시작한 NVMe RAID 기술의 경우, Sapphire Rapids (VROC 8.0) 부터 DMI 버스를 통해 연결된 장치로 VMD를 확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예를 들어서 메인보드에 연결된 M.2 SSD를 VROC를 통해 RAID로 묶는 구성이 가능해 진 것이지요.

하지만 현재 사파이어 래피즈 시스템의 보급률을 감안했을 때, 유정혜님이 이 사례를 고려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조슈아님이 사용하는 보드가 LGA2066인 것을 생각하면 애초에 해당사항이 없는 일이기도 하구요.



결국 글쓴이의 사례인, "CPU와 NVMe SSD가 서로 직결된 상황"에서는 DMI 대역폭이 어쩌구, 칩셋 병목이 어쩌구 하는 이야기가 개입할 여지가 전혀 없습니다. 대체 어디서 뭘 보고 와서 계속 똑같은 말을 반복하시는지 이해가 되질 않네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dateno1 2023-09
애초에 일반 데탑용 보드에 물린다쳐도 x16에 물리는 시점에서 CPU Lane만 가능하니 DMI가 관여할 여지는 전혀 없습니다

본문에서 벤치 랜덤 엑서스 부분이 형편없는건 RAID0의 태생적 한계입니다 (옛날 IDE/SCSI때부터 저랬습니다)

그나마 컨트롤러의 케쉬가 있으면 벤치 사이즈 작게 잡았을때 좀 빨라보이는데, 케쉬 넘는 용량 다루기 시작하면 없을떄랑 똑같아지더군요

이런거땜에 속도땜에 0으로 묶는다고 애기하면 맨날 3 -> 4 -> 5.0/x4->8->16같이 아에 높은 클래스로 가라고 추천합니다 (0으로 묶어봤자 순차밖에 안 오르니 이러는거랑 차이 없고, 디스크 고장으로 인한 위험만 커짐)


QnA
제목Page 4128/5724
2014-05   5237353   정은준1
2015-12   1763006   백메가
2017-07   3783   초호기
2016-08   5878   룰루랄라
2016-08   5421   슬러그
2019-02   3261   이지포토
2020-07   3790   GPGPU
2017-03   3942   NiteFlite9
2017-04   4500   Sikieiki
2016-05   4740   하셀호프
2017-05   4984   아잉
2017-05   5931   즐거운이
2017-06   3060   미수맨
2017-07   10628   분노의다운힐
2009-01   5644   김효수
2019-01   3830   깡통이
2016-09   4492   Win31
2017-12   3651   아나키즘
2018-02   3362   허인구마틴
2019-04   5221   vita
2017-02   4733   audacity
2016-04   5608   신은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