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r5 에 있는 ondie ECC 기능은 이전의 ecc와 뭐가 틀린가요?

김제연   
   조회 4009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ddr5가 싱글 코어가 빠르고 ddr5에는 ecc기능이 기본으로 들어가있다고 

그냥 줏어듣고 하나 구축 중인데 찾아보면 ecc가 반쪽짜리다 기존 ecc와 틀린 기술이다 

뭐 이런글만 있는데 어떤게 어떻게 틀린건지 의미 없는 기능인지 이런것들은 

설명되어있지 않네요 .. 혹시 어떤게 어떤식으로 다른지 알고 계시면 링크나 답변 부탁 드립니다. 

괜히산것 같네요 TT 12400f 도 제 기준으로 엄청빠른데..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gmltj 2023-10
     
김제연 2023-10
좋은 사이트 감사합니다. . 읽어봐야겠네요 .
김준연 2023-10
음... 단순 무식하게 쓰면 별도의 ECC 전용 메모리를 두고 검증을 하느냐, 아니면 그냥 기존 메모리 공간에 ECC 코드만 두고 검증을 하느냐의 차이입니다. 조금 더 쉽게 쓰면 기존의 ECC는 메모리 컨트롤러와 CPU 사이의 통신 오류 검증이 가능했으나, On-Die ECC는 이게 안 됩니다.
     
김제연 2023-10
그럼 메모리 자체는 오류가 없으나 cpu 와 사이에서 통신 오류를 검증은 불가능한거네요 ? ddr5도 ECC메모리가 따로 존재하나요 그럼?
메모리 ecc랑 기존 cpu 와 메모리 사이의 ecc를 검출하는 칩셋이 따로 있는건가요 ?
     
김제연 2023-10
On-die ECC는 Data와 check-bit의 비율이 16:1이라 2-bit에 대해 error가 발생하면 이를 알 수 없는 한계가 있어, SECDED(Single Error Correction Double Error Detection) 수준의 보호가 필요하다면 메모리 컨트롤러에서 지원하는 ECC기능을 사용하고 DIMM에도 Data 저장 용량의 1/8에 해당하는 ECC check bit 저장용 DRAM 칩을 추가로 장착해야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 DIMM 모듈은 64-bit의 data width를 가지지만 ECC를 지원하는 DIMM module은 72-bit의 data width를 가지고 있습니다. DRAM의 on-die ECC는 컨트롤러의 동작과 상관없이 항상 적용되기 때문에 메모리 컨트롤러의 ECC기능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에 알려주신 사이트 잘 설명되어있네요 .. 감사합니다.
     
김준연 2023-10
저기 위 링크에 있는 내용을 보시면 되며, 위에 적어주신 내용대로 하면 그 부분은 검증이 안 됩니다. 그래서 간이 ECC 정도로 생각하셔야 하며, DDR5도 ECC 모듈이 따로 있습니다.


QnA
제목Page 4258/5707
2014-05   5138341   정은준1
2015-12   1673015   백메가
2015-10   3782   동력
2017-11   3782   승우아빠
2017-10   3782   이지포토
2017-12   3782   신은왜
2022-12   3782   dateno1
2016-03   3782   황진우
2018-08   3782   JamesKim
2017-04   3782   WorkOvertime
2018-11   3782   나라뜨
2021-03   3782   GPGPU
2018-07   3782   동행큐브
2018-07   3782   김건우
2015-12   3782   김건우
2018-02   3782   두cpu
2017-05   3782   쿰척쿰척
2015-08   3782   김황중
2020-06   3782   SugarCube
2020-12   3782   굴렁쇠
2018-05   3781   Moraine
2017-12   3781   김영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