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3 SFF 8 bay 를 갖는 DL385 Gen10 Plus / Plus v2 사용문의 드립니다.

죠슈아   
   조회 3102   추천 0    

DL385 Gen10 Plus / Plus v2  에 U3  SFF 8 bay 가 있습니다.


U3  규격은 U3를 지원 NVME SSD 또는 SAS, SATA HDD가 동일 Bay에서 사용 가능하다고 합니다.

DL385 Gen10 Plus 매뉴얼에는 U3  SFF 8 bay의 연결은 SFF-8654 타입의 거넥터 4개가 motherboard에 연결되어 있는데요.

특별한 HBA가 아닌 motherboard 커넥터에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기종에서 tri-mode 를 지원 해야 하는데요.


Q1 : DL385 Gen10 Plus / Plus v2  의 8 Bay SFF 의 U.3 , SAS, SATA  드라이브가 모두 인식하고 동작 되나요?


아래 링크의 설명에서는 U.3 SSD는 U.2 베이에서 인식 되지만 U.2  SSD는 U.3 규격의 베이에 장착하면 동작 하지 않는다는 설명이 있습니다.

https://quarch.com/news/what-you-need-know-about-u3/



위 그림에서 보면 SFF-8639(U.2) pinout이 SFF-8636(U.3) pinout과 다르기 때문에 

U.2 SSD는 U.3 규격의 베이에 장착하면 동작하지 않는다고 이해 했습니다.

U.3 SSD가 U.2 규격의 베이에 장착할때에도 U.3 SSD의 PCIE0가 연결이 SAS0에 매핑되므로 인식/동작이 않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 됩니다만

링크 설명에서는 동작이 된다고 설명 하고 있습니다.

U.2 SSD   -->  U.3 bay ( X )

U.3 SSD   -->  U.2 bay ( O )


Q2 :  이 기종에 (U3. 8bay)  U.2 SSD를 장착하면 인식이 안되나요?


Q3 :  U.3 SSD가  U.2 bay에 장착되면 인식이 되나요 ?


구 규격의 U.2 SSD가 신규격인 U.3 Bay 에 인식되지 않는 다는 것도 이해되지 않고

신 규격의 U.3 SSD가 구 규격의 U2. Bay 에 인식 된다는 것도 이해 되지 않습니다.

Backward Compatibility 를 갖으려면 이와 반대로 아래 처럼되어야 할 것 같은데요....  

U.2 SSD   -->  U.3 bay ( O )

U.3 SSD   -->  U.2 bay ( X )


Q4 :  어떤 부분에서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인가요?


위 그림으로 보면 

U.2 SSD   -->  U.3 bay ( X )  가 맞는 것 같은데 ..

U.3 SSD   -->  U.2 bay ( O ) 는 이해 되지 않네요.  (U.3 SSD의 PCIE0가 연결이 SAS0에 매핑되므로)


Q5 : U.3 SSD   -->  U.2 bay ( O ) 는  어떻게 동작이 된다는 의미 인가요?


 

감사합니다.


초보자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Linu 2023-10
답변은 아니나 저도 좀 혼란이 오는 부분이라 궁금하네요.
좀 미친소리 같긴한데 만약 상기 사진자료 내 U.2의 SAS0와 PCIe0부분이 U.3쪽에서는 사실 Y자 스플리터 마냥 기판 내부에서는 물리적 라인을 공유 한다고 하면 맞을거 같긴 합니다...
죠슈아 2023-10
U.3 Bay쪽에서 SAS0와 PCIe0 가 Y 스플리트 되어 있지 않군요, 
그렇다고 해도  U.3  SSD가 U.2 베이에 장착될때에는 아무런 상관이 없지요.

U.3쪽에서 .. U.3 SSD 쪽 에서 라는 의미 인가요?
U.3 베이에 U.2 SSD 삽입 일때는  U.2 SSD 가 U.3 베이이를 고려하지도 않았을 거구요.

자료를 계속 검색하니 ... U.3 SSD x4 Lane 중에서 일부 Lane이 연결되는 모드 ...    X1 , X2 , X4 모드로 동작하게 되어 있어서
U.2 베이에서는 일부 Lane만으로  인식 하는 것으로 추정 됩니다.

아무튼 U.3  규격은 2.5인치 SATA , SAS  HDD/SSD를 수용하려고 U.2 호환성을 버린 규격이라서 ... 대중적이지 않은 스펙 이라고 하네요.
2.5인치 SATA , SAS  HDD/SSD는 크기가 크기도 않아서 실용성이 별로 없는데 ..  더 유용한 U.2 호환성을 버리는 실패한 규격 이네요.
U.2 SSD , U.3 SSD , SAS/SATA 디바이스를 장착 시점에 구별할 수 있는데 ..
이를 사용해서 BackPlane에서 RX 데이터 경로를 아나로그 스위치로 전환 가능할 것을 고려한 스펙정의를 한 것 같은데 ..
HP가 이를 고려하지 않고  저가로 만든 것 같군요.... 아니면 아나로그 스위치로 전환이 hot swap 일때 문제가 되어서 구현하지 않을 수도 있구요.
제온프로 2023-10
U.3 소켓의 오른쪽의 U.2를 위한 NVMe 배선을 해 줄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아마 U.2 호환성을 지켜 줄 수 있을 것 같은데...
만약 않되면 심한건데.
     
죠슈아 2023-10
Bay 갯수가 8개 이고 ..  커넥터마다 pcie0  오른쪽으로,  pcie1을 아래 쪽으로  이렇게 배선을 한다구요?
그리고 pcie0 ,  pcie1,  pcie2,  pcie3 순서가 뒤바뀌게 되는데 ... 그래도 PCIE 버스 순서는 상관이 없긴 하겠지만 ..  ㅎㅎ


QnA
제목Page 249/5729
2014-05   5264706   정은준1
2015-12   1789717   백메가
2019-03   13420   빠시온
2023-06   1865   chotws
2016-01   6866   권용1
2023-06   1983   흔냥이
2013-02   5990   블루영상
2010-01   7386   호랭이담배…
2014-09   5457   김준유
2016-01   6301   KindOfBlue
2016-01   4210   알팡
2014-09   4414   김제연
2016-12   4761   slalfjf
2018-02   3631   삐돌이슬픔이
2013-03   8227   친절한쿠키씨
2020-06   8005   IRIX6530
2016-01   4466   sbg2005
2018-02   3724   쿨쿨쿨
2016-01   4483   susemi
2016-01   4761   유정호샤콘느
2018-03   4115   김건우
2021-12   3364   민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