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딩관련 신기한 현상...

케치   
   조회 2436   추천 0    

시놀로지 나스에 10g 듀얼카드를 본딩해서 사용중입니다

이론적으로 20g 속도가 나와야하는데


8대의 pc가 있습니다

4대는 인텔 랜카드 4대는 아콴디아 입니다

8대에 동시에 파일을 옮겨보면 각각 250mb가 나옵니다 당연하겠죠

인텔1대 아콴티아1대에 옮겨보면 각각 1000mb 가 나옵니다 당연하겠죠


그런데

인텔 2대에 동시에 파일을 옮겨보면 각각 500mb가 나옵니다 

아콴티아 2대에 동시에 파일을 옮겨보면 각각 500mb가 나옵니다

인텔1대 아콴티아4대에 옮겨보면 인텔은 1000mb 아콴티아는 250mb이 나옵니다

반대로 아콴티아1 인텔4로 하면 아콴티아가 1000mb가 나오구요


20g 대역폭을 랜카드 별로 묶여서 나눠 쓰고있었던 겁니다;

이게 원래 이런가요??

동일 사양 나스가 2대있는데 어느쪽으로 접속해도 결과가 같습니다

스위치의 문제일것 같은데 무엇을 봐야 할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3-10
제가 해석이 짧아서 그럴 수 있지만

PC8대에 NAS 3대 이고 10G 스위치 없이 직결한 것 같기도 하고 10G 스위치가 있는 것 같기도 하고 그렇습니다..

간략하더라도 전체적인 네트워크 망도가 있으면 이해하기가 많이 편해질 듯합니다..

네트워크는 대역폭이 아무리 넓어도 실제 부하를 주었을때 (일을 시켰을때) 풀 대역폭으로 동작하지 않습니다..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체크할때는 iPerf /iPer3 라는 전용 유틸리티를 많이 사용하며 옵션 주는 것에 따라 결과가 많이 다를 수 있습니다..

구글링 해보시면 사용법 같은 것이 꽤 많이 있을 것입니다..
술이 2023-10
SMB 멀티채널 지원되서 아닐까 싶어요.
윈도우서버 자체 티밍도 SMB 데이터 전송은 대역폭 풀로 다 땡겨 씁니다. 일반적은 TCP 통신은 한채널만 쓰구요(둘다 쓰면 패킷 오류나는 경우도 있음)
그리고 티밍 묶은것도 IP 대역별로 iSCSI 다 주면 그것도 또 다 땡겨오기도 했습니다. 동적처리 방식으로 하면 그런거 같더라구요.
epowergate 2023-10
스위치 때문입니다.
스위치 잘못은 아닌데
bonding device에 연결할때 client mac의 hash값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알고리듬이 살짝 복잡하고 벤더/모델마다 상의합니다.


QnA
제목Page 577/5707
2015-12   1669553   백메가
2014-05   5134613   정은준1
2019-03   2400   무아
2023-02   2401   민사장
2021-04   2401   Sakura24
2021-12   2401   화란
2021-07   2401   엘프와나스
2021-02   2401   pilsuni
2022-03   2401   이기육
2022-09   2401   헬로우
2021-08   2402   반성만
2020-05   2402   박문형
2021-11   2402   프랑
2019-12   2402   Rayi
2022-02   2402   sudosu
2020-01   2402   ghostman
2023-12   2402   SyuSyu
2020-04   2402   고양이는애옹
2020-11   2402   audacity
2020-08   2402   스님9
2022-12   2403   developer
2021-04   2403   거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