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1108 |
25 |
2015-12
1791108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6181 |
0 |
2014-05
5266181
1 정은준1
|
109672 |
[질문]교체를 할까요? 업글이 좋을까요? (6) |
토이박스 |
2014-07 |
4496 |
0 |
2014-07
4496
1 토이박스
|
109671 |
optiplex 데스크탑에 들어가는 2.5인치 하드 트레이 구매가능한 곳이 있을까요? (6) |
phose |
02-13 |
627 |
0 |
02-13
627
1 phose
|
109670 |
가상데스크탑 추천해주세요 (1) |
박동섭 |
2009-08 |
6626 |
0 |
2009-08
6626
1 박동섭
|
109669 |
워크스테이션 메모리를 증설하려 하는데 조언바랍니다. (3) |
조명수 |
2012-10 |
5814 |
0 |
2012-10
5814
1 조명수
|
109668 |
vmware vmdk 컨버트 문의 |
푸하히 |
2017-11 |
3691 |
0 |
2017-11
3691
1 푸하히
|
109667 |
하드디스크 인식이안되요 2 (9) |
엠플 |
2020-04 |
4708 |
0 |
2020-04
4708
1 엠플
|
109666 |
데모패키지에 있는 db가 쉘 창만 닫으면 실행이 종료되는데 백그라운드로 실행하려면 (2) |
겨울나무 |
2015-11 |
3590 |
0 |
2015-11
3590
1 겨울나무
|
109665 |
배치파일 작성 문의입니다. (9) |
ZSNET5 |
2019-02 |
3340 |
0 |
2019-02
3340
1 ZSNET5
|
109664 |
쿼드로 K6000 12G 이정도 사양은 어디에 쓰는건가요? (5) |
가빠로구나 |
2014-07 |
8514 |
0 |
2014-07
8514
1 가빠로구나
|
109663 |
네트웍 속도 질문 입니다. (4) |
철이님 |
2015-11 |
4588 |
0 |
2015-11
4588
1 철이님
|
109662 |
프리모 캐시가 네트워크로 읽어올 때도 효과가 좋을까요? (15) |
VSPress |
2021-09 |
3762 |
0 |
2021-09
3762
1 VSPress
|
109661 |
해외직구 dell t20 A/S 방법 문의 (9) |
멋진남자 |
2015-11 |
5751 |
0 |
2015-11
5751
1 멋진남자
|
109660 |
전에 G34 쿨러 가이드 개조글을 보고 생각이 나서 찾아봤습니다 (2) |
강성민 |
2014-07 |
4249 |
0 |
2014-07
4249
1 강성민
|
109659 |
64기가 microsd 10개 모아서 집적하고 컨트롤러 장착하면 600기가 2.5인치 ssd도 가… (7) |
겨울나무 |
2015-11 |
4117 |
0 |
2015-11
4117
1 겨울나무
|
109658 |
광섬유 더스트 커버를 국내에서 구입할 방법이 있을까요? (3) |
Psychophysi… |
03-19 |
510 |
0 |
03-19
510
1 Psychophysi…
|
109657 |
델 T5610을 쓰는데... LP 그래픽카드만 호환될까요? (8) |
우루리루 |
2020-05 |
3575 |
0 |
2020-05
3575
1 우루리루
|
109656 |
공유기 뚫리기 쉽나요? (26) |
Sakura24 |
03-22 |
980 |
0 |
03-22
980
1 Sakura24
|
109655 |
ESXI USB3.0 HDD독연결 괸찮을까요?.. |
송진현 |
2014-08 |
3487 |
0 |
2014-08
3487
1 송진현
|
109654 |
3,5" 디스켓에 대해서 잘 아시는 분 있나요.. (22) |
알파고 |
2016-11 |
4756 |
0 |
2016-11
4756
1 알파고
|
109653 |
SSD, HDD에서 GNS3/VMware 구동 속도 차이 있을까요? (2) |
ses497 |
2020-05 |
3625 |
0 |
2020-05
3625
1 ses497
|
전원이 연결되면 write protect 걸리더군요.
아니면 배터리 제거후 아답터 연결하시고 리눅스로 롬리딩 가능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롬 보니 접점?에 연결하기가 힘들건데 어떻게 하셧나 모르겟네요. 일반적인 집게 타입으론 안되서 전 잘라서 개조 했거든요
2.xx 는 정식은 아니지만 저에게는 더 편하더라고요..
경험으로는
윈도우즈에서 작업하신다면
집게로 정확하게 집는순간, 장치관리자에서 CH341A 장치가 없어집니다.
( USB 장치가 에러나서 분리될때 나는 사운드가 나옵니다. )
이경우 칩을 분리해야지만 칩이 인식됩니다.
롬라이터에서 공급하는 전원이 보드 회로구조상
쇼트를 유발하면서 롬라이터가 인식안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 순전히 추측입니다. )
혹시 칩ID가 FF FF FF FF 이렇게 나오면 집게로 제대로 집어지지 않은 상황입니다.
생각외로 기판에 붙은 칩을 정확하게 집기가 어렵습니다.
집게로 제대로 집어지면, 칩 ID가 FF FF FF FF 아닌 다른 고유 ID로 표시됩니다.
#1 : 슈퍼마이크로 보드는 롬집게로 집어도 롬을 읽거나 쓰지 못한다.. 작업을 하려면 꼭 롬을 떼서 플래싱 해야 동작한다..
#2 : TYAN 보드는 롬집게로 집어서 플래슁 작업이 가능하다.. 이는 TYAN쪽 엔지니어에서도 그렇게 하라고 권장한다..
왜 이런 차이가 날까 생각해보면 플래슁롬 쪽의 회로를 어떻게 꾸몄느냐에 따라 다른 것으로 생각합니다..
따라서 전혀 모르는 마더보드는 일단 롬을 띠어서 작업하는 것이 맞다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플래슁 롬 라이터도 CH341A 말고 조금 더 비싼 다른 제품들이 몇 가지 있는데 그 쪽 기기들이 플래쉬롬 지원 같은 것의 폭이 더 넓습니다..
CH341A는 대용량 플래슁에서는 약한 모습을 보이는데 저는 이것이 지원하는 프로그램의 영향으로 생각합니다.. (이 의견이 꼭 맞는다고는 볼 수 없습니다..)
그래서 CH341A 프로그래머 지원하는 다른 라이팅 프로그램을 종종 이용합니다. ( 천천히 기록하는 대신에, 시간은 3~4배 더 걸림 )
저렴한 짝통은 전압 문제 있습니다
8pin chip 달려 있는 보드에서 연습 삼아서 떼어보세요.
350도 정도 설정하고 배출구를 좁은 것을 선택해서 다리 주위로 빙글빙글 돌려서 떼면 됩니다.
핀셋을 한쪽에 살짝 밀어 넣어서 위쪽으로 힘이 약간만 들어간다고 느낄정도까지 해놓고 열을 가하면 납이 녹는 순간에 떨어집니다.
이 시간이 어느 정도인지 .. 스마트폰으로 타이머를 사용하셔도 됩니다.
실제로 BIOS 칩을 떼어낼때에는 이 시간보다 약간 길게 30초 정도 더 열을 가하다가
핀셋으로 칩을 밀어 보세요,
밀리면 떼어지는 위치 까지 밀어요.
움직이지 않을 수도 있어요, 연습했던 PCB 보다 두껍거나 다층 기반일 경우에는 더 열을 가하는데 앞서시간 보다 50% 시간 더 합니다.
그러다 보면 떨어집니다.
Flash chip은 열에 쉽게 손상 되지 않습니다.
Flash chip 배면에 칩 크기와 비슷한 정도의 크기 납땜 패드가 붙어 있으므로 열이 PCB로 방출 됩니다.
Flash을 5번 이상 떼어내고 붙였습니다, 사망하지 않습니다.
Flash Chip 패키지 중앙에 열을 가하지 마시고 다리쪽으로 빙빙 돌면서 떼어 낼 시간만큼 진행 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