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호기심질문...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열면 보통 뭐를 하나요?

   조회 4225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안녕하십니까? 시도니입니다.


얼마전엔가 사촌조카애가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만들어 달라고 해서 구축을 해준적이 있습니다.


이것도 구축이라고 해야 할지... 그냥 PC에다가 java설치하고 java로 jar 실행하고 메모리 옵션만 적당히 주면 되더라구요.


구축 자체는 뭐 그리 어렵지 않았는데...


문제는 어떻게 노는건지가 궁금하더라구요.


뭘캐나?.. 서버를 만드니까 뭐 이상한 맵이 로딩되던데..


서버 접속이 잘 되는지랑 지 친구 불러서 원격으로 접속해서 접속이 잘 되는지 확인하더라구요.


뭐.. 그건 그런건데.......


근데... 여기 QNA 글을 보다보면..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구축한다고 뭐 여러가지 정보를 얻어가는 분들을 봤습니다.


서버를 구축하면 뭘로 돈을 벌게 되는 건가요?


자기 호기심이나 자기자신이 게임을 하려고 상면까지 빌려서 호스팅 하지는 않을껀데요. 


뭐가 수익이 나니까 하는 것 같은데..


뭐.. 유료 아이템 같은 걸 팔아서 뭐 하나요?... 또 그건 아닌것 같기도 하구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앤디캔디 2023-11
돈 받고 팝니다. 접속을 하려면 돈 내야하는 사설 서버도 있고, 서버 돌리는 쪽에서 치장 아이템 같은걸 팔아서 수익을 내기도 합니다. 불법입니다.
     
시도니 2023-11
불법인가요?

그럼 유료 서버 자체는 전부다 불법인가요?
          
개발 할줄알면 개발해서 콘텐츠 팔아서 돈벌죠

불법보단 EULA(서비스약관) 위반이 있긴한데 사설서버라 못잡아요

+ 포트포워딩 했을때 어린얘가 서버 운영한다고 디도스날리는 사람들도 있고....

마인크래프트서버 의외로 골치아픕니다.

(실제로 IDC 에 코로케이션/단독서버 호스팅 해서 몇십몇 몇백명이 동시접속해서 몇백씩 버는 서버들도 사업자 안된곳 많아요)
               
덧붙히자면 그냥 마크는 플랫폼(개발툴) 이고 그안에서 얼마든지 커스텀 되고 개발자들 고용한 유명한 서버들이 이미 점령중이라.
조카가 자기 컴퓨터로 24시간 서버 한다고 하면 말리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전기세만 낭비되요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것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일부 옵션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1. 유료 서버 호스팅: 여러 플레이어가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서버를 호스팅하는 것이며, 이 서비스를 다른 플레이어에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다른 플레이어는 서버에 접속하려면 일정한 요금을 지불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주로 큰 서버가 목표로 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2. 기부와 후원: 플레이어들에게 게임 내 혜택을 주거나 특별한 권한을 부여하면서, 플레이어들로부터 기부나 후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서버 운영 및 유지에 도움을 주며, 플레이어들이 게임을 더 즐길 수 있도록 돕는 방법입니다.

3. 맞춤형 플러그인 및 모드 개발: 서버에 맞춤형 플러그인이나 모드를 개발하여 다른 서버와 경쟁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맞춤형 요소들을 플레이어들에게 제공하고, 유료로 판매할 수도 있습니다.

4. 광고 수익: 마인크래프트 서버 웹사이트, 포럼 또는 유튜브 채널을 통해 광고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광고주가 귀하의 서버나 커뮤니티를 홍보하고 광고비를 지불할 수 있습니다.

5. 상품 판매: 가상 아이템이나 특별한 게임 요소를 판매하여 수익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이를 통해 플레이어들이 게임 내 혜택을 얻을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많은 마인크래프트 서버 운영자는 이러한 방법을 혼합하여 수익을 얻습니다. 하지만 수익을 얻는 것이 주된 목표가 아니라면, 단순히 친구와 게임을 즐기는 목적으로 서버를 운영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

by ChatGPT
허어 2023-11
다양한 모드를 적용하거나 설정이 가능해서 그러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우리집도 큰 아이가 만든 서버에 큰아이 친구들 도 들어오고  둘째 막내 모두 접속하고 하더군요
Ibory 2023-11
유저가 후원을 하면서 그돈으로 서버 유지하고 수익 창출을 하더라구요. 그래서 대형서버는 사업자등록까지 하더라구요.
     
Ibory 2023-11
후원을 하면 이제 서버에서 아이템을 주는 방식이구요…뭐…레어 아이템을 판다고 보면 될듯하네여
          
시도니 2023-11
사업자등록증까지 내서 장사를 한다는 건 합법이라는 거 아닌가? 혼동되네요.

위에는 불법이라고 하고, 아랬분은 불법은 아니라고 하시니.... @_@
마인크래프트는 중앙 서버가 없기 때문에 모든 서버가 사설 서버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사설 서버들은 일반적인 다른 게임들이랑 똑같이 유료 아이템 팔아서 수익을 얻습니다.
어떤 아이템을 얼마에 팔지는 서버 운영자 마음대로이기 때문에 서버마다 다르고... 아마 게임 내 다른 이용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아이템 판매는 문제가 되는걸로 알고있는데, 불법은 아니고 MS사 사용권 계약을 위반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린드버그 2023-11
저도 마인크래프트 초짜긴 합니다만.. 중앙? 서버랄까 모장에서 운영하는 Realms 가 있으니 모든 서버가 사설서버인 건 아니지 않나요? (저도 써본 적은 없습니다만. ㅎ)
          
Realms에서 아이템 팔지 말란 법은 또 없으니까요.
중앙 서버의 역할은 아니고, 사실상 사설서버 위탁운영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린드버그 2023-11
아, 그런 측면에서 보면 그렇겠네요. Realms는 말하자면 호스팅같은 거라고 봐야겠네요.
프라임스톤 2023-11
현재 마인크래프트 서버 운영 중에 있습니다. 일반 마인크래프트는 아니고 모드팩 서버에서 운영진으로 지내고 있는데, 치장 아이템같은 게임 내 요소로 돈을 받는 것은 불법까진 아니고 EULA 위반입니다. 순수 후원만 받고 있는데 그냥 딱 운영비만큼만 나오는 거 같네요. 저도 가끔 플레이하는 자기만족 겸해서 제 서버컴으로 열어주고 있습니다.
     
시도니 2023-11
EULA위반이군요.

근데 정말 잘 몰라서 그러는데,

보통은 EULA위반이면, 불법아닌지요?

무슨 차이가 있는것인가요? 해석의 차이가 있나요? 제재 같은게 있거나 하는 것인지요?
          
송주환 2023-11
엄밀히 말해서 '불법'은 아닙니다. '법'을 어긴 게 아니니까요. 그러나 국내에서 영리 목적의 사설 게임 서버 운영은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 32조 1항 9호에 저촉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마인크래프트 사설 서버의 경우, 모장이 허용하지 않은, 가이드라인 밖의 사설서버 운영의 경우 국내법에 의해 기소될 여지가 충분합니다.
오늘 G식백과에 올라온 사례로는 GTA 산안드레아스 사설서버 운영자가 실형을 선고받은 사례가 있었습니다. 이건 불법 여부가 좀 모호하긴 하지만요.
'위법은 위법이되, 형량이 형평성에 맞지 않다' 정도가 제 생각입니다. 그리고 이게 해당 법의 입법취지와 맞지 않는 것도 사실이구요.

https://www.youtube.com/watch?v=0zLtVMGJ_d0
린드버그 2023-11
마인크래프트 몇 개월 전에 시작해서 딸래미랑 가끔씩 하는 정도긴 합니다만..
일단 마인크래프트는 각각의 세계에서 이거 저거 하면서 노는 건데, 하나의 세계를 여러 명의 플레이어가 [공유]해서 [멀티 플레이]를 하려면 서버가 필요해 지는 거죠.

물론 로컬 네트워크 상에서 한 플레이어가 자기 세계에 들어가서 LAN 서버를 열어서 공유하는 방법도 있는데, 이건 기본적으로는 동일 네트워크 상에 접속해 있어야 하고, 결정적으로 (당연히) 그 플레이어가 먼저 게임을 실행하고 그 세상에 들어가야만 가능한 거라..
(물론 VPN이나 포트 포워딩 등을 이용해서 외부에서 접속할 수도 있겠지만요. 이건 뭐 집에 사설 서버를 구축할 경우도 마찬가지긴 하죠..)

암튼 그래서 서버를 만들어서 같이 노는 거고, 아니면 모장에서 제공하는 Realms를 유료로 이용하는 방법도 있고.. 그런 거죠.


QnA
제목Page 1367/5708
2014-05   5141122   정은준1
2015-12   1675770   백메가
2018-05   3704   밥알1김형근1
2015-01   3704   김민철GC
2018-06   3704   시도니
2015-10   3705   크리미
2015-12   3705   izegtob
2020-09   3705   병따개님
2016-01   3705   NGC
2017-05   3705   수필처럼
2020-05   3705   nelson1945
2019-05   3705   행복하세
2015-02   3705   머라카는데
2014-06   3705   나파이강승훈
2019-10   3705   아침엔공복
2015-04   3705   서울사람
2015-08   3705   LastFantasy
2021-01   3706   바람곰돌
2016-07   3706   송상병
2021-09   3706   에스프레소
2020-10   3706   김황중
2016-05   3706   지존컴퓨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