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69567 |
25 |
2015-12
1669567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34621 |
0 |
2014-05
5134621
1 정은준1
|
80204 |
RHEL 사용시 Subscription을 등록하지 않으면 어떠한 불이익이 있나요? (5) |
송주환 |
2019-02 |
4017 |
0 |
2019-02
4017
1 송주환
|
80203 |
이베이 탑레이트 셀러 직접구매 조언 부탁 드립니다 (2) |
AKA지니 |
2014-05 |
4017 |
0 |
2014-05
4017
1 AKA지니
|
80202 |
50cm 이하의 D-SUB 케이블 (4) |
izegtob |
2016-02 |
4017 |
0 |
2016-02
4017
1 izegtob
|
80201 |
NAS 대용 드라이브 공유 (3) |
GoverZG |
2015-01 |
4017 |
0 |
2015-01
4017
1 GoverZG
|
80200 |
유선랜포트가 있는 모니터나 스마트TV라는거... 콘솔처럼 쓸수있는건가요? (2) |
김건우 |
2015-10 |
4017 |
0 |
2015-10
4017
1 김건우
|
80199 |
HP z220 SFF 용 그래픽카드? (10) |
epage |
2019-03 |
4017 |
0 |
2019-03
4017
1 epage
|
80198 |
윈도우 7 설치후 인증서 오류가 납니다. (7) |
삐돌이슬픔이 |
2020-03 |
4017 |
0 |
2020-03
4017
1 삐돌이슬픔이
|
80197 |
윈도우서버에서 임의의 IP 가능하나요? (4) |
최규동 |
2015-05 |
4017 |
0 |
2015-05
4017
1 최규동
|
80196 |
미크로틱 750gl 문의드립니다. (10) |
임종열 |
2014-04 |
4017 |
0 |
2014-04
4017
1 임종열
|
80195 |
발열에 지장을 주지 않는 보드 코팅방법은? (4) |
MikroTik이진 |
2015-04 |
4017 |
0 |
2015-04
4017
1 MikroTik이진
|
80194 |
pfsense haproxy 에서 test.com:port 로 접근할려면 어떻게 셋팅하는지 궁금합니다. (2) |
강한구 |
2021-01 |
4017 |
0 |
2021-01
4017
1 강한구
|
80193 |
해상도가 낮아진 모니터 수리방법은 있을까요? (10) |
NiteFlite9 |
2020-12 |
4017 |
0 |
2020-12
4017
1 NiteFlite9
|
80192 |
DAS와 분산파일시스템(GPFS,Luster,하둡) 차이점 (8) |
bangCH |
2021-05 |
4017 |
0 |
2021-05
4017
1 bangCH
|
80191 |
공기청정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7) |
욕심쟁e |
2018-03 |
4017 |
0 |
2018-03
4017
1 욕심쟁e
|
80190 |
[대박] 벤더 Server 업데이트 너무 편하네요 (4) |
테돌아이 |
2014-08 |
4017 |
0 |
2014-08
4017
1 테돌아이
|
80189 |
nas 듀얼랜 구성 질문드립니다 (9) |
lgw1397 |
2021-02 |
4017 |
0 |
2021-02
4017
1 lgw1397
|
80188 |
tas 465 오실로스코프 상태.. (5) |
2CPU최주희 |
2021-02 |
4017 |
0 |
2021-02
4017
1 2CPU최주희
|
80187 |
플스 에뮬돌리는데 시스템 엄청 좋은거 필요하나요? (4) |
김건우 |
2019-06 |
4017 |
0 |
2019-06
4017
1 김건우
|
80186 |
Windows Server 2016과 Windows 10 중 서버용 OS 선택 (5) |
전요셉 |
2017-06 |
4017 |
0 |
2017-06
4017
1 전요셉
|
80185 |
DNS A레코드 변경 vs 신규A레코드 속도... (5) |
윈도우10 |
2014-11 |
4017 |
0 |
2014-11
4017
1 윈도우10
|
구리값이 비싸기에 표준을 지키는 UTP 케이블들은
한 가격 합니다..
커넥터도 마찬가지 입니다..
비싸도 쓰는 이유는 한번 재대로 하면 문제도 적고
속도도 잘 나오기 때문입니다..
CAT6E 정도 생각하시나요??
감사합니다.
선이 날라다녀서 작업 용이성이 매우 떨어집니다.
통사사 모뎀에서 공유기 또는 셋톱박스연결해도
간혹 오작동합니다. 멀쩡이연돈선이 인터셋신호없음~
쟈부팅하면 다시작동...통신기사들도 그런장애들
때문 연선사용 안하는추세입니다
가온전선
극동전선
대한전선
동일전선
LS전선
이들 국내 업체가 아마 건물 지을때 사용되는 국산 케이블 제조업체 일 겁니다..
전선의 규격이 표면적입니다.
이유는 저항이 더 작아지고 멀리 보낼 수 있습니다.
연선이 더 좋은 전선입니다.. 작업이 힘들죠.
전류가 표면으로 흐른다 라는 이야기는 skin effect 인데 고주파로 올라갈수록 해당 되며 사실 가느다란 세선들의 다발이 뭉쳐 하나의 도체를 형성하는 연선이나 이와 동일한 단면 면적의 단선을 비교한다면 차이는 글쎄요...
전선의 규격은 단선 연선에 따라 직경이나 단면적으로 표현 합니다.
LAN 선의 경우 작업성이나 신뢰성 ( 특히 커넥터와 연결 ) 을 생각한다면 단선이 선호 되겠죠.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커넥터와의 연결인데, 대부분의 UTP 잭들은 삼지창처럼 3선으로 되어있지요.
연선으로 찝었을 경우 접불 날 확률이 꽤 있습니다.
그리고 단선에서도 동박 알루미늄 전선와 구리선의 차이가 상당히 납니다. 동박 알루미늄 전선은 1~2년 후 꼭 하자가 생기는 것들이 있습니다.
SFTP 롤도 가지고 있지만 아주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LS로 포설합니다. 싸구려 Cat6보다 솔직히 더 낫고, 정말 노이즈가 많은 환경이라면 Cat6이 아니라 SFTP케이블을 사용하는게 맞습니다.
랜케이블 문제로 속도저하, 1Gbe (2.5Gbe)에서 100Mbps 혹은 10Mbps로 떨어지는 경우도 있고, 싸구려 커넥터 사용으로 인한 문제도 많이 발생하지요.
솔직히 한번 문제 생겨서 잡는 시간과 기회비용 생각하면 좋은것 쓰는게 백배 낫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