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36146 |
0 |
2014-05
5136146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0972 |
25 |
2015-12
1670972
1 백메가
|
80154 |
제온 스케일러블 이후 세대는 언제 출시 일까요? (10) |
하나비 |
2018-07 |
4023 |
0 |
2018-07
4023
1 하나비
|
80153 |
윈도우10 작업표시줄에 빈 아이콘이 깜박거리는데 뭘까요? (2) |
깜박깜박가 |
2020-09 |
4023 |
0 |
2020-09
4023
1 깜박깜박가
|
80152 |
제온5430호환되는 p5b-e plus 개조바이오스좀 보내주실수 있나요? (1) |
민우입니다 |
2016-01 |
4023 |
0 |
2016-01
4023
1 민우입니다
|
80151 |
순수호기심질문...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열면 보통 뭐를 하나요? (17) |
시도니 |
2023-11 |
4023 |
0 |
2023-11
4023
1 시도니
|
80150 |
MicroXP R2 수준의 가벼운 윈7 / 윈10 있을까요 ? (13) |
화란 |
2018-10 |
4023 |
0 |
2018-10
4023
1 화란
|
80149 |
원도우 탐색기 설정을 "자세히" 로 세팅하는법? (4) |
영은공 |
2016-11 |
4023 |
0 |
2016-11
4023
1 영은공
|
80148 |
hp z8 에 윈도 서버 2016이 설치될까요? (5) |
마키 |
2018-01 |
4023 |
0 |
2018-01
4023
1 마키
|
80147 |
cpu 훼손된거 살릴수 있을가요? (9) |
날개짝 |
2019-01 |
4023 |
0 |
2019-01
4023
1 날개짝
|
80146 |
보드에서 ssd는 잡히고 hdd는 안잡히고? (8) |
정경수 |
2017-03 |
4023 |
0 |
2017-03
4023
1 정경수
|
80145 |
unbufferd 메모리와reg메모리 차이설명된 자료가 필요합니다 (8) |
com5duk |
2017-05 |
4023 |
0 |
2017-05
4023
1 com5duk
|
80144 |
18650 혼합사용......가능할까요? (8) |
Sikieiki |
2018-08 |
4023 |
0 |
2018-08
4023
1 Sikieiki
|
80143 |
어댑터(12V) 커넥터를 바꾸어 주는 업체가 있는지요? (3) |
Psychophysi… |
2016-08 |
4023 |
0 |
2016-08
4023
1 Psychophysi…
|
80142 |
[문의]인형극 관련 사업 하시는 분 있으신가요? |
퍼싱글 |
2016-06 |
4023 |
0 |
2016-06
4023
1 퍼싱글
|
80141 |
외장케이스 전원연결부를 고칠수 있을까요? (8) |
김건우 |
2017-12 |
4023 |
0 |
2017-12
4023
1 김건우
|
80140 |
H310 원도우 부팅관련 문의 |
silverwing |
2014-11 |
4024 |
0 |
2014-11
4024
1 silverwing
|
80139 |
구형 노트북 하드 살짝 흘들면 안에서 소리가 나는경우 (2) |
2CPU최주희 |
2015-08 |
4024 |
0 |
2015-08
4024
1 2CPU최주희
|
80138 |
2667 v2 듀얼 마더보드 추천받아요 (4) |
minsuk |
2018-02 |
4024 |
0 |
2018-02
4024
1 minsuk
|
80137 |
구형 파워 고장.. (6) |
2CPU최주희 |
2014-02 |
4024 |
0 |
2014-02
4024
1 2CPU최주희
|
80136 |
ASUS Z77 보드 부팅 메세지에 대해 (4) |
2CPU최주희 |
2018-07 |
4024 |
0 |
2018-07
4024
1 2CPU최주희
|
80135 |
일반pc레이드카드 장착 가능여부문의 (13) |
kakei |
2019-01 |
4024 |
0 |
2019-01
4024
1 kakei
|
구리값이 비싸기에 표준을 지키는 UTP 케이블들은
한 가격 합니다..
커넥터도 마찬가지 입니다..
비싸도 쓰는 이유는 한번 재대로 하면 문제도 적고
속도도 잘 나오기 때문입니다..
CAT6E 정도 생각하시나요??
감사합니다.
선이 날라다녀서 작업 용이성이 매우 떨어집니다.
통사사 모뎀에서 공유기 또는 셋톱박스연결해도
간혹 오작동합니다. 멀쩡이연돈선이 인터셋신호없음~
쟈부팅하면 다시작동...통신기사들도 그런장애들
때문 연선사용 안하는추세입니다
가온전선
극동전선
대한전선
동일전선
LS전선
이들 국내 업체가 아마 건물 지을때 사용되는 국산 케이블 제조업체 일 겁니다..
전선의 규격이 표면적입니다.
이유는 저항이 더 작아지고 멀리 보낼 수 있습니다.
연선이 더 좋은 전선입니다.. 작업이 힘들죠.
전류가 표면으로 흐른다 라는 이야기는 skin effect 인데 고주파로 올라갈수록 해당 되며 사실 가느다란 세선들의 다발이 뭉쳐 하나의 도체를 형성하는 연선이나 이와 동일한 단면 면적의 단선을 비교한다면 차이는 글쎄요...
전선의 규격은 단선 연선에 따라 직경이나 단면적으로 표현 합니다.
LAN 선의 경우 작업성이나 신뢰성 ( 특히 커넥터와 연결 ) 을 생각한다면 단선이 선호 되겠죠.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커넥터와의 연결인데, 대부분의 UTP 잭들은 삼지창처럼 3선으로 되어있지요.
연선으로 찝었을 경우 접불 날 확률이 꽤 있습니다.
그리고 단선에서도 동박 알루미늄 전선와 구리선의 차이가 상당히 납니다. 동박 알루미늄 전선은 1~2년 후 꼭 하자가 생기는 것들이 있습니다.
SFTP 롤도 가지고 있지만 아주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LS로 포설합니다. 싸구려 Cat6보다 솔직히 더 낫고, 정말 노이즈가 많은 환경이라면 Cat6이 아니라 SFTP케이블을 사용하는게 맞습니다.
랜케이블 문제로 속도저하, 1Gbe (2.5Gbe)에서 100Mbps 혹은 10Mbps로 떨어지는 경우도 있고, 싸구려 커넥터 사용으로 인한 문제도 많이 발생하지요.
솔직히 한번 문제 생겨서 잡는 시간과 기회비용 생각하면 좋은것 쓰는게 백배 낫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