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66201 |
25 |
2015-12
1666201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4) |
정은준1 |
2014-05 |
5131423 |
0 |
2014-05
5131423
1 정은준1
|
33969 |
물에서 NPK 측정 가능한 센서(프로브) 나 다른 센서(Ph, EC, ...)를 통해 구할수 있… (8) |
삐돌이슬픔이 |
2022-06 |
4015 |
0 |
2022-06
4015
1 삐돌이슬픔이
|
33968 |
노트북에 vmware와 나눠서 각자 다른 wifi를 연결하고 싶습니다. (7) |
dump |
2022-05 |
4015 |
0 |
2022-05
4015
1 dump
|
33967 |
어댑터(12V) 커넥터를 바꾸어 주는 업체가 있는지요? (3) |
Psychophysi… |
2016-08 |
4015 |
0 |
2016-08
4015
1 Psychophysi…
|
33966 |
데스크탑 가상화하려면 하드는 뭘로써야죠? (8) |
전산실짬찌 |
2018-01 |
4015 |
0 |
2018-01
4015
1 전산실짬찌
|
33965 |
X5650 ea2 있는데 괜찮은 cpu인가요? (6) |
Jgon |
2020-11 |
4014 |
0 |
2020-11
4014
1 Jgon
|
33964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에서 (2) |
무아 |
2014-10 |
4014 |
0 |
2014-10
4014
1 무아
|
33963 |
Seagate 8TB Archive 아카이브 하드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사용하시는분들 께 질… (1) |
마법사당87 |
2016-06 |
4014 |
0 |
2016-06
4014
1 마법사당87
|
33962 |
키압낮은 펜타그래프 키보드 추천부탁드립니다.. (13) |
찬이 |
2021-11 |
4014 |
0 |
2021-11
4014
1 찬이
|
33961 |
튜닝pc에 들어있는 rgb팬 아우라싱크용 모듈.... (6) |
김건우 |
2019-06 |
4014 |
0 |
2019-06
4014
1 김건우
|
33960 |
ASUS Z77 보드 부팅 메세지에 대해 (4) |
2CPU최주희 |
2018-07 |
4014 |
0 |
2018-07
4014
1 2CPU최주희
|
33959 |
z440에서 사용 가능한 1394 card 는 무었일까요? (9) |
제스퍼즈 |
2018-01 |
4014 |
0 |
2018-01
4014
1 제스퍼즈
|
33958 |
Dell R900 CPU 교체 어려울까요?? (4) |
최창현 |
2016-08 |
4014 |
0 |
2016-08
4014
1 최창현
|
33957 |
실제 PC를 VM으로 migration 하려면 어떤 툴을 써야 할까요? (1) |
박성만 |
2016-11 |
4014 |
0 |
2016-11
4014
1 박성만
|
33956 |
파워 4핀 molex 선을 연장하려 하는데요 (11) |
성호 |
2018-09 |
4014 |
0 |
2018-09
4014
1 성호
|
33955 |
윈도우 8.1 복구가 안됩니다. (2) |
개척자 |
2015-03 |
4014 |
0 |
2015-03
4014
1 개척자
|
33954 |
. (5) |
디셈버 |
2020-12 |
4014 |
0 |
2020-12
4014
1 디셈버
|
33953 |
hpe 서버 iilo 에서 ahs 로그 다운로드가 비활성화 상태.. (5) |
gigJJ |
2020-08 |
4014 |
0 |
2020-08
4014
1 gigJJ
|
33952 |
cmos설정 잘 정리를 해놓은 사이트 있을까요? (2) |
쌍cpu |
2016-10 |
4014 |
0 |
2016-10
4014
1 쌍cpu
|
33951 |
z420 촤대 메모리? (9) |
악마라네 |
2018-09 |
4014 |
0 |
2018-09
4014
1 악마라네
|
33950 |
5805을 pci-e 4x에 물릴경우 성능이 많이 떨어질까요? (3) |
김민철GC |
2014-02 |
4014 |
0 |
2014-02
4014
1 김민철GC
|
구리값이 비싸기에 표준을 지키는 UTP 케이블들은
한 가격 합니다..
커넥터도 마찬가지 입니다..
비싸도 쓰는 이유는 한번 재대로 하면 문제도 적고
속도도 잘 나오기 때문입니다..
CAT6E 정도 생각하시나요??
감사합니다.
선이 날라다녀서 작업 용이성이 매우 떨어집니다.
통사사 모뎀에서 공유기 또는 셋톱박스연결해도
간혹 오작동합니다. 멀쩡이연돈선이 인터셋신호없음~
쟈부팅하면 다시작동...통신기사들도 그런장애들
때문 연선사용 안하는추세입니다
가온전선
극동전선
대한전선
동일전선
LS전선
이들 국내 업체가 아마 건물 지을때 사용되는 국산 케이블 제조업체 일 겁니다..
전선의 규격이 표면적입니다.
이유는 저항이 더 작아지고 멀리 보낼 수 있습니다.
연선이 더 좋은 전선입니다.. 작업이 힘들죠.
전류가 표면으로 흐른다 라는 이야기는 skin effect 인데 고주파로 올라갈수록 해당 되며 사실 가느다란 세선들의 다발이 뭉쳐 하나의 도체를 형성하는 연선이나 이와 동일한 단면 면적의 단선을 비교한다면 차이는 글쎄요...
전선의 규격은 단선 연선에 따라 직경이나 단면적으로 표현 합니다.
LAN 선의 경우 작업성이나 신뢰성 ( 특히 커넥터와 연결 ) 을 생각한다면 단선이 선호 되겠죠.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커넥터와의 연결인데, 대부분의 UTP 잭들은 삼지창처럼 3선으로 되어있지요.
연선으로 찝었을 경우 접불 날 확률이 꽤 있습니다.
그리고 단선에서도 동박 알루미늄 전선와 구리선의 차이가 상당히 납니다. 동박 알루미늄 전선은 1~2년 후 꼭 하자가 생기는 것들이 있습니다.
SFTP 롤도 가지고 있지만 아주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LS로 포설합니다. 싸구려 Cat6보다 솔직히 더 낫고, 정말 노이즈가 많은 환경이라면 Cat6이 아니라 SFTP케이블을 사용하는게 맞습니다.
랜케이블 문제로 속도저하, 1Gbe (2.5Gbe)에서 100Mbps 혹은 10Mbps로 떨어지는 경우도 있고, 싸구려 커넥터 사용으로 인한 문제도 많이 발생하지요.
솔직히 한번 문제 생겨서 잡는 시간과 기회비용 생각하면 좋은것 쓰는게 백배 낫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