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us Z8PE-D12X 잘되던 18TB sas hdd가 기가바이트 z790 ic 14900k 에서 asr-8885 카드sas시케이트 18TB 인식불

느린닭   
   조회 2624   추천 0    

쪽팔리


면 질문하지




asus듀얼보드 1068 페이크카드 (내장SAS) 에서는 잘붙는 18TB시케이트 하드가

기가바이트 보드에서는 인식 자체를 않하네요 .. 

SAS카드는 LSI 9361 인식않됨 그래서 asr-8885구매 아답텍홈피에 16TB는 기본으로 인식된다고 나와 있음.

@@  현재상태 부딩중 카드화면이 않보임 (흑백 허큘레스) 바이오스들어가면 보임 윈도우부팅 드라이버잡힘 500g인식 18TB인식불

    - 기가바이트 보드AS센터문의 왜? sas 컨트롤러가 초기화면에서 않보이는걸까요? 볼수 없나요? 

      답변: 호환성문제로 인식못함니다?! 그럼 바이오스에서는 보이는데요.. 윈도우에서 드라이버 잡히는데요 그래도 사용않될실거에요!? 문의중단함

asr-8885

1. 보드 초기화면 안보이기때문에 메인보드 바이오스에서 HBA활성화 해도 않됨 (저장도 잘않되는듯함) HDD안보임 500g보임

 - bios롬 업하면 될까해서 해도 기가보드에서 기능이 있지만 않됨 (델에서 쓰던sas카드로 나와서 그런것인지 잘모르겠네요)

2. 윈도우 어플 깔고 하려니 로그인이 않되고요. USB부팅만들어서 하라고 해서 만들어서 부팅해도 잘모르겠네요..

01*-****-**** 전화 주셔도 됨니다.


대전거주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3-11
저 바이오스와 펌웨어 올라가는 화면은 보통 레거시 부팅에서만 보입니다..

레거시로 부팅해서 확인해보세요..



PC 보드에서 레이드 카드가 재대로 동작하지 않거나 인식하지 못하는 것은 보통 옵션롬 에러 때문이긴 한데  이것을 고치려면 보드 바이오스 수정이 필요한데

(보드 바이오스 개발 엔지니어가 필요, 그리고 재대로 될지는 장담 못함) 개인이 요청해서 해주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최신 보드들일수록 레이드 카드와 호환성이 안 좋습니다..


해당 레이드 카드들이 UEFI 쪽에 지원 혹은 호환이 되시는지 확인하시고 바이오스와 펌웨어를 최신으로 올려본 다음 동작상태를 확인하세요..

부팅시 메세지가 안보이더라도 윈도우즈에서 레이드 관리 유틸리티를 사용해서 인식이나 동작이 이상 없는지 확인하세요..


18TB SAS HDD는 용량이 큰 제품인데 개인적으로 보기에는 12G SAS 카드나 재대로 인식하고 동작한다고 생각합니다..
PCI 장치 설정이 UEFI 에서 Legacy 로 변경하면, 카드의 바이오스가 뜰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GwLdg9dTHI

그리고 레이드 카드가 근본적으로는 PC보드에 반드시 호환되는게 아니라서,
될 수도 있고, 안될 수도 있음을 감안하고 테스트 하고 사용하셔야 될 듯 합니다.
     
느린닭 2023-11
레거시 다시한번 확인해보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느린닭 2023-11
이것 저거서 해봐도 않되네요 ^^
조언 감사했습니다.
박문형 2023-11
저 아답텍 카드의 레이드 카드 바이오스는 아마 도스에서 업데이트 할 것입니다..

레이드 카드 바이오스나 펌웨어 업데이트는 가끔 벽돌이 되어 문제가 될 수가 있기에 조심해서 작업을 해야 합니다..
     
느린닭 2023-11
도스 모드는 마지막에 시도한번 해보겠습니다. 사용이 못하는거나 벽돌이 되는거나 마찬가지니까요.

우선 msm 프로그램으로 해보려했는데요.
번역본 (관리자계정사용자이름 운영체제의 비밀번호에서 못넘어감니다. 제어판 사용자아이디, 윈10설치시 이메일, 내가 살아오면서 써본 아이디들 전부 넣어봐도 않되네요. 비밀번호도 하다못해 카드비밀번호까지 다쳐봤는데 않되더라구요. 여기서 요구하는 아이디및 비밀번호는 어떤걸 말하는건지요? )

4.1 maxView Storage Manager 시작 및 로그인
maxView Storage Manager를 시작하고 로그인하는 절차는 모든 운영 환경에서 동일합니다
그래픽 바탕 화면이 있는 시스템. 관리자로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스토리지 공간으로 또는 표준 사용자로서 스토리지 공간에 대한 액세스가 제한되어 있는 경우(작업 참조)
액세스 권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25페이지의 maxViewStorageManager)를 참조하십시오.
1. 바탕 화면에서 maxView Storage Manager 바탕 화면 아이콘을 두 번 클릭합니다.
로그인 창은 기본 브라우저에서 열립니다.
참고: 바탕 화면에 maxView Storage Manager 아이콘이 없는 경우
브라우저 창을 열고 주소 표시줄에 이 URL을 입력하고 Return:을 누릅니다:
https://127.0.0.1:8443/maxview/manager/ login.xhtml.
2. 스토리지 공간에 대한 전체 관리 수준 액세스를 위해 관리자 계정 사용자 이름을 입력합니다
운영 체제의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저장 공간에 대한 표준 수준 액세스를 사용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일반 네트워크 로그인 자격 증명을 클릭합니다.
maxView Storage Manager(스토리지 관리자) 메인 창이 열립니다.
박문형 2023-11
https://kyumdoctor.tistory.com/83

LSI 의 MSM 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는 최고관리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입니다..

윈도우즈에서는 Administrator 가 아이디이고 거기의 비밀번호가 필요합니다..



https://storage.microsemi.com/en-us/support/infocenter/release-2015-12/index.jsp?topic=/maxview_ug_smart.xml/Other/Starting_and_Logging_in_on_the_Local_System.html

아답택의  maxView Storage Manager 도 마찬가지의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필요합니다..




스토리지 관리 프로그램은 만지다가 데이터를 날려 먹거나 할 수 있기에 로그인의 아이디와 비빌번호는 최고관리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로만

되게 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박문형 2023-11
사진의 아답텍 카드는 DELL의 OEM 파츠인지라 아마도 아답텍 리테일 펌웨어 업데이트가 아예 안될 수가 있습니다..

하다가 벽돌 됩니다..



DELL 에서 저 파츠 넘버에 대한 펌웨어가 있다면 그것으로 업데이트를 시도해보세요..


아답텍은 펌웨어에 대한 구분/규정이 LSI보다는 빡빡하기에 OEM 카드에 리테일 펌웨어 업데이트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느린닭 2023-11
아답텍 메뉴얼및 기타 메뉴얼을 뒤지고 뒤지다가 사진에 HBA점퍼가 있길래 찾으려고 하다가 봤는데 DELL에서 사용했던거 같습니다.
뒤에 스티커및 구매사이트도 확인해보니 DELL용입니다.
DELL 펌웨어도 받아놨습니다.
어드민이 아이디이고 비번은 윈도우 설치시 핀번호라고 보면 될지요 윈도우부팅 마지막화면에서 입력하는 비번인지요?
박문형 2023-11
윈도우즈에서  Administrator 로 로그인하시고 그때 사용된 비밀번호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비밀번호 없으면 셋팅해주고 해보세요..
     
느린닭 2023-11
감사합니다!!!!
오늘도 한번 다시 해보겠습니다. 혹시를 대비해서 인터넷 검색중
LSI 9300-8 HBA이라는 카드가 있는데요 레이드 아닌경우 대용량 sas하드 인식에 큰문제 없는지요?
어찌하다 sas 하드대용량이 중고가격이 그래도 저렴해서 접하게 됬는데요.
거의 한달째 셋팅부터 보드AS보내고 SAS카드 인식안되고 골치가 아프네요 ㅡㅡ
     
느린닭 2023-11
Administrator 로그인 방법이 틀렸는지 모르겠지만 않되네요. 기존 아이디(이메일주소) 비번으로 윈도우 실행 완료됨
왼쪽하단 윈도우 마크 클릭 맨위에 사람모양 마우스이동 아이디 활성화 로그인이 되어있는 상태인거 같구요
사람 모양 마우스 이동하면 관리자로 처음 설치할때 이메일주소가 있는데요.
윈도우에서 로그인방법이 별도 있는건가요? 윈도우 실행후 비번입력만 가능한것 아닌가요? 윈95인가 윈3.1인가 에서 아이디 로그인이 있었던가 같기도 하구요..
로그인 순서가 있는건가요?
사용자 정보
아이디@ahnmail.net 보이는데요
사용자 정보에 마이이크계정 로그인
                    마이크로계정 만들기
확인 순서를 알수 있을지요?
          
박문형 2023-11
아마 윈도우즈10을 사용하실텐데

설정 안에 계정안에 사용자 정보에서 사용자중 하나를 관리자로 바꾸어 보세요..

그리고 그 사용자는 패스워드가 지정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렇게 사용자를 관리자로 지정했으면 그 사용자로 로그인해서 LSI의 MSM 에 그 사용자 이름(ID)과 패스워드로 들어가보세요..

아니면 MSM 메뉴얼을 구해서 어떻게 셋팅하는지 확인해보세요..
               
느린닭 2023-11
이 pc의 유일한 관리자 계정이므로 계정 유형을 변경할수 없습니다. 계정을 변경하려면 먼저 다른 사용자를 관리자로 설정해야 합니다

기존사용자
홍길동@hanmail.net
administrtor
암호사용

관리자(A)
윈도우10pro입니다.

제어판>모든제어판항목>사용자계정>계정유형변경
에서 본것인데요.
                    
박문형 2023-11
저는 제 계정 자체를 관리자로 셋팅해서 사용중이며 그것으로 LSI MSM 로그인 다 했습니다..

(물론 계정을 여러개 사용하다가 다 정리했죠..)

물론 패스워드는 윈도우즈 로그인시 패스워드이며 PIN 번호는 아닙니다..

https://rootblog.tistory.com/212

찾아보니 어드민을 활성화 하는 법이 나오네요..

어드민을 활성화 해서 그것으로 로그인하고 패스워드를 만든후에 LSI MSM에 로그인해보세요..
                         
느린닭 2023-11
메인클 사진업글했습니다.
그냥 dos로 업글완료 했는데요.. 그래도 인식이 않되네요.
버전은 dell 마지막 버전입니다.
혹시 보드나 카드 bios설정을 잘못한것일까요?
갑자기 컴맹이 되버린거 같네요 ㅡㅡ
                         
박문형 2023-11
펌업은 된 것 같고 레이드 카드 바이오스로 들어가서 재대로 돌아가나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윈도우즈 드라이버도 설치해주어야죠..

정 안되면 다른 조금 오래된 시스템에 꼽아서 테스트 해보는 정도가 다입니다..

그리고 저 펌웨어 업데이트 할때는 그냥 AFU 만 돌려도 안에 매뉴가 나옵니다..

거기서 펌업후에 검증까지 가능할 겁니다..


Max View 프로그램은 카드가 단종된 옛날것이라 OS도 옛날것에서만 돌아갈 수 있는데 그 때는 최신형 모델의 Max View 를

설치해보세요..
박문형 2023-11
https://www.broadcom.com/support/storage/interop-compatibility

LSI 카드들은 상기 링크에서 호환성 자료를 받아서 보면 됩니다..

WD 18TB HDD는 채굴 쪽에서 많이 쓰이고 해서 어느 정도 검증된 하드입니다..

그보다 레이드카드가 시스템에 재대로 안 붙는 것을 해결하는게 더 힘든 문제입니다..
박문형 2023-11
https://www.2cpu.co.kr/4raid/6499?&sfl=wr_name%2C1&stx=%B9%DA%B9%AE%C7%FC&sop=and

참고로 저는 Z270 칩셋 시스템 사용중이고 레이드 카드 2개까지는 꼽아서 셋팅해서 사용 가능합니다..
     
느린닭 2023-11
바쁘실텐데 잘 이해하지 못하고 해서 죄송했습니다.
많은 조언 감사했습니다.


QnA
제목Page 668/5703
2015-12   1654621   백메가
2014-05   5119202   정은준1
2022-12   2579   3dCAD
2022-03   2579   드리데이
2020-04   2579   땅부자
2020-09   2579   장동건2014
2022-01   2579   우당탕탕
2023-09   2579   sam0712
2020-02   2579   캔위드
2021-02   2580   airu
2021-10   2580   Setila
2020-10   2580   디지유
2020-03   2580   트니아빠
2021-05   2580   yenkara
2019-09   2580   하승협
2021-04   2580   새로운차원
2020-04   2580   공백기
2019-07   2580   싱국날강도
2020-10   2580   MAXCPUPOWER
2019-03   2580   양창권
2022-11   2580   goodcarrot
2020-05   2580   fndk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