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늘 컴린이 입니다.
이번에 서버를 하나 구입을 하였습니다.
HPE GEN10 ( 20 core * 2개 )을 구매 하였고 윈도우를 설치 하기 위해 라이센스를 알아 보는 중 입니다.
아. 서버는 순수한 개인용도 입니다.
소유욕을 채우기 위한 정도 입니다.
HyperV 돌려서 윈10 수개 정도 돌릴 예정 입니다.
구매 하고자 하는 라이센스는 Windows server 2022 standard 입니다.
윈도우 서버 os 구매는 처음이라 구글링도 해보고 알아 보고 있으나 몇가지 해결 되지 않은 궁금증이 있어 질문 올립니다.
1. 아마존 사이트에서 파는 윈도우 OS를 구매 해도 될까요?
a/s 문제가 있을것 같다만, A/S를 받을 일이 전혀 없을것 같은데,,
평가판을 다운 받고 설치 하고 나서 구매자 에게 라이센스 키만 달라고 해도 되겠지요 ?
2. 2core 당 1라이센스 라는 글을 봤습니다.
저의 경우 20core * 2 이니 40core 인데, 20개의 라이센스를 구매 해야 하나요?
3. 아마존에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서버 2022 스탠다드 - 24 코어 - DVD 팩" 이라는 판매 제품이 있습니다.
24코어 까지 지원 해 준다는 말 인가요 ?
제가 40코어 이니 이걸 두개 사면 되나요 ?
아니면, 한 CPU당 24core로 계산 할테니, 최소 24core 로 구매 해라.
제 cpu가 한쪽당 20코어이니 24 코어로 보고.
24 / 2 = 12.
이런 cpu가 두개 이니, 24개의 라이센스가 필요 한건가요 ???
16만원 정도에 팔던데 이게 24개면. 대략 380 만원 이 나옵니다.
이 가격이 맞을까요 ?
4. HyperV 올릴 예정입니다.
OS 로는 WINDOWS10 을 올릴껀데, 라이센스의 종류(스탠다드, 데이터센터)에 따라
HyperV 올릴수 있는 갯수에 제한이 있나요 ?
답변에 미리 감사드리며, 추운날 감기 조심 하시기 바랍니다.
-> 개인이라면 상관 없습니다.
기업에서 사용하실 거라면 국내에서 구매하세요 나중에 소명하기 힘들어 집니다.
2. 2core 당 1라이센스 라는 글을 봤습니다.
-> 판매 라이센스마다 다르긴 할텐데 대부분 16Core 기준으로 판매 할 겁니다.
40core 라면 24core 추가 라이센스를 구매하셔야 합니다.
3. 아마존에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서버 2022 스탠다드 - 24 코어 - DVD 팩" 이라는 판매 제품이 있습니다.
-> 2번과 동일 답변
4. HyperV 올릴 예정입니다.
-> 제일 중요한 부분 인데 스탠다드 라이센스에서는 Hyper-V 로는 2개의 Vm 밖에 운용을 못합니다.
비용적인 부분을 생각 하신다면 Vmware 로 가시거나 오픈소스 기반의 Proxmox 를 사용하세요..
(VM에 할당할 코어 갯수가 아닌 호스트 코어 갯수만큼 죄다)
일정 이상의 윈도우 VM을 사용할 상황이라면, 윈도우 서버 DataCenter 버전 라이센스를 구매하는게 좋습니다.
DataCenter 버전을 호스트로 하이퍼-V를 구동한다면 DataCenter 라이센스를 통합으로 사용해서 VM 라이센스들을 갈음할 수 있습니다.
라이선스적인 부분은 한국 마소에 직접 물어보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2CPU가 항상 맞는건 아니며, 라이센스 문제가 발생할 시 몹시 골치 아픕니다.
단순히 가정에서 취미용으로 돌리신다면 그런 부분까지 쥐잡듯이 잡아대지는 않기는 합니다만,,,
데이터 센터를 구매 해야하며.
24 코어를 사야하며,
코어 수량 만큼 많이 많이 사야한다는거.
금전적인 부담이 몹시 되네요.
어쩔수없이 갖고있던 오래된 윈도 써야겠네요
HPE 리셀러나 총판에 문의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벤더를 통해 OS를 구입 시 마이크로소프트 뿐만 아니라 벤더를 통해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통합 진단, 유지보수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은 있습니다.
2. 기본 라이센스에 16코어가 포함되어져있으니 그걸 제외한 분량의 라이센스 추가하셔야 합니다
3. 총 40코어니 40코어치 라이센스가 필요합니다
금액은 총판에 문의라도 해보세요
4. 스텐/데이터센터는 윈 서버를 올릴때 문제지 10 올릴떈 차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