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9-14900K를 사용하기 위해서 파워와 쿨러를 어떻게 준비해야할까요?

VSPress   
   조회 8088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현재 i3-12100으로 큰 성능 문제 없이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이긴 한데, 여유성능을 존 더 얻고싶어서 새롭게 업그레이드를 고려 중입니다.
i9-14900K와 인터넷에서 성능 벤치마크를 비교해보니 약 1.5배 정도의 성능이 나오던데, 아마도 클럭으로만 비교된 것이 아닐까 합니다.

아무튼 i9-14900K와 RTX3080Ti 를 사용하기 위한 베이스 시스템 사양이 궁금합니다.
오버클럭 없이 사용해도 발열이 매우 높다고 들었는데, 오버클럭 없이 사용한다면
RTX3080Ti 를 같이 사용한다고 했을 때 파워를 어느 정도 용량을 해야할까요?
i3-12100의 최대 PBP-MTP가 60-89W이고 i9-14900K가 125-253W으로 거의 2-3배의 파워를 요구하는데,
참고로 i7-14700K가 i9와 동일한 125-253W이던데 제가 알아본 내용이 맞을까요?


그리고 i9를 오버 없이 사용하더라도 공랭으로는 어렵고 무조건 수냉쿨러를 사용해야 되는걸까요?
팬이 3개씩 달린 수냉쿨러를 쓰는것 같은데 수냉쿨러를 한 번도 사용해 본 적이 없어서 어떤 회사의 어느 모델 정도가 좋을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수냉쿨러를 사용하려면 케이스도 해당 쿨러 장착이 가능해야되겠지요.


일반적으로 이러한 조건에서 파워나 쿨러를 어느 정도의 부품들을 사용하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만약 오버클럭 없이 사용한다면 여러가지를 고려했을때 i9의 메리트가 딱히 없을지에 대해서도 궁금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dodobird 2023-12
https://youtu.be/9FvzbYPm8mk?feature=shared

14900k를 공랭으로 마침 돌려본 유튜버가 있네요 ㅎㅎ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VSPress 2023-12
우와... 감사합니다 되는군요.
CPU와 쿨러, 파워만 업그레이드하면 되겠네요...
          
dateno1 2023-12
14900 이미 수냉 공냉 안 따지고 커수뺴곤 감당이 안 됩니다 (물른 전력 제한 안 한 기준)

250왓이 아니라 400왓정도 잡아당깁니다 (웃기는건 냉각이 감당이 되면 전력 소비가 더 낮게 찍히던데, 그게 350왓)

설령 3열 420밀리 쓰셔도 100% 감당 안 되므로 그냥 냉각되는만큼 성능이 나온다고 생각해주세요 (전력 제한해놓고 버틴다고 애기해버릴꺼같으면 극단적으로 가면 주먹만한 쿨러 달고도 6~80왓으로 제한하면 온도 멀쩡하니 버틴다고 애기할 수 도 있는거니 의미가 없습니다)

위 영상에서도 전력 제한 안 걸면 답이 안 나오는 수치인 100도 찍히는걸 보실 수 있습니다 (저 전력 설정에서도 커수라면 버틸 수 있습니다)

저 영상에 나오는 공냉 쿨러 240밀리랑 맞먹거나, 그 이상의 성능을 가진 물건 장착한겁니다

참고로 전력 제한 안 해도 어차피 쿨링 성능만큼 클럭이 나오고 거기 비례한 점수가 뽑히므로 제한 안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100도 나오는게 보기 껄끄러우시다면 제한해도 됩니다)
-----------------------------
12100용이라면 파워랑 보드, 케이스, 쿨러등 모든게 다 저전력 기준일꺼고, 그걸 다 바꿀꺼면 그냥 새컴이랑 차이 없다고 봅니다
     
씨디공장 2023-12
1700 소켓 가이드, 케이스, 메인보드 제품 등의 주변 환경도 중요합니다. 저 영상에서 공랭이 된다는 부분만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면 안좋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매우 신중히 접근해야 될 문제입니다.

저기 영상에 나온 3rsys 360 제품은 벤치 결과가 크라켄 z73 에 견줄 정도로 매우 좋게 나온걸로 기억하며, 비록 13900K 지만 저도 사용중입니다.

아울러 파워는 무난한 제품으로 시소닉 포커스 750 이상이 어떨까 싶습니다. 이는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VSPress 2023-12
같은 쿨러에 파워만 800W정도로 하면 될거같아요 !!!
저는 마이크로닉스꺼를 늘 썼었지요.
박문형 2023-12
저런 식으로 전기를 많이 먹는 CPU를 장착할수 있는 마더보드에서 CPU로 들어가는 8/4핀 전원 커넥터가 1개로는 모자르는 경우 2개 심하면 3개까지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니 (오버클럭 전용 보드들) 어떤 보드를 선정하느냐에 따라 거기에 맞는 파워를 구하는 것이 맞다라고 봅니다..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판매하는 파워는 2000와트가 거의 최대치이니 가격이 심하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면 그리고 품질도 심하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면

용량이 큰 파워일수록 나을수도 있습니다.. 요즘은 용량이 큰 파워는 보통 GPU쪽 전원인 12V만 커지는 경향이 대부분입니다..

물론 파워는 개인별로 호불호가 상당히 많이 갈리는 제품입니다.. 이것 저것 써보시고 자기만의 주관을 가지는게 나을 수 있습니다..
파란오이 2023-12
전력제한 기본 pl2 253w 유지하면 2팬 타워형 공냉으로 버틸만 합니다. 저도 그냥 253w pl2 설정에서 2열 수냉으로 큰 무리없이 그냥저냥 쓰고 있습니다.
Kaos 2023-12
최근 조립해서 실사용중입니다.
1. 시스템은 개인 성향이라 뭐라고 조언드리기 그렇지만 3080ti면 800W 80plus gold 이상 PSU로 구성하시는게 좋습니다.
더 부하가 걸리거나 하드코어 게이머시라면 1000W 이상 추천드리구요.
2. 일부 메인보드 첫 설정에서 수냉 쓸거냐 공냉 쓸꺼냐에 따라서 선택하면 전력 제한 걸어줍니다. MSI Z790 tomahawk 메인보드 쓰고 있습니다.
아수스, 애즈락 Z790 보드 둘다 기능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3. 수냉은 당연히 기본 추천이구요. 만약 공랭 쓰신다면 싱글 타워보다는 트윈타워 250W 이상 지원하는 쿨러 사용하시면 되구요.
전력 제한 거시거나, 코어 전압 언더볼팅 해주시면 온도 착해집니다.
기본 설정에서 오프셋 모드로 한클릭 전압 낮춰줬는데 아이들 45도에서 34도로 떨어졌습니다.
당연히 360mm 일체형 수냉 사용중입니다.
     
Kaos 2023-12
구성은 대략 이렇습니다.
14900K + MSI Z790 Tomahawk DDR4 wifi + DDR4-3200@3600 32G x 4EA
AMD Radeon RX 6900XT OC edition
XPG Levante 360 ARGB + 아틱 P12 팬 교체
프렉탈디자인 Define 7 + FSP PTM1200 1200W 80 플러스 플래티넘
SSD 2개, M.2 NVMe 4개
          
VSPress 2023-12
감사합니다 너무 좋은 정보 주셨어요~
죠슈아 2023-12
14900K 을 사용하면서 전력제한을 하는 것이 성능면에서 어떤 의미를 갖을 수 있나요?
14900K를 전력제한 해서 사용하는 것과  더 낮은 전력 소모 하는 더 낮은 성능의 CPU를 사용하는 것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VSPress 2023-12
나중에 보조 환경을 바꾸면 더 나은 성능을 얻을 수 있기도 하니까요 :)
한꺼번에 바꾸는 데에 부담이 있어서 그런거지요~


QnA
제목Page 222/5727
2015-12   1776079   백메가
2014-05   5250972   정은준1
2023-12   1988   alpha099
2023-12   1975   스무프
2023-12   2106   가온누리I강…
2023-12   1496   그린
2023-12   1759   Sikieiki
2023-12   1439   inquisitive
2023-12   1849   시사니
2023-12   1954   grzlr
2023-12   2221   화정큐삼
2023-12   2508   galaxyfamily
2023-12   1706   SugarCube
2023-12   2596   어머
2023-12   2296   NaHS
2023-12   1246   고양시
2023-12   2419   호박고구마
2023-12   1412   osthek83
2023-12   2665   헤이장
2023-12   1567   블루영상
2023-12   2368   pwater
2023-12   1767   헌터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