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회사 네트워크 구성 문의드립니다. nas, 다수 공인ip

arbitrage   
   조회 2321   추천 0    

현재 kt 기업용 인터넷 모뎀에 16포트 1기가 스위칭허브(TL-SG1016D)를 직결해서 pc 12대정도 사용중입니다. 개인정보를 다루기에 pc마다 공인ip가 달라야 하는 상황이기에 이런 구성을 하였습니다.


데이터 수집용으로 내부망을 구축해서 12대 pc 데이터를 나스에 저장하고 싶은데 네트워크를 어떻게 구성해야 할까요?


몇일째 찾아봐도 nas는 다 공유기 아래에 스위칭허브 달고 구성하는게 정설이던데 이런 경우에 공인ip는 한개가 되는거 아닌가요? 도움 부탁드립나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purndal 2023-12
음.. 잘 알지 못하지만 번뜩 떠오르는 것이..

공유기 -> 추가 스위칭 허브 -> 각 PC 추가 랜카드네요..

각 PC에 추가로 랜카드를 설치를 하고 NAS에 연결을 해서 자료를 내부망만 주고받는 것.
그리고 공유기는 외부에 연결 없이 사용하고 내부만 사용하는 것..
마지막으로 NAS 포트 한 개를 외부 망에 연결을 해서 외부에서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것..

뭐 이정도면 안될까 싶네요. ㅎ.
송진홍 2023-12
12개의 공인IP를 사용하려면
회선 비용만해도 만만치 않겠네요..
양철괭이 2023-12
개인정보 데이터와 공인IP 사용여부는 이유가 있으실거니..
우선 기업용 인터넷 회선에서 제공되는 IP 번호는 같은 대역 IP 번호대로 부여되는거로 알고 있는데 이럴 경우엔 서브넷마스크로 대역범위를 정해주면 될듯 합니다.
같은 라우터(인터넷모뎀이, 공유기도 라우터 겸 게이트웨이로 봅니다) 상이라면 같은 망으로 보니 그 이후엔 내부 네트워크 구성처럼 사용하시면 되겠네요.
dateno1 2023-12
SMB같은건 안 되니까 FTPs, WebDAV같은것 쓰셔야겠네요
안철현 2023-12
내부망을 사설ip로 할지, 공인IP로 할지 달라질것 같구요.
NAS를 외부에서(인터넷에서) 접속할 필요가 없다는 가정하에..

보통은 사설IP로 하니..
PC에 랜카드 하나씩 더 장착하고, 추가로 스위치 하나더 장만해서..
PC/PC....PC/PC --- 스위치 - NAS 형태로 내부망 구성하면 될 듯합니다.
내부망은 192.168.0.X 대역으로 각 단말에 고정IP 부여해서 사용하면 되구요
공유기는 없어도 됩니다.

더 간단하게는
기존 16포트 스위치 아래에 NAS하나 붙이고
NAS에 사설IP 부여하고 (예: 192.168.0.100)
각 PC의 기존 랜카드(네트워크인터페이스)에 추가로 사설 IP 부여해서 사용해도 됩니다. ( TCP/IP 고급설정에 추가IP 입력 ) - 예: 192.168.0.10 등
( 단, 인터넷용 IP 주소가 DHCP로 할당되면 추가 IP를 넣을 수 없으니, 랜카드 추가가 필요합니다. )

NAS 접속은 사설IP로 하고
인터넷 접속은 기존방식대로 이용

첫번째 방법은 물리적으로 분리구성
두번째 방법은 논리적으로만 분리구성 ( 기존 인터넷과 내부망 데이터를 같은 스위치로 처리 )
     
정의석 2023-12
네트웍 사용량이 많은 것이 아니라면 두번째 방법(기존 랜카드에 추가 사설 IP부여)이 좋을듯 합니다.
엠브리오 2023-12
NAS에도 공인IP 할당해주고 쓰면 제일 쉽죠.

물론 보안 문제가 생길테니, NAS쪽에서 각 PC들의 MAC주소 혹은 IP주소 기반으로 접속을 제한시키면 될듯 하군요.
     
검댕까막 2023-12
이 방식에 한표.
각 PC 에 랜카드 부착할 필요도 없고, 별도 네트웍을 구성할 필요도 없으니 제일 간단하고, 차후에 PC 가 늘어나더라도 대응이 제일 빠릅니다.
Nas 에 사용하고 있는 공인 IP 만 접속되도록 하면 되고요.
          
엠브리오 2023-12
허용된 IP만 접속하도록 접속제한 시켜놔야 합니다.
그냥 놔두면 중국발 해킹시도 엄청 들어와요. @@
               
arbitrage 2023-12
안그래도 지금 성공한 방식은 공인ip 하나 주고 DDNS통해서 접근하고 있는데 이건 외부망 네트워크라 봐야할까요?
같은 스위칭허브 아래에 있는 컴퓨터들끼리 윈도우 공유폴더가 네트워크로 잡혀서 뭔가 될 것 같은데 말이죠...
                    
검댕까막 2023-12
DDNS 를 통해 접근이 된다는 것은 외부에 열려있는 것입니다.
현재 Nas 는 없으신 것 같고, 각 PC 에 접근을 허용하고 있다는 건가요?
               
검댕까막 2023-12
예. 윗글에서 엠브리오님께서 먼저 언급하신대로 사용하고 있는 IP 만 접속되도록 제한 해야죠.
제온프로 2023-12
공인 아이피망과..
내부망을 모두 구성하시면 됩니다.

각각의 공인 아이피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NAS를 포함한 내부망 추가하여 하시면 됩니다..
상석하대 2023-12
내부망이요?!
좀 더 생각해봐야죠.
굳이 필요한지를 말입니다.
네트워크에 엔트로피를 높여놔서 좋을 것도 별루 없구요.
DHCP환경으로 보인데요.
그냥 NAS도 공인 IP를 자동으로 받고요.
DDNS와 연결을 해요.
데이터 저장은 NAS가 지원하는 프로토콜로 해요.
FTP, FTPs, WebDAV는 기본으로 들어 있어요.
sFTP 살려서 SCP를 써도 돼요.
데이터저장 배치나 스크립트 작성은 SCP가 나을 수 있어요.
술이 2023-12
외부 아이피가 고정아이피라면  랜카드에 그냥 사설 아이피 게이트웨이 없이 추가해버리면 둘다 사용이 가능한데 자동 IP면 좀 그렇긴 하겠네요.
제일 쉬운 방법은 USB 랜카드 다 달아서 사설용으로 붙이면 노가다는 덜할겁니다.
개인정보 다루는데 PC마다 공인아이피가 달라야 하는 이유가 있는건가요? 보안 솔루션때문에 그런건지 좀 의아하긴 합니다.


QnA
제목Page 227/5731
2015-12   1793722   백메가
2014-05   5268712   정은준1
2015-06   4430   윈도우10
2011-11   10322   나너우리
2015-06   4604   김승현1
2021-03   7118   박중석
2011-11   5913   뚜뚜김대원
2019-12   4857   무아
2011-12   4807   공팔이
2018-10   3203   보노보노
2021-03   6853   남경림
2014-03   4486   김용운
2015-07   3560   프로쥬니어
2018-11   3381   장동건2014
2012-01   9331   아름다운노을
2020-01   1987   미나리나물
2017-08   5255   로맨리카
2018-12   3441   가상화공부중
2021-05   4810   petabyte
2016-08   5405   살바
2018-12   9239   네이쳐
2023-01   1395   drez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