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4966 |
0 |
2014-05
5234966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1327 |
25 |
2015-12
1761327
1 백메가
|
110383 |
워크스테이션용 메인보드에 일반 파워를 사용할 수 있나요? (6) |
Kimmandu |
2024-01 |
1552 |
0 |
2024-01
1552
1 Kimmandu
|
110382 |
rs485로 수집한걸 브라우저로 띄우는 손쉬운 방법 있나요? (24) |
딥마인드 |
2024-01 |
2416 |
0 |
2024-01
2416
1 딥마인드
|
110381 |
iSCSI 설정에 관한 문의 드립니다. (12) |
태영파파 |
2024-01 |
1771 |
0 |
2024-01
1771
1 태영파파
|
110380 |
블록 다이어그램 그릴때 cad 말고 더 편한거 있을까요? (7) |
딥마인드 |
2024-01 |
1118 |
0 |
2024-01
1118
1 딥마인드
|
110379 |
chia 파워 서플라이 궁금합니다. (5) |
inquisitive |
2024-01 |
1570 |
0 |
2024-01
1570
1 inquisitive
|
110378 |
보드+시퓨+글카를 죽이는데 램만 살려놓을 수가 있나요? (9) |
전일장 |
2024-01 |
2349 |
0 |
2024-01
2349
1 전일장
|
110377 |
샤콘느님 맥북프로 아탑터 문의 (13) |
명철이 |
2024-01 |
2089 |
0 |
2024-01
2089
1 명철이
|
110376 |
[추천] 12/13세대 i3 베어본 CPU 쿨러 추천 부탁합니다. (7) |
alpha099 |
2024-01 |
1364 |
0 |
2024-01
1364
1 alpha099
|
110375 |
HDMI to Composite 컨버터 (6) |
박문형 |
2024-01 |
1708 |
0 |
2024-01
1708
1 박문형
|
110374 |
저장공간이 얼마 안남았을 때 압축하는 방법? (4) |
땅쟁이 |
2024-01 |
1859 |
0 |
2024-01
1859
1 땅쟁이
|
110373 |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 암호화 솔루션 사용 경험 있으신분 있나요 ? (4) |
캔위드 |
2024-01 |
1488 |
0 |
2024-01
1488
1 캔위드
|
110372 |
유튜브 가입 (6) |
미담 |
2024-01 |
1420 |
0 |
2024-01
1420
1 미담
|
110371 |
구형PC 간헐적 파워온 불가문제 (12) |
류넨아이스 |
2024-01 |
2637 |
0 |
2024-01
2637
1 류넨아이스
|
110370 |
[비컴] 실손보험 청구 관련 문의드립니다. (9) |
김영기대전 |
2024-01 |
1524 |
0 |
2024-01
1524
1 김영기대전
|
110369 |
디와이 충전드릴 4.8v 충전전압 문의 드립니다. (8) |
리장님 |
2024-01 |
1852 |
0 |
2024-01
1852
1 리장님
|
110368 |
10G 스위치 발열 컨트롤 질문입니다. (13) |
최창현 |
2024-01 |
2380 |
0 |
2024-01
2380
1 최창현
|
110367 |
MS WIN PRO 에 RDS CAL 라이선스 사용해도 합법일까요? (10) |
제로원소프트 |
2024-01 |
2052 |
0 |
2024-01
2052
1 제로원소프트
|
110366 |
원격 데스크톱 사용시 라이선스 질문. (7) |
제로원소프트 |
2024-01 |
2398 |
0 |
2024-01
2398
1 제로원소프트
|
110365 |
모니터 신호 출력 불가 (23) |
이희주 |
2024-01 |
3352 |
0 |
2024-01
3352
1 이희주
|
110364 |
요런 허브 추가하면 2개는 10G 스위치로 작동 되나요? (16) |
딥마인드 |
2024-01 |
2296 |
0 |
2024-01
2296
1 딥마인드
|
https://www.clien.net/service/board/use/18443206
아래 리플 보시믄.. 테스터가 종류가 많습니다
커넥터가 연결을 나타내는 장비인거 같았습니다...
전기 멀티 테스터 마냥 진짜로 데이터 통신을 테스트해서 수치가 나왔으면 바로 샀을거 같았습니다.
ex) LCD 창에 9.8Gbps 라고 뜬다던지 했으면 좋았을텐데요...
물론 그것도 제대로 하려면 진짜 고속 충전급 부하를 걸어보는 게 좋기야 하겠습니다만..
케이블의 상태만 파악하는것만으로도 유용하게 활용이 가능할것으로 보여집니다.
몇백으로 살 수 있는 장비가 아닙니다.
금융 치료당했습니다 :D
통신 대역폭은 SiCMOS님 말씀처럼 제대로 하려면 오실로스코프 꽂고 아이 다이어그램을 봐야 하는데, 그건 너무 비싸고.. 그냥 실제 데이터통신을 시켜보는 식으로 만드는 게 쌀 것 같습니다. 아니면 네트워크 아날라이저 (제대로 확인하기엔 대역폭이 비좁긴 합니다만.. 야매 SNA/VNA는 6기가급까진 살만한 수준까지 내려왔습니다.)로 구성하거나요.
문제는 커넥터 상태가 안 좋을 경우 뒤집어 꽂거나 흔들거나 하면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충전 속도도, 통신 속도도.. 현실에서 사용자가 USB 케이블을 가만히 놔둘 리가 없으니 그걸 확인해야 하는데 그건 계측기 말고 사람이 요령껏 측정해야 할 부분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