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7607 |
25 |
2015-12
1767607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2352 |
0 |
2014-05
5242352
1 정은준1
|
16230 |
와이파이 확장기 오류.. 어찌하면 좋을까요? (2) |
닉케 |
2019-06 |
3456 |
0 |
2019-06
3456
1 닉케
|
16229 |
Hardware raid, Software raid 관련 문의 드립니다. (12) |
마케로 |
2022-02 |
2235 |
0 |
2022-02
2235
1 마케로
|
16228 |
후지쯔 TX100 5.25 슬롯에 3.5인치 하드디스크 설치 방법 문의 (1) |
이충욱blue |
2013-07 |
6816 |
0 |
2013-07
6816
1 이충욱blue
|
16227 |
11월 컴퓨터를 12년만에 구매하려합니다. (5) |
Nicoffeine |
2023-10 |
2724 |
0 |
2023-10
2724
1 Nicoffeine
|
16226 |
기업 보안 솔루션 문의입니다. (4) |
앙드레준 |
2020-09 |
2001 |
0 |
2020-09
2001
1 앙드레준
|
16225 |
레이드 50설정이 없어졌습니다 (5) |
소푸 |
2022-02 |
1769 |
0 |
2022-02
1769
1 소푸
|
16224 |
[해결]인텔서버보드(s5000vsa) 외장 그래픽카드 문의드립니다 (3) |
교정기공사 |
2017-02 |
4328 |
0 |
2017-02
4328
1 교정기공사
|
16223 |
[질문] 서버실에서 사용할만한 누수 감지 장비가 있을까요 ? (8) |
희자님 |
2019-06 |
3256 |
0 |
2019-06
3256
1 희자님
|
16222 |
Wifi 무선 CPE 중계기 경험 있으신분 계신가요? (10) |
이희주 |
2020-09 |
5053 |
0 |
2020-09
5053
1 이희주
|
16221 |
컴퓨터가 이유없이 꺼졌다 켜집니다. (5) |
강영식 |
2013-08 |
13187 |
0 |
2013-08
13187
1 강영식
|
16220 |
기존에 GTX1060을 사용중인데 10bit 색 출력 용도로 쿼드로를 추가하려고 합니다 질… (2) |
3001N6 |
2018-05 |
4873 |
0 |
2018-05
4873
1 3001N6
|
16219 |
육각렌치는 어떤것을 어디에서 구입하는게좋나요 (16) |
스무프 |
2020-09 |
3721 |
0 |
2020-09
3721
1 스무프
|
16218 |
이런 물건 아시는분 계실까요? (5) |
스웨인 |
2022-03 |
1659 |
0 |
2022-03
1659
1 스웨인
|
16217 |
델 t320을 헤놀로지 서버로 사용중입니다. pci-e m.2 ssd추가문의 |
진영진서 |
2019-06 |
3125 |
0 |
2019-06
3125
1 진영진서
|
16216 |
Lenovo W520 노트북 mSATA 인터페스이스가 SATA 2인가요? (5) |
galaxyfamily |
2020-09 |
2785 |
0 |
2020-09
2785
1 galaxyfamily
|
16215 |
HP P400 3테라 HDD지원여부 테스트해보신분계신가요? 그리고 원래 이렇게 열이 많나… (16) |
악땅 |
2013-08 |
28922 |
0 |
2013-08
28922
1 악땅
|
16214 |
알리에서 구매한 제품을 빨리 받는 방법? (8) |
수필처럼 |
2016-03 |
4826 |
0 |
2016-03
4826
1 수필처럼
|
16213 |
5월 4일 5일.. 여수 숙소 추천 부탁드려요 (8) |
김준유 |
2022-03 |
1961 |
0 |
2022-03
1961
1 김준유
|
16212 |
본체 안에 내장 안테나를 설치하려고 합니다... (12) |
호박고구마 |
2023-10 |
2379 |
0 |
2023-10
2379
1 호박고구마
|
16211 |
개조 제온e5450 부팅관련 고수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12) |
으으악 |
2016-03 |
8417 |
0 |
2016-03
8417
1 으으악
|
https://www.clien.net/service/board/use/18443206
아래 리플 보시믄.. 테스터가 종류가 많습니다
커넥터가 연결을 나타내는 장비인거 같았습니다...
전기 멀티 테스터 마냥 진짜로 데이터 통신을 테스트해서 수치가 나왔으면 바로 샀을거 같았습니다.
ex) LCD 창에 9.8Gbps 라고 뜬다던지 했으면 좋았을텐데요...
물론 그것도 제대로 하려면 진짜 고속 충전급 부하를 걸어보는 게 좋기야 하겠습니다만..
케이블의 상태만 파악하는것만으로도 유용하게 활용이 가능할것으로 보여집니다.
몇백으로 살 수 있는 장비가 아닙니다.
금융 치료당했습니다 :D
통신 대역폭은 SiCMOS님 말씀처럼 제대로 하려면 오실로스코프 꽂고 아이 다이어그램을 봐야 하는데, 그건 너무 비싸고.. 그냥 실제 데이터통신을 시켜보는 식으로 만드는 게 쌀 것 같습니다. 아니면 네트워크 아날라이저 (제대로 확인하기엔 대역폭이 비좁긴 합니다만.. 야매 SNA/VNA는 6기가급까진 살만한 수준까지 내려왔습니다.)로 구성하거나요.
문제는 커넥터 상태가 안 좋을 경우 뒤집어 꽂거나 흔들거나 하면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충전 속도도, 통신 속도도.. 현실에서 사용자가 USB 케이블을 가만히 놔둘 리가 없으니 그걸 확인해야 하는데 그건 계측기 말고 사람이 요령껏 측정해야 할 부분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