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E 스위치와 POE 인젝터를 동시에 사용해도 되는지 질문드립니다.

kmg010   
   조회 2392   추천 0    

안녕하세요,

POE가 지원되는 네트워크 스위치에서 나온 랜선을,

다시 POE인젝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장비에 연결했을때 전원으로 인한 문제가 생길 수 있나요?


계통도를 간략히 그려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공유기) -> (POE 네트워크 스위치(iptime poe2402) -> (POE 인젝터(tplink 제품) -> (*장비*)


POE 인젝터를 쓰지 않으면 되겠지만, 위와 같이 구성 했을 때

장비에 전원 공급으로 인한 무리가 갈 수 있는지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

추가로 궁금한 부분이 있습니다.

스위치인 POE2402는 802.3af (A mode)

장비와 함께 들어있던 기본제공 인젝터인 TPLINK 제품은 802.3af (B mode)라고 상세스펙에 나와 있습니다.

제가 이해하기로 이렇게 되면 UTP 1,2,3,4,5,6,7,8 모든 라인으로 DC가 공급되는 것인데, 장비 사용에 문제가 있을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4-01
POE가 48V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보통일 것입니다..

그러나 이래저래 찾아보면 여러가지 전압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버젼이나 표준도 여러가지 입니다..

따라서 POE 전원을 여러개로(여러가지로) 해서 사용하는 것은 장비 종류에 따라서 셋팅에 따라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딥마인드 2024-01
POE 48v가 DC방식이면 병렬 사용시 오히려 장비 부하를 덜어줄뿐 문제없습니다.
802.3af 기준이 DC 방식이니 아직 AC 방식은 없는거로 압니다
kmg010 2024-01
늦은 시간에도 답변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추가로 궁금한 부분이 있습니다.
스위치인 POE2402는 802.3af (A mode)
장비와 함께 들어있던 기본제공 인젝터인 TPLINK 제품은 802.3af (B mode)라고 상세스펙에 나와 있습니다.

제가 이해하기로 이렇게 되면 UTP 1,2,3,4,5,6,7,8 모든 라인으로 DC가 공급되는 것인데, 장비 사용에 문제가 있을까요?
제온프로 2024-01
그렇게 연결하면 않될 것 같아요..

전압이라는 것은 전위차를 말하는 것으로 반드시 그 기준점(그라운드 제로) 이 있어야 합니다.
(두 접점의 전압차이 예 5V와 12V에 연결하면 차이는 7V 입니다. 3V와 10V를 연결해도 7V 입니다.)

만약 POE 스위치와 인젝터의 그라운드를 서로 연결해 주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박문형 2024-01
https://www.fibermall.com/ko/blog/poe-switch-13-questions-to-know.htm

원하시는 내용이 있을지 모르겠네요..

제가 보기에는 전원 공급을 두군데에서 한다는 것으로 들리는데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는 불가능해보입니다..
김강호 2024-01
왜 그렇게 하시는지를 먼저 설명해주셔야 할거 같습니다.
kmg010 2024-01
사무실의 모든 장비가 스위치(poe2402)에 물려 있고, 여기에 POE 전원이 필요한 무선AP를 하나 추가하고자 합니다.

문제는 스위치(poe2402) 는 (A mode 1,2+, 3,6-)를 지원한다고 나와있으며,
무선AP(CPE510) 제품은 (B mode 4,5+, 7,8-)를 지원한다고 상세스펙에 나와 있기에 전원 공급을 위해선 기본 제공되는 poe인젝터를 꼭 사용해야 하지 않을까 라는 고민입니다.

이 경우 [공유기 -> poe2402 스위치 -> poe 인젝터 -> 무선AP] 방식의 연결이 아닌,
            [공유기 -> poe 인젝터로 직결 -> 무선AP] 방식이 해결책이 될 수 있을까요?
박문형 2024-01
https://m.blog.naver.com/dogkimjh/222078761767

배선설명한 것을 볼 때 모드 A와 모드 B는 호환이 안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스위치가 IPTIME 이면 IPTIME AP사용하셨어도 어느 정도 호환성이 문제가 없을수 있을 듯한데




왜 TP-LINK AP를 사용하려고 하였는지 개인으로써는 의문입니다.. (물론 이유가 있겠지요..)

그리고 TP-LINK는 제조사 자체가 중국이라 해킹칩(해킹 프로그램)이 있을 것이다라고 의심받는 회사 제품입니다..

펌웨어 업데이트도 꾸준하지 못합니다..
     
kmg010 2024-01
사무실에서 이미 제품을 다 구비해놓은 상태에서, 세팅을 부탁한다는 상황이라 호환성을 사전에 따질수가 없었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박문형 2024-01
그렇다고 TP-LINK가 나쁜 회사는 아닙니다.. 국내에서는 가격으로는 따라잡을 회사는 거의 없다라고 생각합니다..

단 보안쪽은 항상 조심해야 하기에 어느 정도 보안이 중요하다면 제조사가 서양쪽에서 온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나 공유기/라우터/ 무선장비 같은 것은요..
커피73 2024-01
POE스위치 - 인젝터(데이터입력 포트)
                인젝터(데이터+전원 출력 포트) - AP
이렇게 연결됩니다.
POE스위치와 인젝터의 데이터포트 연결될때 인젝터의 데이터포트는 POE전원입력을 받을 수 없는 포트로 인식해서 POE스위치에서 POE모드가 아닌 일반 데이터연결모드로 데이터만 보내줍니다.
인젝터는 POE스위치로부터 데이터만 받아서 인젝터에서 전원을 추가해서 장비에 보내주겠네요.
POE 스위치라고 무조건 전원 보내는게 아니고 받는쪽 장비가 POE전원을 받을 수 있는 경우에만 POE로 전원을 보냅니다.
POE스위치에서 컴퓨터랑 연결하는 경우 POE모드가 아닌 일반 스위치 모드로 작동하는 거랑 같아요.
POE스위치에서 각 포트마다 POE모드인지 일반모드인지 알아서 자동으로 작동합니다.
     
kmg010 2024-01
답변 감사드립니다. 전원을 받을 수 있는 장비로 인식되어야만 전원을 보내주는군요.
이선호 2024-01
802.3af 호환이라고 기재가 되어있으면 A mode와 B mode를 지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PoE 스위치에 인젝터를 연결하더라도 통신이 안되면 정상적으로 전기 공급을 해주지 않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100Mbps까지만 지원하는 AP에서 Midspan (Mode B) 방식을 주로 사용하는데 그만한 가치가 있을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mode B AP는 거진 다 Passive PoE 제품이라 스위치와 Handshake가 불가능하기에 스위치에 AP를 꽂으셔도 전원이 공급되지 않습니다.


QnA
제목Page 209/5729
2014-05   5264370   정은준1
2015-12   1789354   백메가
2023-02   1768   주먹밥
2024-08   1768   무법자
2024-01   1768   헌터D
2021-12   1768   임현제
2022-08   1768   전설속의미…
2022-07   1769   9chani
2022-06   1769   의롭게살리라
2024-04   1770   Rich
2022-09   1770   시오훅이
2023-02   1770   신은왜
2024-05   1770   newretrowave
2021-11   1770   전설속의미…
2023-05   1770   행복하세
2023-08   1770   싱국날강도
2023-04   1770   쓰레기단장
2022-07   1770   구십평
2023-07   1770   경박한시민
2024-01   1770   Rich
2023-04   1771   유호준
2023-07   1771   ro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