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 |
HPE DL360 Gen8 서버인데 메모리 혼용해서 사용해도 될까요? ( 713756-081, 672612-0… (6) |
꼬소 |
2024-11 |
914 |
0 |
2024-11
914
1 꼬소
|
98 |
생활 무전기 추천 받을수 있을까요? (17) |
민경열 |
2024-10 |
1224 |
0 |
2024-10
1224
1 민경열
|
97 |
장터에 DDR3 8500R 방열판 달린 걸 빼서 그대로 DDR3 10600R에 달면 달릴까요? (5) |
허밍버드 |
2024-09 |
1232 |
0 |
2024-09
1232
1 허밍버드
|
96 |
레노버 P520c 파워가 500W로 쫌 적은감이 있는데 업글 방법이 있을까요? (12) |
반팔맨 |
2024-09 |
1211 |
0 |
2024-09
1211
1 반팔맨
|
95 |
워크스테이션 메모리 호환성 문의드립니다. (6) |
반팔맨 |
2024-09 |
926 |
0 |
2024-09
926
1 반팔맨
|
94 |
windows.immersiveshell.serviceprovider.dll 오류 문의 (1) |
이원재K |
2024-09 |
1325 |
0 |
2024-09
1325
1 이원재K
|
93 |
Dell Precision 7920T 메모리 및 그래픽카드 업그레이드 문의 (6) |
정기종 |
2024-08 |
2286 |
0 |
2024-08
2286
1 정기종
|
92 |
[해결] 원래 ECC가 ECC/REG보다 구하기 어려운게 맞나요? (17) |
전일장 |
2024-08 |
1661 |
0 |
2024-08
1661
1 전일장
|
91 |
Gigabyte B450-I ECC 메모리 지원 (12) |
상우 |
2024-08 |
2347 |
0 |
2024-08
2347
1 상우
|
90 |
HP 랜카드 공식홈링크 못찾겠습니다. (9) |
핸즈 |
2024-08 |
1628 |
0 |
2024-08
1628
1 핸즈
|
89 |
메모리 혼용에 관한 의견 여쭈어 봅니다. (7) |
윤치열 |
2024-07 |
2419 |
1 |
2024-07
2419
1 윤치열
|
88 |
알리에서 이거 사도 될련지요 (13) |
김민수2 |
2024-06 |
2816 |
0 |
2024-06
2816
1 김민수2
|
87 |
APC에 소리가 많이 나나요? (14) |
Star755 |
2024-06 |
2143 |
0 |
2024-06
2143
1 Star755
|
86 |
슈퍼마이크로 x11dhp-t 메모리 셋팅 관련 질의. (14) |
김승훈 |
2024-06 |
2980 |
0 |
2024-06
2980
1 김승훈
|
85 |
HP Z8 G4 메모리 호환 문의 드립니다~~ (5) |
김가피시 |
2024-06 |
2262 |
0 |
2024-06
2262
1 김가피시
|
84 |
ESXi 메모리 인식 관련 질문 드립니다. (3) |
coven |
2024-05 |
2026 |
0 |
2024-05
2026
1 coven
|
83 |
케이스에 커스텀수냉 배관 홀 고무 패킹 (12) |
원시인7 |
2024-05 |
2083 |
0 |
2024-05
2083
1 원시인7
|
82 |
안녕하세요 DDR4 램관련 질문 드립니다. (8) |
안성현 |
2024-05 |
1768 |
0 |
2024-05
1768
1 안성현
|
81 |
P1-DIMMD1 Correctable memory component found (5) |
online9 |
2024-05 |
1950 |
0 |
2024-05
1950
1 online9
|
80 |
중2 과학 병열 연결에서의 저항 구하는 방법 질문드립니다. (10) |
건약 |
2024-04 |
2470 |
0 |
2024-04
2470
1 건약
|
공유기 초기화한다음에 5Ghz 연결 시도해보세요.
간혹 IPTIME 기기간 이사(?)할때 공유기 설정 백업을 이용하는 경우
동작은 하는데 특정 기능이 잘 안되는 경우가 있더군요.
저는 공유기 이사한 다음에 2.4Ghz가 안잡혀서 고생한 적이 있습니다.
2.4Ghz 무선 네트워크 고급설정에서 채널 크기를 수정해서 해결한 적이 있습니다. ( 채널크기가 잘못 되어 있었습니다. )
상세한 건 잊어버렸는데.. 저도 예전에 아수스 공유기 업글하면서 기존 설정 백업 -> 새 공유기에 복원.. 해서 편하게~ 사용하려 했는데.. 이상하게 일부 접속이 잘 안되던가 암튼 좀 문제가 발생해서.. 초기화 해서 싹 밀고 하나하나 설정 다시 해서 해결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2.4Ghz 용과 5Ghz 용으로 2개를 만드세요.
6 이상에서 그렇게하면 제 성능 못 뽑습니다
6이상 제대로 운영하는경우 양쪽 주파수 통합 관리되는데, 그럴려면 SSID 같아야 합니다
그냥 2.4G와 5Ghz 바꿔가면서 연결하기 귀찮을 때나 쓰는거지 실질적으로는 분리해서 쓰는게 훨씬 더 낫습니다.
오히려 감도별로 바꾸어야하니 귀찮기만 합니다 (통일해두면 똑같은 AP로 인식해서 알아서 감도를 인식해서 연결합니다)
Cisco나 Aruba AP도 그렇고 Asus나 iptime 가정용 라우터도 그렇고 5Ghz 대역이 훨씬 안정적입니다.
어차피 아파트도 30평대가 넘어가면 공유기 한대로 커버가 어렵고, 손쉽게 mesh 구성이 가능한 현재는 딱히 한개에 목메야할 필요가 없죠.
2.4Ghz를 꼭 사용해야 하는 경우는 정말 한정적인데
1. 여유가 없어서 5Ghz가 없는 라우터를 사용해야 할 때
2. 접속 기기가 5Ghz를 지원하지 않을 때 (IoT 기기 등)
IoT 기능을 사용하려면 호환성 문제로 Wifi 6, Wake Time, Multiband 등을 비활성화 시켜줘야 하는 경우가 많아 메인으로 쓰기에는 어려움이 있지요.
채널간섭이 심한 2.4Ghz를 써야하는 경우가 제한적인 상황이고, 최신 기기들은 거진 5Ghz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2.4G <->5Ghz 대역을 왔다갔다 해야할 이유를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어떤 환경이시길레 Agile Multiband, Band Steering까지 활용해야 하는지 혹시 알 수 있을까요?
이렇게 하면 감도에 따라 붙고, 혼잡 상태에 따라서 재배분도 됩니다
7경우 심지어는 업로드랑 다운로드를 다른 대역으로 나누어서 분산하는 기능도 구현되었습니다
점점 대세가 통합하는게 유리한 방향으로 가고 있습니다
저도 IoT 몇대는 쓰지만 아직까지 5/6Ghz 켜져있다고 안 되는건 못 봤네요 (여전히 2.4Ghz밖에 안 되는 케케묵은 무선칩이 붙어있는넘들은 봤습니다만, 다른 주파수 켜져있어도 딱히 문제 없었습니다)
환경 이전에 그냥 켜두기만 하면 전송 속도가 올라가는 기능을 안 쓰는 이유가 있나요? (특히 여러대가 무선으로 파일 전송 (무선 <-> 무선으로 주는 경우 100% 확율로 대역폭 나누게 됩니다)하는 경우 필수라 봅니다)
개선 내역 보니 7 정식 버전 대응 제품 나오면 바꾸어야겠다는 구매 의욕이 부추겨지네요
그냥 초보자가 5Ghz와 2.4Ghz 대역의 차이를 잘 모르니 통합을 하는것이지 혼잡도에 따른 주파수 재분배를 얘기할 정도로 가정용 라우터 성능이 좋은 것도 아닙니다.
삼성부터 Tuya 인증된 제품까지 IoT 장비 중에 5Ghz를 지원하는건 가뭄에 콩나듯 있고, 위에서 말씀드렸듯 2.4Ghz를 함께 사용해야 할 정도로 아쉬운 상황이 거의 없다는겁니다.
켜두기만 하면 성능이 올라간다고 착각하고 계시나, 실제로는 성능 향상은 거의 없고, Wifi에 탑재된 기능 일부를 꺼주어야 최대 성능을 뽑아낼 수 있습니다. 가정용 라우터 조차 고속에서는 2.4Ghz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방향인데 무슨 속도 향상을 말씀하시는지 궁금합니다.
MU MIMO조차 꺼야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경우가 많고 (ASUS 제품) 애초에 가정용 라우터는 주파수 간섭이 걱정될 정도로 수백개의 장치를 연결하는 용도가 아닙니다.
두번째로 Wifi 속도 향상 기술은 OFDMA에 기반하는 것이지 2.4Ghz 주파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Wifi 7은 전이중 무선전송이 가능하다는 것 이외에 WIfi 6에 비해 큰 향상은 없습니다. MLO나 MRU 쪽에서 이론적으로 속도를 올릴 수 있겠지만 현실은 어림도 없죠.
다만 가정용도 플레그쉽 가면 무선으로 70~150메가바이트정도는 뽑을 수 있는 고성능이 되므로 성능 따질 여지가 있다고 봅니다
IoT에서 5Ghz 지원 대부분 불필요하므로 잘 없는데, 반대로 SSID 동일하다고 문제 생기는 경우도 거의 없다고 봐야 합니다 (잘 생기지도 않는 문제떔에 무조건적으로 대비하는것보단 문제 생겼을때만 대처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엄청나게 좋아질껄 기대해서 통합하는게 아니라 통합해도 그닥 손해볼일 없으니 통합하는겁니다
수백개 연결 안 해도 동시에 2~3대가 전송하기만해도 속도가 눈에 띄게 저하됩니다
전이중 전송이 가능한것만으로 이미 큰 진전이라 봅니다
Agile Multi-Band를 지원할려면 동시에 여러가지 주파수를 접속 가능해야하니 구조상 큰 변경은 있습니다
또한 7 규격자첸 아직 완성이 아니라 더 추가될 여지도 있다고 봅니다
받아들이는 쪽도 고성능이 되어야 하는데 현재 주력으로 판매되는 AX210 같은 무선랜카드의 경우 2T 2R이지요.
2.4Ghz와 5Ghz 대역을 분리하는건 우리가 통신에서 L3를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의미로 이해하시면 더 좋습니다.
2.4Ghz와 통합사용을 해서 얻을 수 있는 이익보다 5Ghz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이 더 높기 때문이죠.
거리가 멀어지면 2.4Ghz로, 가까워지면 5Ghz로 안정적인 handover 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순간적으로 패킷 로스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고 이 가능성이 2.4Ghz를 써야하는 이득보다 크지 않습니다.
Wifi 6든 7이든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범위가 좁아지기에 더욱 촘촘하게 AP를 구성해주어야 하는데 유선망 구축이 힘든지, 투자대비 가치가 나오는지부터 생각해봐야겠죠.
현재 AX210의 경우 ax58u 정도로도 실효속도 800~880Mbps 정도는 나와주고 말씀하신 1.2~1.3Gbps 정도를 내주려면 4T 4R로 가야하는데 투자대비 가치가 있는지를 봐야겠죠.
참고로 제 집이나 저희 사무실에 연결된 무선기기가 못해도 40개 이상은 됩니다. 가정용 라우터 수준에서도 전혀 문제 없습니다.
다시 말씀 드리지만, 무선은 유선보다 효율이 훨씬 떨어집니다. 때문에 VLAN처럼 어느정도 분리해서 사용하는게 훨씬 더 사용성이 좋습니다. 특히나 신호간섭을 고민하실 정도라면 무조건 분리해서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이제 7 (6E였던것기도 함)으로 넘어가면서 Agile Multi-Band도 도입되어서 동시에 여러 주파수를 사용해서 분산도 됩니다
이런 기능들을 이용할려면 SSID를 통일해서 기기에게 같은 AP로 인식되게 해줘야 합니다 (다 다르게 해두면 기기가 같은 AP인지 인식할 방법이 없습니다)
헤택을 보거나 아니거나 어느쪽이든간에 분리해서 얻는 장점이 있긴한가요?
엔터프라이즈 환경은 논외로 하고 가정용이라면 분리해서 얻는 장점이 있죠. 아주 단순히 얘기하면 클라이언트와의 호환성 관련된 문제를 상당부분 완화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댓글 작성하고 보니 위에 이선호님께서 작성해신 댓글이 있네요. 저도 이선호님께서 하신 말씀에 전반적으로 동의합니다.
7 가면서 2.4 + 5 + 6Ghz를 동시에 다 접속해서 트래핑을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이 시점에서 성능 향상은 기대할만하다고 봅니다 (802.11은 기본 전이중이 아니니까요)
신기하게 그 이후 5Ghz로도 tv 잘 잡힙니다... 아마 ssid 통합할때 채널 바꾼게 도움이 되지 않았나... 생각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