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 본딩 질문합니다.

HEJYS   
   조회 2415   추천 0    

현재 회사에서 사용중인 구성으로 nas 본딩을 하려고 합니다.
구성

회선(건물 자체 회선) --- ASUS 유/무선 공유기 ----  ipTIME SG24BCM-mini 스위치허브 ---- 시놀로지 DS1520+ NAS

이렇게 구성하려고 합니다.

ASUS 공유기와 시놀로지 NAS는 본딩 기능이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이 됩니다.
ASUS 공유기의 본딩 기능을 활성화 할경우 LAN1, 2 에 연결하라는 안내문구가 있는데요. 선 두개를 연결하고 ipTIME SG24BCM-mini 스위치허브 에 똑같이 선 두개를 연결 한뒤에 시놀로지 DS1520+ NAS 를 연결하면 되는 걸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다만 여기서 시놀로지 DS1520+ 의 포트가 4개가 있어서 4개포트를 전부 본딩하고 싶은데요. 

ASUS 유/무선 공유기---- ipTIME SG24BCM-mini 스위치허브 -- (선 4개) --- 시놀로지 DS1520+ NAS 연결해도 될까요?

ipTIME SG24BCM-mini 스위치허브 해당 제품은 정보에 L2, L3 가 없는 것 보면 L1 인 것 같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강호 2024-01
본딩 설정은 1:1로 직결 매칭되어야 합니다.
     
HEJYS 2024-01
아 그럼 선 두개를 연결하면 나스도 2개를 연결해야하는거군요.
          
김강호 2024-01
장비간에 설정이 매칭되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HEJYS 2024-01
아 그럼 장비간 본딩을 설정했을 때 연결된 라인과는 상관없나요?

ASUS 공유기에 본딩 활성화시 LAN1, 2 선 두개를 연결해서 2G 대역폭으로 쓸수 있게 되어있는데 시놀로지 나스 DS1520+는 본딩할수 있는 라인이 4개입니다. 대역폭을 4G 까지 늘릴 수 있던데 본딩이 가능한 스위치를 구매해서 연결했을때 2G로 쏴주는 공유기에서 스위치 통해서 4G 대역폭 NAS를 사용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김강호 2024-01
2G 대역폭 만큼 사용가능하겠죠.
                         
HEJYS 2024-01
앗 감사합니다~
엠브리오 2024-01
L1 스위치는 더미허브를 뜻합니다. 하지만 그림상에 L1 장비는 없습니다.

ipTIME SG24BCM-mini 장비는 더미허브가 아니라 스위치 허브이므로 L2 장비입니다.
해당 제품이 채널본딩을 지원하는 제품인지는 모르겠군요.
     
HEJYS 2024-01
아하 감사합니다. 그런데 스위치 허브는 별도의 설정관련 창이 없는걸로 아는데 맞나요?
          
엠브리오 2024-01
ipTIME SG24BCM-mini 장비는"매니지먼트" 기능이 없습니다.
접속해서 뭔가 설정을 바꾸는 기능이 없다는 뜻입니다.

시스코 스위치 같은 고가의 제품들은 "매니지먼트" 기능이 들어 있으며
웹페이지 접속으로 설정을 바꿀수 있는 기능이 제공됩니다.
               
HEJYS 2024-01
앗 감사합니다!
박문형 2024-01
보통 공유기에는 본딩 메뉴가 없습니다..

본딩을 하려면 본딩을 거는 모든 기기에 본딩을 하는 셋팅 메뉴가 있어야 합니다..

아마 IPTIME 스위치 허브는 메니지먼트 허브가 아닌 듯한데 그렇게 되면 본딩을 하고 싶어도 못하며 메니지먼트 허브여야 합니다..

물론 메니지먼트 허브라도 안에 본딩 메뉴가 있어야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본딩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본딩이라는 기능이 제조사마다 약간씩 달라서(같은 기능인데 용어가 다릅니다..) 호환성 여부를 체크해야 하고 (본딩 셋팅한다고 다 동작하는게 아닙니다..)

의외로 본딩 실패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HEJYS 2024-01
ASUS 유무선 공유기에 본딩 메뉴가 있기는한데 IPTIME 스위칭 허브에는 해당 기능이 없는 것 같네요.

스위치 허브를 본딩을 지원하는 기종으로 변경한다면 가능할까요?
          
박문형 2024-01
해보아야 알 수 있습니다..
제온프로 2024-01
스위치를 LACP 지원하는 스위치로 사용하세요. (링크어그리게이션)
Managed Switch 에는 그 기능이 있을 거에요..
대역폭을 넓혀 줍니다..
박문형 2024-01
본딩/ 트렁킹/ LACP

여러개의 랜포트를 묶어서 대역폭을 늘리는 기능인데 어디서 만들어졌느냐에 따라 용어가 틀리게 쓰이고 기기에 따라서는 호환성도 없습니다..

그리고 본딩했다고 해서 실제 데이터 움직이는 속도가 대역폭만큼 다 나와주지는 못합니다..

기가비트 24포트 메니지먼트 스위치면 새것 가격이 아마 4~50만원 이상할 텐데요..

이리저리 알아보시고 모델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메니지먼트 스위치 구입하면 보통은 디폴트 상태에서 사용하나 셋팅이 필요하면 셋팅하는 방법을 익혀야 합니다..

셋팅하는 방법은 제품마다 다 다릅니다..
     
HEJYS 2024-01
회사에서 사용해야하는 거라 데이터를 주고받고 하는 일때문에 회선을 5G, 10G로 늘려보려고했더니 회사 건물 자체 1G 회선밖에 없고 늘릴 수 없다고합니다. 그래서 지금 대안이 본딩과 LACP 통해서 대역폭 늘려서 써야하는 상황이구요.ㅠㅠ
박문형 2024-01
지금 말씀하시는 것은 외부에서 인터넷 라인이 1G 밖에 안된다는 것입니다..

이거 10G 급으로 늘리면 (전용선 비슷한 것이라) 한 달 사용료가 어마어마해집니다..

질문 내용은 공유기 밑단 내부 네트워크 망의 속도를 늘리는 것인데 간편하게 하려면 10G 네트워크로 꾸미면 되지만 이것도 장비 값이 만만하지 않습니다..

10G로 가면 광으로 하느냐 UTP로 하느냐의 문제도 있고요.. 고속 네트워크는 열이 마니 나서 냉각 문제 및 펜소음 문제도 발생합니다..


어짜피 본딩을 시도해보시려고 하면 메니지먼트 스위치가 필수가 됩니다..
     
HEJYS 2024-01
ㅠㅠ 넵 감사합니다~
시도니 2024-01
원칙적으로 Bonding / Teaming / (네트워크에서) LAG / Ether Channel 이 업계에서 통용적으로 전부 Link Aggregation 기술이긴 합니다만,

상세하게 들어가면 약간 차이점이 있습니다.

LACP 를 구성하기 위한 협상 모드의 형상은 3가지가 존재 합니다.

Active / Passive / on-mode(on-mode는 거의 사용하지 않으므로... ) 사실상 Active-Passive 만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각 스위치에서는 LAG 혹은 etherchannel 을 구성할 시에 반드시 하나는 Active 로 설정하여 Hello 를 발생시켜서 교섭에 성공시켜야 설정이 가능합니다.

[추가설명]

1. Bonding 의 경우 보통 Linux/Unix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보통 윈도우의 Teaming 도 Bonding 으로 통용해서 사용하긴 합니다만,)

윈도우에서 이야기 하는 Teaming 과의 표면적 차이점은 Link Aggregation 협상시 Passive 로 동작할 것인가

Active 로 동작 시키느냐에 약간 차이점이 있습니다.

Bonding 의 경우 Passive 만 지원하기 때문에, 상대방의 시스템 혹은 Switch 는 반드시 Active 로 설정 되어야 합니다.

무슨 뜻이냐면, linux bonding = linux bondig 으로 묶으면 양 단이 Passive 이기 떄문에 Bonding 성립이 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Teaming 은 Passive 가 아니라 Active 로 동작합니다. 따라서 Windows Teaming=Windows Teaming 을 구성하면 Teaming 이 활성화 됩니다.

2. LAG 와 Etherchannel 의 차이점

LAG 는 표준 LACP 802.3ad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Link Aggreagation 기술만을 한정합니다. 반면에 Cisco 의 Etherchannel 의 경우에는 LACP 를 쓸 수도

있고, Cisco 자사의 프로토콜인 PAgP 란는 자사만의 프로토콜이 있습니다. Cisco 에서 Etherchannel 이라 함은 이 두가지를 모두 통칭합니다.

하지만, Cisco 에서도 PAgP는 최근에는 거의 쓰이지 않고 표준 프로토콜인 LACP 를 사용하도록 권장하므로 타 네트워크 벤더의 LAG, 포트채널 와

Etherchannel 을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좀 더 자세하게 들어가면 STP 를 분배할 때, 약간의 기능차이가 생기는 것으로 기억이 납니다만,,,

(CISCO 시험 보신 분들 이 형상 때문에, 겁나 외우시느라 머리에 쥐나신 분 없으신지.. ㅋㅋ)

이 부분을 한번 정리해서 알려드리고 싶었습니다. 어떤 분도 ASUS 랑 Teaming 교섭이 잘 되네,,, 안되네.. 하셨던 분이 계셨던 걸로 기억합니다만,,

-----------------------------------------------------------------------------------------------------------------------------------------------------

상기의 내용을 다시 짚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ASUS 에서 LAG 구성을 하실 때,

Lan1,Lan2 에 Switch 나 서버를 꼽게 되면 반드시 서버와 Switch에도 해당 Port 에 LAG/Bonding/Teaming 설정을 하셔야 합니다.

이때 주의 하실점은 반드시 802.3ad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LACP 로 선언을 하셔야 한다는 점입니다.

만약, 이를 switch에 독립의존적으로 세팅하시면 Loop 가 발생되거나 Active 가 Standby 로 계속 전환되는 등 네트워크가 불안해 집니다.

일단, 저 형상에서는 Backbone 으로 이용하고 있는 ipTime Switch 를 LAG 기능이 지원되는 Managed Switch 로 바꾸시는 수 밖에 없습니다.

추가적으로 현재 나오는 Unmanaged Switch 라고 해도 Store-and-Forward 방식의 전부 Switch 라고 하고 할 수 있습니다.

L1 의 Hub 혹은 Multiport Repeater 는 거의 나오지 않습니다. 지금 스위치라고 명명한 것들은 전부 L2 스위치 라고 보시면 됩니다.

L1 HUB 와 L2 Switch 의 차이점은 자체적으로 포트에 연결된 NIC 의 물리적인 MAC 값을 저장하여, 이 MAC table 을 기반해 포트와 포트를

논리적으로 직접연결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collision (충돌) 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L2 ASIC 의 가격이 떡락함에 따라 굳이 L1 HUB를 쓸 이유가 없기 때문에, 요즘은 거의 모두 Store-and-Forward 방식의 L2 Switch 라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L2 Switch 초창기에는 Cut Through 방식의 스위치가 있었으나,,, 상기와 같은 이유로 요즘에는 나오지 않습니다.


추가적으로 Managed Switch 라고 해서 모두 LAG 를 지원하는 것은 아닙니다. 일부 Web Managed Switch 의 경우 Vlan 혹은 Trunk 설정만 가능할 뿐 LAG 설정이

되지 않는 스위치들이 종종 있습니다. 따라서 장비를 구매하실 때, 반드시 Spec Sheet 를 확인하시고 구매하시길 추천드립니다.
     
HEJYS 2024-01
답변 감사합니다. 혹시 추천해주실만한 스위치 있을까요? 24p ~ 28p 사이로 괜찮은 모델 부탁드려도될까요?
          
시도니 2024-01
여기 나오는 중고중에 cisco c2960 급 장비 가 아주 저렴하게 나오고 있습니다만,

차후적으로는 10G 장비로 바꾸시는게 좋죠.

소호용 10g 스위치도 요즘은 많이 저렴해졌기 때문에 일반인들도 충분히 고려해볼만 합니다.

10G로 가면 귀찮은 이런 설정도 고민 안해도 되니까요.
딥마인드 2024-01
LACP는 장비와 장비 사이에나 통용되지 장비와 엔드노드 사이에서는
n개 회선을 묶었다고 n배의 성능은 절대 안나옵니다.
     
HEJYS 2024-01
앗. 넵 답변 감사합니다.

사내 네트워크가 1G 가 최대이고 데이터 이동이 많아서 속도까진 바라지 않고, 대역폭이라도 넓게 세팅해보려고했습니다.


QnA
제목Page 206/5730
2014-05   5266719   정은준1
2015-12   1791627   백메가
2022-11   1763   DLis
2022-12   1763   페선생
2024-08   1764   회원
2024-12   1764   audacity
2023-09   1764   COER
2024-08   1764   dateno1
2022-03   1764   신은왜
2023-05   1764   뭐든팔아요
2023-06   1765   영산회상
2024-08   1765   VSPress
2022-05   1765   FOXBI
2023-07   1765   치킨좋아요
2024-03   1765   두리안
2021-12   1765  
2024-01   1765   영산회상
2024-09   1765   짱짱맨
2024-03   1765   naan
2023-06   1766   허어
2020-06   1766   ENIHS
2024-08   1766   항공모함